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주정리

사주 카폐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 갑인일주

Fortune Ked 2019. 3. 15. 10:02
반응형

갑인일주 일간 갑(甲)목은 양(陽)목으로 십천간 중 첫 번째를 일컫는 것으로 하늘에서는 우레인 것이요, 땅으로 내려오면 대림목(大林木)이라 일컫는바 적천수에 이르기를 ‘갑목참천(甲木參天)’이라 하여 갑은 순양(純陽)의 목으로 체(體)가 본시 견고하고 하늘로 치솟는 기세가 있으며 극히 웅장함을 나타낸다 하는 것이다.

갑인일주 갑(甲) 일간은 곡직지상(曲直之象)이라 하여, 나무의 성향상 위로 솟아오르려는 성향이 강한지라 외고집이며 때론 고지식하고 보수적인 기질이 있으며 스스로를 최고라 여기는 경향이 많은 것이다. 또한 활인지상(活人之象), 동량지상(棟樑之象)으로 보는바 의협심이 강한 우두머리 기질이 있는 것이며 특히 여명은 생활력이 강해 가권(家權)을 쥐고 가족을 부양하기도 하는 것이다.

갑(甲)일간은 고집이 센 편이고, 스트레스를 잘 받기도 하여 신경이 예민해지기 쉬우며,작은 스트레스에 시달리기도 하는 것이다.

갑(甲)목을 동물에 비유하자면 여우에 비유하기도 하는 것인데 여우는 독립심이 강한 즉 자수성가하는 명이 많다 하는 것이다.

갑인일주 일지 인(寅)목은 동방의 양(陽)목인 것이요, 호랑이의 형상이니 리더십, 추진력 등을 상징하며 자존심이 강하고 매사 의욕적이며 자유로움을 추구하는 내면의 심리구조를 갖게 되는 것이 인목의 특징인 것이다.

삼명통회에 이르기를 인(寅)은 광곡(廣谷)이요, 간(艮)궁의 목이요 춘기(春氣)가 이미 생기는 정월이며 三陽이 진행하는 때이고 인중에는 병(丙)화가 있어 사후(蛇猴)와 합함에 삼귀객(三貴客)이요, 묘미(卯未)와 합함에 일가인(一家人)이며 오(午)자를 만나면 범부를 뛰어넘는 성인격(聖人格)이다. 라고 일컫는바 사후(邪猴)라 함은 사(巳), 신(申)을 일컫는 것이니 삼자 모두 생(生)방을 의미하므로 시작의 기운이 모였으니 이를 三刑이라 하는바 형이란 기존의 질서를 허물고 새롭게 개혁하고자 하는 상징이며 삼양삼음(三陽三陰)에 양(陽)으로 진기(進氣)하는 명에 광명지상이요, 12벽괘로는 지천태(地天兌)를 상징함이요, 인천권(寅天權)이라 하여 큰 권세를 의미하는바 인목은 자존감, 출세 야망을 꿈꾸는 명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인덕이 있으니 다정다감한 인물에 정의감이 살아 있으니 의협심 또한 남다를 것이며 넓은 계곡을 지배하는 백수의 왕이니 독불장군 기질을 갖춘 리더임이 확실하나 봄의 나무가 동량이 되기까지는 가을까지 지나야하는 역경이 있는 것이니 많은 시행착오를 거쳐 뜻을 이루는 자가 많은 법이다.

인내심이 갑(甲 )인 자가 많은 법이요, 위인이 총명한 자가 많은 법이나, 위도 갑이요, 아래도 갑이니 굽힐 줄 모르는 기질에 반항심 배타성으로 일을 그르치는 경우가 많으니 욱하는 성정을 버리고 때를 기다릴 줄 아는 지혜를 길러야 하는 것이다.

갑인, 병진, 경진, 무진, 임술일주를 일러 일덕격(日德格)이라 하는 것인데 일지에 덕을 놓았으니 인정이 많은 법이요, 사상이 건전하다. 갑인, 을묘, 경신, 신유 명은 일지에 정록(正祿)을 보았으니 하늘이 보내준 록(祿)이 있다 하는 것이며 유산상속은 없어도 자수성가형에 재복이 따른다고 하는 것이다.

갑인일주는 간여지동(干輿地同)이니 고집이 센 것이고 배우자궁에 친구가 앉은 격이요, 배우자를 극(克)하니 부부운 불리하다 보는 것이며, 자축(子丑)이 공망이요, 인성(印星)이 공망이라 학문은 구득난망함이요, 갑인일주는 납음(納音)으로 금(金)이 공망이니 관성(官星) 공망이라 여명은 남편 복 없으며 남명은 자식 복 없는 인연이 많은 법이다. 유아독존형에 주변에 인기가 많이 따르는 법이고, 돌발행동에 돌직구 스타일이니 언행에 신중을 기할 것이며, 지나친 권력욕으로 일을 그르칠 수 있으니 내면의 수양에 힘써야 할 것이다.

