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일주 일간 무(戊)토는 양(陽)토이며 하늘에서는 노을을 의미하고 지상으로 내려오면 커다란 산을 일컫는바 십 천간 중 다섯 번째에 위치하니 중정(中正)의 도가 있다 할 수 있다.
무(戊)토는 동물로 비유하면 늑대 또는 표범으로 비유하는바 표범은 단독생활을 좋아하니 주체의식이 강하고 자기중심적일 것이며 믿음의 상징이니 매사 신용이 있는 자로 볼 수 있으며 성공에 대한 집착이 강한 명이 많을 것이고, 늑대는 동물 중에서도 가장 가부장적인 동물로 보며 가족과 무리를 잘 통솔하니 책임감, 생활력이 강한 자가 많은 것이다.
무(戊)토는 태산 같은 형상이니 도량이 넓고 언행이 일치하는 자가 많으며 그 성격이 신중하여 충돌을 피하려는 경향이 있고 신앙심이 깊은 자가 많으나 창을 든 상이니 평사시에는 평정심을 유지하다가도 외부의 자극이 있으면 강하게 반응하는 강한 성정 또한 품고 있으며 굳세고 자만하여 타인의 비평을 일삼고 외고집이 많은 인물로 볼 수 있다.
무(戊)토 일간은 재물에 대한 집착이 많으니 진로적성으로는 투자, 건설 등의 분야 컴퓨터 계통에 유망하고, 토목, 목욕탕, 임대, 서비스업 등이 적합하며 큰 재물을 탐하니 부동산 등의 투자에 성공하는 명이 많으며 내면의 고독감이 항시 있으니 종교에 귀의하는 인연도 있는 것이다.
무인일주 일지 인(寅)목은 동방의 양(陽)목인 것이요, 호랑이의 형상이니, 리더십, 추진력 등의 상징이며, 자존심이 강하고 의욕적이며 자유로움을 추구하는 내면의 심리구조를 갖게 되는 것이다.
삼명통회에 이르기를 인(寅)은 광곡(廣谷)이요 간(艮)방에 속하니 간은 산이 되는 것이고, 산은 무토이니 무(戊)토는 인에서 장생하는지라 인(寅)은 넓은 골짜기를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호랑이는 늘 으르렁거리며 다니듯이 혼자 말을 중얼거리는 버릇이 있으니 인(寅)은 불평불만이 있다 보는 것이다.
무인(戊寅)일주는 산호랑이로 보는 바 용맹한 고로, 자신의 힘을 과시하는 인연이 많을 것이고, 욕심이 많으며 명예를 중히 여기는 자로 보는 것이며 자기주장을 굽히지 않는 버릇이 있으며 두뇌는 영리할 것이고 리더십과 추진력이 뛰어나니 하늘이 주신 관록이 두텁고 지도자로 인정받으니 리더형 인간이라 판단하는 것이다. 간지 글자에 음기가 없으며 수기 또한 보이지 않으니 메마른 산이라 스스로 고독하다 여기는 자가 많은 것이다.
무인일주의 내면 심리세계인 지장간을 보면, 무(戊)토, 병(丙)화, 갑(甲)목이 암장되어 있는바 비견, 편인, 편관이라 즉 본기가 편관이니 야심가일 것이며 권력지향적인 자임을 알 수 있는데 일지 학당(學當)이니 글공부 인연은 깊을 것이고, 편인이니 수완가임을 알 수 있는 것이고, 문서 인연이 많을 것인데, 일지에 무토가 뿌리를 강하게 내리니 자존감이 아주 강할 것이고 남과는 달리 가야 한다고 생각하는 명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무인일주는 사업과 명예 두 마리의 토끼를 쫓는 호랑이의 상으로 볼 수 있다.
무인일주는 편관이 인(寅)에서 록(祿)을 얻으니 관운은 두터울 것이요, 편인이 장생하니 문서 인연이 강한 것인데 문서가 무(戊)토를 생하는바 부동산 인연이 강하다 보는 것이다. 부모의 덕이 있는 자가 많을 것이요, 무토는 늑대에 비유하는바 가부장적인 권력의 상징으로 보는 것이고 자식에 대한 무한한 애정이 있을 것이며 일지 장생이니 배우자 덕이 있으나 편관에 일지 지살이니 신상변동이 많아 공방수가 예상되며 결혼생활은 외로울 것이고 장생은 후원자로 보는바 인생에 좌절이 있어도 반드시 재기하는 명으로 판단된다.
무인일주의 진로적성을 살펴보면 정치, 군인, 검찰, 경찰, 금융, 건설, 컴퓨터, 자동사, 교육, 전기전자, 부동산투자, 물류, 임대업 등에 적합한 리더형 인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무인일주 남명의 처는 임(壬)수로 보는바 임인(壬寅)이요 병(病)지에 식신을 깔아 놓았으니 항시 먹을거리를 찾아 분주히 돌아다니는 인연임을 알 수 있는데 편관의 자리이니 돌아다니지 않으면 아플 것으로 보는 것이요, 식재관(食財官)을 깔았으니 자수성가 하는 명인 고로 배우자 덕이 있다 보는 것이고 가정에 대한 책임감이 남다르고 관심과 애착이 온통 자식에게 가 있을 것이니 부부간의 언쟁이 잦을 것이요 외롭다 하는 것이다.
자식 갑(甲)목 편관이 인(寅)에서 록을 얻으니 아내의 마음은 자식에게 가 있을 것이고, 편관이니 아들을 두는 자가 많을 것이요, 모친 병(丙)화는 동주하니 내가 봉양할 인연인 것이고, 장생이니 힘이 있다 보는 것이며 문서 운은 강할 것이고 부친 임(壬)수는 병(病)지에 좌하니 역마라 돌아다니며 자수성가하는 명이 많을 것이고, 부친이 선망하는 경우가 많다 보는 것이다.
무인일주 여명의 배우자 갑(甲)목은 편관이니 나를 힘들게 할 것으로 볼 것이요 갑인이니 간여지동(干與支同)이라 부부간에 금술은 좋지 않다 보는 것이고 남편을 누르는 기운이 강하다 볼 것이며, 부친 편재 임(壬)수는 임인이요 병지이니 역마지에 식신이라 사업가일 것이고 자수성가 명이며 자식은 경(庚)금으로 보는 바 경인(庚寅)은 절(絶)지 인연이니 나와는 떨어져 지낼 인연이거나 사회적 성취는 어렵다 보는 것이고, 모친 병(丙)화는 장생(長生)지에 있으니 후원자가 있을 것이요 현모양처라 판단하는 것이며 문서인연이 강하다 보는 것이다.
[출처] 2018. 12. 12. (수) 무인일주|작성자 이정순공인중개사
'일주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주 카폐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을묘일주 (0) | 2018.12.30 |
---|---|
사주 카폐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정해일주 (0) | 2018.12.30 |
사주 카폐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경자일주 (0) | 2018.12.26 |
사주 카폐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경술일주 (0) | 2018.12.22 |
사주 카폐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을사 일주 신론 (0) | 2018.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