일주정리

사주 카폐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 임자일주

Fortune Ked 2019. 3. 19. 14:16
반응형

임자일주 일간 임(壬)수는 양(陽)수로서 아홉 번째 천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지혜의 상징이며 하늘에서는 가을비(秋露)이며 택(澤)이니 연못이요, 해(海)수로 강호수를 의미하는바 적천수에 이르기를 ‘임수통하(壬水通河) 주류불(周流不滯)’라 하니 지상으로 내려오면 강과 호수가 되는 것이고 두루두루 통하여 막힘이 없는 형상이라 유랑하는 속성이 있으며 속은 깊으니 내면의 심리를 알기 어려운 것이고 바다와 같이 넓은 고로 모든 것을 수용하는 덕이 있고 총명함을 타고 나는 자가 많고, 윤하지상(潤河之象)인 고로 박식함이 넘치고 언변이 청산유수인 자가 많은 것이고 늘 새로움을 잉태하니 창조적인 것이며 한 곳에 머물지 못하는 특성이 있는 고로 변화하기 쉬운 인물의 소유자 인 것이다.

임(壬)수는 동물로 보면 ‘제비’에 비유하는 고로 작은 몸을 이끌고 강남을 오가니 세상물정에 밝아 두루 견문에 막힘이 없을 것이나, 철새는 긴 여정을 몸으로 겪어야 하니 인생에 신고가 있는 것도 특징인 것이다.

임(壬)을 파자(破字)하면 천일(千一)로 파자되니 천일야화라 재담이 뛰어난 자가 많을 것이고, 음란할 음(淫)으로 보기도 하는바 색정이 가득한 자가 많은 법이고, 선비(士)가 갓을 삐딱하게 쓴 모양이고 임금(王)과 흡사하니 큰 꿈을 꾸는 자가 많을 것이지만 이루기는 어렵다 보기도 하는 것이다.

임자일주 일지 자(子)수는 음(陰)수로 정북방을 의미하는 감방(坎方)이며 12벽괘로 보면 지뢰 복괘(地雷復卦)를 상징하는 것이니 해(亥)수 중지곤(重地坤)의 미명을 뚫고 음양이 교차하며 만물이 시생(始生)하니 일양지기라 하는 것이다.

천개어자(天開於子)라 하니 12지지의 첫 번째가 되는 것이요, 하늘이 열리는 오음일양(五陰一陽)이니 시작의 기운을 담고 있으며 자수는 물을 의미하니 물과 같아 생각의 뿌리가 깊으니 총명하며 지혜의 상징이며 감수성이 예민하고 조심성이 많으며 눈치는 엄청나게 빠른 것이다.

자(子)는 동물에 비유하면 쥐에 비유하는바 쥐는 눈동자가 없는 특징이 있으며 빛을 무서워하여 밤에 다니는 것이고, 씨앗을 의미하는바 번식력은 탁월하여 다산(多産)의 상징을 의미하기도 하는 것이고, 자수를 인체에 비유하면 자궁, 고환, 생식기, 호르몬 등을 의미하는 고로 색정이 강한 인연이 많을 것이고, 자(子)수의 형상이 바늘 또는 침을 상징하는 것이니, 즉 내 몸에 바늘을 찌른다는 것이요, 그 부위는 신장 방광 또는 자궁, 생식기일 것이니 항시 질환을 조심하여야 하는 것이다.

쥐는 밤에 움직이고 밝은 곳을 싫어하는 특성이 있고, 어두운 곳을 좋아하는 경향이 있는데 삼명통회에 이르기를 자왈 묵지(墨池)라 하였으니 방위로는 정북방의 물이요 색으로는 검정이니 검은 연못이라 일컫는바 ‘심연(深淵)’인 고로 깊은 그윽함이 있는 것인데 해(亥)시의 모든 어둠을 뚫고 새로운 생명이 잉태되는 일양(一陽)의 시기이니 자수를 일러 만물의 시작이라 하는 것이다.

