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제11 장 : 육십갑자(六十甲子)와 공망(空亡)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제 11 장 육십갑자(六十甲子)와 공망(空亡)
1.육십갑자(六十甲子)
- 10천간과 12지지를 일정한 방법으로 결합을 시키면 60개의 간지(干支)가 만들어 지는데 이것을 60갑자라고 한다.
우선 10천간의 첫 자와 12지지의 첫자를 결합시키면 甲과 子가 만나서 甲子라는 첫 간지가 만들어지고
두번째 乙과 丑이 만나서 乙丑이라는 두번째 간지가 만들어 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결합을 시켜나가면 천간이 10개이고 지지가 12개이므로 10개의 결합체가 만들어지고
나머지 지지 戌과 亥 두개가 남는데 다시 甲과 戌,乙과 亥, 丙과 子 방식으로 조합을 해나가면 60개의 간지가 만들어지고,
그것을 가리켜 60갑자라고 한다.
60갑자는 어떤방식으로 조합을 이루고 어떤의미를 가지는지만 알고 넘어가면 되고,
60갑자를 통해 납음(納音)과 공망(空亡)이 산출되는데 납음은 명리에서 중요하게 사용되지 않고,
공망은 사용되므로 공망에 대한 작용만 알고 숙지하기 바랍니다
2.공망(空亡)
1. 공망(空亡)의 의의
- 공망(空亡)이란 10천간이 12지지를 짝짓고 남은지지 2개를 말한다.
사주명조에 지지가 공망(空亡)이면 그 공망(空亡) 지지(地支)와 짝짓는 天干도 같이 공망(空亡)이 된다.
일간지(日干支)를 기준으로 적용하며 공망(空亡)이 되더라도 오행은 있는 것으로 보고 육친은 작용력이 없는 것으로 본다.
2. 공망(空亡)을 쉽게 찾는 도표
3. 공망(空亡)의 성립
- 공망(空亡)은 10天干과 12地支로 짝을 지어 줄 때 지지(地支)는 남아 있으나 천간(天干)이 부족하여 두 개의 지지(地支)가 짝을 배정
받지 못하고 남게 될 때 공망(空亡)이라 하는데 그 두 개의 지지(地支)는 공허하고 무력하다는 뜻을 가지게 된다.
남은 지지(地支) 중에서 앞에 있는 양지(陽支)를 공(空)이라고 하고 뒤에 있는 음지(陰支)를 망(亡)이라 하는데
공(空)은 허(虛)요 부실(不實)이며 망(亡)은 무(無)요 부존재(不存在)라는 뜻으로 공(空)은 실(實)과 대비되고
망(亡)은 유(有)와 대비 되는 말이다.
그러나 사주에 공망(空亡)이 있다고 무조건 같은 비중으로 해석을 한다면 감명에 큰 오류를 범하기 쉽다.
그것은 공망(空亡)이 있더라도 그 공망(空亡)된 地支에 合과 沖이 되어 있는가를 자세히 살필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4. 공망(空亡)의 특성
- 공망(空亡)은 일주(日柱)를 기준으로 산출하여 정합니다. 간혹 년주(年柱)를 기준으로 활용하는 예도 있으나 년주(年柱) 기준의 공망(空亡)은
일지(日支)의 공망(空亡) 여부를 참고할 때만 주로 사용하며 또 작용력도 30% 정도의 수준으로 해석하면 된다
공망(空亡)은 합이나 충으로 해소되는데 충은 공망을 80% 정도 해소시키고 합은 공망(空亡) 40% 정도 해소시키는 것으로 판단한다.
공망(空亡)에서 양간일생(陽干日生)이 양지(陽支)가 공망(空亡)이 되면 진공(眞空)으로 나타나고 반대로 음간일생(陰干日生)이
양지(陽支)가 공망이 되면 반공(半空) 작용으로 본다.
甲子일주에 戌이 공망(空亡)이 되었다면 진공(眞空)이요 乙丑일주에 戌이 공망이면 반공(半空)이 됩니다. 대운의 공망(空亡)은 적용하지 않고
년운(年運)의 공망(空亡)은 중요하게 참작합니다. 그리고 사주에 공망(空亡)이 있는데 다시 행운(行運)에서 공망(空亡)이 올 때는
공망이 풀리는 것과 같아 공망의 작용력이 약해진다. 地支가 공망(空亡)이면 天干도 역시 공망(空亡)으로 무력해진다
5. 공망(空亡)의 종류와 작용력
1) 위치 공망(空亡)
가. 사주(四柱)의 지지(地支) 전부가 공망이거나 년(年),월(月),시(時) 3개의 지지(地支)가 공망(空亡)이면
오히려 대귀대인(大貴大人)의 명(命)이라 해석하기도 하는데
실제로 보면 좋은 것도 없고 나쁜 것도 없는 무해하다는 정도로 판단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나. 년(年) 공망(空亡)은 조상의 덕이 없거나 윗사람의 혜택을 얻기가 어렵고 조상이 물려준 터전을 지키기 어렵고 조상이 물려준 터전을
지키기 어렵다고 보며 또 조상의 묘를 분실하거나 조상을 잘 섬기지 못해 주위로부터 욕을 먹거나 비난을 당하기 쉽다.
