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수님

사주 카폐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축미충의 변화

Fortune Ked 2018. 10. 26. 17:05
반응형

세운을 볼 때 무엇을 얻고 무엇을 잃는지 그 미세한 차이를 짚어낼 수 있도록 운법을 갈고 닦아야 합니다.

즉 운에 따른 변화수를 읽어야하는데 그 변화수는 단순한 생극관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천간은 오행운동으로 간합이 변화를 주도하고 지지는 사상운동으로 형충회합파해 원진으로 변화를 일으키게 됩니다.

그리고 ​십이운성에 따른 규모와 체감력을 보는 것으로 정리가 되어야 운을 본다라고 이야기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丙甲ㅇㅇ

ㅇㅇ酉丑


축미충하면 축중에 신금이 출고가 되어서 신금이 천간화가 되면서 병화의 글자와 합을 합니다.

득실은 그리고 다른 글자의 영향에 따라서 또 득실과 성패가 바뀌게 됩니다.​

 ​

2

庚甲ㅇㅇ

ㅇㅇ巳丑​


 축미충으로 축중에 신금이 출고가 되어서 경금을 입고시킵니다.

다른 글자에 따라서 다양한 변화가 나타나는데 그 득실을 다 통변할 수 있어야 합니다

3

 

ㅇ甲ㅇㅇ

巳ㅇㅇ丑

​축중에 신금이 출고가 되어서 일간 甲이 辛 정관을 얻기는 얻으나 내 것이 되는 일자리인지 잠시 머물다가는  직장인지를 팔자의 구조에 따라 구별할 수 있어야 합니다.

乙未年에 이음이양의 丑未沖이 되었을 때 사례별로 득실의 차이를 알아야 운을 제대로 볼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공부가 되어있지 않으면 ​당해 득실과 일어나는 일들을 자세하게 觀할 수가 없습니다.

 

​각 운동의 마무리처가 되는 진술축미의 충은 자오묘유나 인신사해충과는 다른 현상으로 나타납니다.

고장지라 형충파가 되었을 때는 가장 먼저 중기가 출고되고 팔자에 따라서 입고가 될 때와 안될 때가 있고 이후에 개고현상의 유무로 고(庫)가 되는지 묘(墓)가 되는지를 구별합니다.


결론적으로 운을 볼 때는 당해 득실과 성패를 시작과 과정 결과의 스토리를 세밀하게 엮을 수 있도록 훈련이 되어야 합니다.


오늘도 날씨가 더울 것 같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