자오묘유(子午卯酉)는 사정(四正)의 글자라 하니 지장간의 기운이 순일하고 담백하여 제왕의 자리인 것인데 장성이니 뻗어나간다는 것이요 도화의 자리이니 끼가 있는 자가 많을 것이며 항상 자기중심적으로 사고하는 인물이 많다고 보는 것이다.

임자(壬子)일주는 검은 연못, 샘이 깊은 물, 지혜의 뿌리, 물의 제왕, 흑서(黑鼠)를 상징하는 것이니 두뇌 회전은 전광석화처럼 빠를 것이요, 지혜가 출중하여 두루 모르는 바가 없을 것이요, 화술에 능통하니 타인을 설득함에 따라올 자가 없는 것이요, 전략적으로 사고하며 수완가의 기질을 갖추니 통솔력 강한 리더의 인물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임자일주를 일러 ‘일인격(日刃格)’이라 하는바 무오(戊午), 병오(丙午)와 더불어 제왕의 자리에 앉아 냉혹하게 권력과 형별을 주관하니 일인격이라 하는 것인데 그 성정이 과단성 있고, 강개하니 ‘임자 만났다’ 하는 것이요, 안하무인에 독불장군이 많은 법인데, 외고집에 자기주장을 굽히지 않으니 주변과의 마찰이 잦은 법이요, 한 번 화를 내면 대노(大怒)하기 쉬운 인연이요, 큰 꿈을 가지고 치밀하게 준비하나 타인을 믿지 못하여 대업을 이루지 못하는 인연이 많을 것이니 자기 수양에 힘써야 하는 것이며 양인(羊刃)살이요 장군부살이 임하니 군인, 경찰, 검찰, 법조 등 살생대권을 가진 분야로 진출하면 유망한 것인데 지나치게 영웅심리가 발동하여 거세게 밀어붙이다 실패하기 십상이요 고난이 따르는 법이니 임자일주 포용력과 진중함을 길러라 하는 것이다.

임자일주는 홍염살이라 하여 묘한 매력을 풍기니 남녀 모두 이성에게 인기가 많은 법인데 남명은 여성이많은 직업에 종사하는 인연이 많을 것이요 여명은 방송 등의 분야에 종사하면 인기를 끄는 인연이 많은 법인데 남명은 조혼하면 오지랖이 넓고 음주가무에 색탐하다 가정생활에 풍파가 오기 쉬운 법이요, 여명은 고란살(孤鸞殺)이니 공방수요 남편이 힘이 안되고 여장부에 가장역할 한다고 하는 것이다.

임자일주는 인묘(寅卯)가 공망이니 목(木)이 공망인 법, 성정이 부드럽지 못하며 다재다능하나 호불호가 분명하며 자기관리에 철저한 인연이 많은 법이요 식신 상관이 공망이니 호기심이 많고 언변이 뛰어난 명이 많은 법이요, 남명은 부하 인연, 장모 인연 박한 법이요, 여명은 자식 근심 있다 보는 것이다.

임자일주의 내면 심리세계인 지장간을 보면 임(壬)수, 계(癸)수가 암장되어 있는바 비견, 겁재 인즉 비견이 제왕(帝王)을 얻으니 자존감, 주체성, 독립심이 강함을 알 수 있는 것이고, 양인, 겁재가 왕지에 임하니 경쟁심, 승부욕, 모험심, 투기심이 강한 명임을 추론하니 임자일주는 자존감과 주체성을 기반으로 모험을 즐기는 승부사 인 것이요 통솔력이 강하니 리더의 명인 것이다. 형제 중에는 잘 난 인연이 많을 것이나 일인(日刃 )의 기운이 배우자를 극(克)하니 중년 이후 배우자 운이 불리함을 추론하며 배우자 궁(宮)에는 비견, 겁재가 앉았으니 간여지동(干與地同)이요, 친구 같은 배우자요, 배우자 보다 형제, 친구가 우선이다 하는 것이다.