다. 월(月) 공망(空亡)은 공부를 많이 하고 학력이 좋아도 사회에 진출하여 활용하기가 어렵고 매사에 이루어지는 일도 없이 동분서주하기
쉬운 명(命)으로 해석하며 선천적으로 부모 등 모든 육친과 인연이 약하거나 혜택을 입기 어렵다고 봅니다.
부모형제의 도움이 없고 고향과 인연이 약해 떠나 살거나 진로나 직업이 순탄하지 않고 복잡하기 쉽다.
라. 일(日) 공망(空亡)은 마음이 항상 허전하고 고독하며 고질병에 시달리거나 유랑객이 많다.
배우자궁이 불안하여 결혼이 늦거나,배우자의 심신이 허약하거나 , 흠이 있는 배우자를 만나기쉽다
※ 실제 일(日) 공망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년을 기준으로 공망(空亡)을 보는 것은 실제로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마. 시(時) 공망(空亡)은 끈기나 고집은 있고 희망은 크지만 이루어지기 어렵고 진로가 막히는 장애물이 많이 생긴다.
또한 자녀가 부실하며 자녀에 근심이 많다. 자녀가 없거나 혹은 양자를 두기 쉬우며 자식이 있어도 무덕하며
노년에는 자식과 별거하여 고독하다.
2) 육친 공망
가. 비겁(比劫) 공망 : 형제간에 무덕하며 고독하고 협조정신이 부족하게 됩니다.
비겁이 공망된 명(命)은 고향보다는 객지나 외국에서 성공하는 확률이 많다
나. 식신(食神) 공망 : 소극적인 성격이 되거나 직업이 자주 바뀌며 개척, 분발, 발전에 큰 뜻이 없게 된다.
반면에 기예나 가무에 재주가 있으며 달변으로서 교육, 의술, 예술, 점술이나 종교계에 소질과 인연이 있다.
다. 상관(傷官) 공망 : 탐구심이 강하여 학문연구에 종사하거나 말수가 적고 인정이 없기는 하나 정신적인 차원은 높다.
여명(女命)은 상관이 공망(空亡)되면 초산(初産)에 딸을 낳을 확률이 대단히 높다.
라. 편재(扁財) 공망 : 재물에 대한 욕심이 많고 큰일을 계획하나 이루기 어렵고 허영심과 사기성이 많이 잠재되어 있다.
마. 정재(正財) 공망 : 남명(男命)은 처와 인연이 약하며 처로 인한 흉액이 간혹 있게 되고 금전문제에 인색하고 구두쇠가 많다.
바. 편관(扁官) 공망 : 정치성향이 강하고 외교력과 보스기질, 지도력은 있으나 반골적이거나 반체제적인 성향으로 혁신적인 일을 좋아한다.
남명(男命)은 자식과의 인연이 아주 약하다.
사. 정관(正官) 공망 : 관직이나 직장 그리고 자손의 인연이 약하다.
청렴강직한 척하나 명예욕이 강하고 또 명예를 대단히 원하며 관을 이용할 줄 안다.
성격적으로는 자신이 최고인 줄 알거나 대접받기를 좋아하며 여명(女命)은 부부인연이 약하며
어떤 남자를 만나더라도 만족하기 힘들다
아. 인성(印星) 공망 : 지조가 강하여 타인의 도움이나 구원을 싫어하는 자립적인 재야선비 스타일이나 상, 하간에 무례하기 쉽고
인덕과 부모덕이 없으며 학업을 끝까지 마치기가 어렵다.
즉, 중퇴하거나 만학(晩學)하는 경향이 있으며 무엇이든지 배우려고 하는 욕심과 노력하는 마음이 있는데
주거가 항상 불안하여 이사를 자주 하는 경향이 있다..
3) 절로(絶路)공망
- 절로 공망의 뜻은 길이 끊어진 상태를 말하며 장애물이 많고 좌절을 많이 겪는다는 의미인데 앞으로 가고자 하는 길에
큰 강이 가로막혀 있거나 물이 범람하여 전진하기 힘들거나 건널 수 없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시간(時干)에 壬, 癸가 있거나 지지(時支)에 亥, 子, 丑가 있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무조건 절로공망(絶路空亡)을 나쁘다고 해서는 안 되고 나이가 들면 조용한 곳에 집을 짓고
은둔생활을 계획하는 사람들도 많다.
출처: 규원 선생의 사주이야기
'명리학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주 남구/ 사주카페 도혜] 공망파악하기 (0) | 2018.07.18 |
---|---|
[광주 남구/ 사주카페 도혜] 양인살 (0) | 2018.07.17 |
[광주 남구 /사주 카페 도혜] 과숙살 고신살 공방살 2 (0) | 2018.06.21 |
[광주 남구 /사주 카페 도혜] 과숙살 고신살 공방살 (0) | 2018.06.21 |
2018년 6월 10일 오후 02:40 (0) | 2018.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