갑인일주의 내면 심리인 지장간을 보면 무(戊)토, 병(丙)화, 갑(甲)목이 암장되어 있는바 편재, 식신, 비견, 임을 알 수 있는 것인데 편재가 장생하니 재목이 있는 것이요, 리더십, 배짱이 뛰어나며 사교적인 인물임을 추론하고, 식신이 장생하니 탐구심, 호기심 갑이요, 재능이 넘치고 인기가 따르는 법이요, 비견이 록을 얻으니 자존감, 주체성이 강한 명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니 갑인일주 자존감이 갑이며 재능을 바탕으로 먹을거리를 찾아 큰돈과 권력을 꿈꾸는 자수성가형의 리더형 인물이다 추론하는 것이다.

갑인일주의 진로적성을 보면 일지 비견을 보았으니 독립업(기술업), 자영업운이 밝은 편이나 동업은 어려운 법이고, 공무원, 교육, 한의사, 출판, 제지, 목재, 가구, 문화, 광고, 통신, 부동산, 헤어디자이너, 안경사, 물리치료, 인테리어, 엔터테인먼트, 조경 등의 전문직 종사인연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갑인일주의 남명의 배우자는 무(戊)토 편재로 보는 것이니, 매력 있고 능력 있는 배우자 인연이 있다 보는 것인데, 무인(戊寅)으로 보는 것이니, 무토는 인에서 관(官)이 장생하니 사회생활 하는 인연임을 추론하는 것이고, 무인은 편관 기질이니 야망과 권력이 있을 것이요, 처가 가권을 쥠을 추론하는데 간여지동 명이니 서로 자존감을 내세우다 다투기 일상인 즉 갑인일주 남명 배우자운 불리하다 하는 것이다.

자식은 경(庚)금 편관으로 보는 것인데, 경인(庚寅)은 십이운성 절(絶)지 인연이니 절은 끊어진 것이요, 갑목과 경금은 칠살(七殺)인연인지라 갑인일주 남명 자식 복 없다 보는 것이요, 모친은 임(壬)수 편인으로 보는 것인데, 경인(庚寅)은 십이운성 절(絶)지 인연이니 절은 끊어진 것이요, 갑목과 경금은 칠살(七殺) 인연인지라 갑인일주 남명 자식 복 없다 보는 것이요, 모친은 임(壬)수 편인으로 보는 것인데, 임인(壬寅)으로 보는 것이니 임인은 일지 식신이요, 십이운성 병(病)지에 역마살이니, 활달한 인연에 역마의 작용이 있을 것이니 먹을거리를 찾아 돌아다니는 않으면 몸이 아픈 인연이고, 인성(印星) 공망이라 자상한 모친 덕 기대하기는 어려운 법이다.

갑인일주 비견이 록(祿)을 얻으니 형제 중에 잘 난 인연 있을 것이요 형제 덕 있다 보는 것이며, 부친 역시 무토 편재로 보는 것이니, 무인(戊寅)인지라, 능력 있는 부친 인연 있을 것이나, 인(寅)중 무(戊)토 편재가 거듭하여 현침(懸針)을 맞았으니 신액(身厄)으로 고생하는 인연 있다 보는 것이다.

갑인일주 여명은 자존감 갑에 남편을 극하니 간여지동이요 배우자 궁에 친구가 앉았으니 친구 같은 남편 아니면 남편 보단 형제, 친구가 우선하다 하는 것이다. 배우자 좌에 현침을 꽂았으니 남편이 몸이 아픈 것이요, 경(庚)금으로 보는 것이니 칠살 인연이요, 경인(庚寅)으로 보는 것이니 십이운성 절(絶)지 인연이라 즉, 남편이 절지에 앉았으니 갑인일주 여명 배우자 복 없고 가주(家主)운명이다 하는 것이다.

자식은 병(丙)화 식신으로 보는 것이니 병인(丙寅)이요, 병화는 인(寅) 중에 십이운성 장생인연이니 현달한 자식을 두는 인연임을 추론하며, 모친은 임(壬)수 편인으로 보는 것이니, 임인(壬寅)이라 일지 식신을 놓았으니 의식주가 유여(有餘)한 명임을 추론하며 임인의 마음은 온통 자식에게 가 있으나 갑인일주 자축(子丑) 공망(空亡)이요 수(水)공망이니 크게 모친 덕은 없다 보는 것이요, 임인은 병지 역마 인연이니 돌아다니지 않으면 몸이 아플 것인 즉 중년 이후 모친 건강 걱정 있다 하는 것이다. 일지 비견을 놓았으니 형제간에 우애 있다 보는 것이요, 비견 록을 얻으니 형제 중에 잘난 형제 있다 보는 것이다.

부친 역시 무(戊) 편재로 보는 것이요 무인(戊寅)으로 보는 것이니 능력 있는 부친임을 추론하나 인중 무토 편재에 현침이 두 개나 꽂혀 병(病)으로 신음한다 본 즉, 갑인일주 여명 부친 건강걱정 있고 흉(凶)하다 하는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