임자일주의 진로적성을 보면 교육, 조직관리, 경찰, 군인, 법조, 정치, 국정원, 해운, 의료, 방송, 엔터테인먼트, 컨설팅, 학원업, 수산, 체육, 무역, 자영업 등에 적합한 리더형 인물로 조직 관리의 달인이다 하는 것이다.

임자일주 남명은 오지랖이 넓고 호방하며 음주가무를 즐기니 이성 인연 많은 법인데, 배우자는 병(丙)화로 보는 것이니 병자(丙子)는 태(胎)지 인연에 어둠과 밝음이 교차하는 물상이니 감정의 기복은 심할 것이며 제복 입는 업종에 종사하는 인연이 많을 것인데 제왕지에 않은 배우자인 즉 고집이 세다 보는 것이요, 간여지동이니 친구 같은 배우자요, 배우자 궁에 형제, 친구가 앉았으니 밖으로 도는 명임을 추론하며, 비견, 겁재가 배우자 재성을 극하니 일인(日刃)이라 하여 무정하다 하는 것이다.

자식은 무(戊)토 편관으로 보는 것이니 무자(戊子) 인연이라 무토가 자수를 깔고 앉으니 정재요 재복은 있는 명인데 부자는 태(胎)지 인연이니 사회적 성취는 그리 높지 않음을 추론하며 모친은 경금으로 보는 것이니, 경자(庚子) 인연이라, 부친 역시 병자(丙子)로 보는 것인 즉 십이운성 태(胎)지에 정관을 깔고 있으니 직장생활 하는 명임을 추론하지만 사회적 성취는 그리 크지 않다 판단하는 것이다.

임자일주 여명은 일지 양인이니 살생대권의 명이요 여장부의 명으로 추론하는데 홍염이니 묘한 매력에 주변의 인기가 따르는 법이요 장성살이 임하니 리더의 기질이 다분한 법인데 배우자는 무토 편관으로 보는 것이니 나를 극하는 인연임을 알 수 있는 것이고 무자(戊子)는 태(胎)지에 재(財)를 깔고 있으니 재탐 색탐하기 쉬운 법이요, 사회적 성취는 그리 크지 않다고 판단하며 배우자 궁(宮)에 양인이요 칼을 들었으니 성정이 거칠고 언행이 성숙하지 못한 인연이요 간여지동이니 친구 같은 남편이요, 남편자리에 친구가 앉았음을 알 수 있는 것인데, 임자일주 고란살이요 배우자 궁에 양인, 겁재가 동주하는바 남편 덕 없고 해로난망이니 고독한 여장부의 명이다 하는 것이다.

자식은 갑(甲)목 식신으로 보는 것이니 여식 인연이 깊은 법인데, 갑자(甲子)로 보는 것이니 욕(浴)지 인연이요, 용모는 수려하고 멋을 좋아하니 품생폼사인 것이요, 두뇌는 총명하나 마마보이 기질에 취미생활에 몰두하여 반복적인 생활을 일삼으니 사회적 성취는 약하다 보는 것이며 임자일주는 인묘 공망이니 여명은 식상(食傷)이 공망인지라, 자식에게 온통 마음이 가 있으나 항시 근심이 그치지 않는다고 보는 것이다.

모친은 경(庚)금 편인이요 경자(庚子)로 보는 것이니 십이운성 사(死)지 인연임에 모친 덕 박함을 알 수 있는 것이요, 부친 역시 병자(丙子)로 보는 것이니 십이운성 태(胎)지에 정관을 깔고 있는바 직장생활 하는 명임을 추론하지만 사회적 성취는 그리 크지 않다 판단하며 병자는 재성(財星)이 공망이니 임자일주 부친 금전운, 배우자 운일 길하다 보기 어려운 즉 자수성가형이다 하는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