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평진전의 월령학 , 논리와 적용방법
(2500년전)年 本 日 主 - 연본일주 : 신살중시 풀이법
(1500년전) 日 干 爲 主 - 일간위주
월령중시, 정오행, 생->극->제->화, 12운성, 신살경시, 일간의 강약보다 격국이 더 중요(심효첨)
자평진전 중요내용
1. 천간은 상(象=모양)을, 지지는 형(形=세력)을 이룬다.
木의 오행은 하늘에서 상(象)을 이루고 지지에서 형(形)을 이루는 것이다.
甲乙이 하늘에서 유행하면 寅卯는 땅에서 이를 받아들여 시행하는 것이다.
甲乙은 관장과 같고 寅卯는 관할하는 지방과 같다.
甲의 녹은 寅에 있고 乙의 녹은 卯에 있으니 이는 부관이 군에, 현관이 읍에 있는 것과 같아서 각기 한달 동안 명령을 집행하는 것이다.
2. 동정론(動靜論) : 천간은 쉬지않고 움직이고, 지지는 고요하다(지지의 역할이 70% 차지)
3. 개고설(開庫論)과 신살론(神殺論)을 부정
신살은 격국의 귀천과 무관한것이다. 좋은 글자임에도 신살로보면 나쁘게 해석되니 신살위주로풀이하는것은 좋지못하다.
4. 천간의 합이불합(合而不合)을 논함.
합일 것 같은데 안되는게 있음
5. 월령(月令)이 용신(用 神) 이고, 용신이 곧 격(格)
6. 용신을 사길신(四吉辰) 과 사흉신(四凶神) 으로 분류.
7. 용신의 순용(順用)과 역용(役用)을 구분.
순용: 그대로 좋은걸 쓰는것. 역용: 잡아야 할 것들을 잡거나 바꾸는것
8. 용신의 고저(高低) : 용신의 좋고나쁨
천격과 귀격을 판단하는 방법 : 유정-무정 / 유력-무력
9. 겸용(兼用 = 兼容)의 이치. : 월령에서 본기부터 용신 잡는다.
10. 상신(相 神) 은 사주의 핵심 (核心) 기운
11. 성격(成格) 과 패격 (敗格) - 기본8자에 국한되지 않고, 대운과 세운에 따라 완전 운이 달라질 수 있다.
12. 행운(行雲)의 성격(成格)과 변격(變格)
13. 변격(變格) : 격이 변한 것
14. 잡기(雜 氣) 의 취용(取用): 잡기를 보는 방법
15. 외격 : 용신이 천간에 없을 때 용신잡는 방법(가용신)
16. 생극(生剋)의 선후(先後)에 따라 길흉(吉凶)이 달라짐 :생부터 하고 극하는 순서로 해야 한다. 순서에 따라 길흉이 달라지므로 주의할 것
17. 팔자는 용신 없이 존재할 수 없고, 용신은 변화없이는 해석할 수 없다.
용신만 떴다고 해서 좋은 게 아니다. 어떤 작용을 하는지 알아야 한다
자평진전 용어연구
정격(正格)과 외격(外格)
순용(順用)과 역용(逆用)
상신(傷神 :사주에서 희신이 강한 상태)과 방신(幇神)
유력(有力)과 무력(無力)
유용(有用)과 무용(無用)
유정(有情)과 무정(無情)
성패(成敗)와 구응(救應)
변격(變格)과 겸격(兼格)
잡격(雜格)과 잡기격(雜氣格)
'명리의 책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주 남구 /사주 카페 도혜] 명리학 3대 보서 (0) | 2018.04.24 |
---|---|
[광주 남구/사주카페도혜] 적천수 (0) | 2018.04.18 |
[광주남구/ 사주카페 도혜] 명리일진 내정법 (0) | 2018.04.18 |
[광주/ 남구 사주 카페 도혜]삼명통회 (0) | 2018.03.28 |
◈사주명리학 역사◈ (0) | 2018.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