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님

[광주 남구 /사주 카페 도혜] 데쓰블로 2강 분석

Fortune Ked 2018. 5. 26. 20:35
반응형

사주세계

대영님       데쓰블로 2강 분석

1. Warming up (p.31)

동주사同柱死 (p.33)

갑오
을해
경자
신사

사주의 네 기둥 중 한 기둥이 위 네 가지중 한가지일 때,
천간의 글자가 사지死地에 앉았다고 하여 동주사라고 함.(cf 입묘지入墓地에 앉으면 동주입묘)


# 최근에 잘 쓰지 않는 지식체계임. 오행생극론자들이 제기하는 의문(1, 2)

의문 1.
어떻게 수생목을 받는데 어떻게 사지가 되냐, 오히려 생지生地지(을해)
답 :
양생음사 음생양사의 원칙. 음양의 논리는 오행 생극제화보다 우선. 양간 생지에서 음간은 죽는다.
해수는 갑목의 생지지만 을목에는 사지가 됨.

의문 2.
목의 힘을 갑이 조금 뺏는 정도지 어떻게 사지가 되냐. 오히려 미토나 신금에 타격을 받지.
물형법으로 봐도 병화 양광이 비춰주는데 여름에 나무가 무성한데 무슨 사지야?
답 :
목은 입하 들어서서 午월부터 신록 무성하게 보일 때부터 이미 죽기 시작하는 것.
완전히 찼을 때 기울기 시작하는 것임.
여러분들 보기에 이수님이 쌩쌩해 보이면 맛이 가기 시작하는 것.
겸손하고 열심히 노력하겠습니다, 하면 크겠구나.
방방거리면 꺾여지겠구나. 진짜 꺾여지는 거 아냐 이거?(웃음^^;)


# 12운성에서 사지는 4가지 조합밖에 안나오므로 외워야 함.


# 왜 동주사부터 책이 시작되는가?

육친이 사고 - 죽는 시기를 기가막히게 잘 맞히는 사람이 있었음
(재성이 입묘지에 들었으니 죽었다, 부성이 입묘지에 들었으니 남편이 사고당했다..)
< --- 들어 보니 사지와 입묘지만 가지고 맞춤



1. 육친과 통변성의 포인트는 천간에 둔다.
2. 육친의 건강과 수壽를 조율한다.
(내 일간과 대비해서) 다른 천간(의 육친)들이 어떻게 되느냐를 보는 것.

특히 주목해야 할 점 두가지
여자 사주 : 갑 을 경 신이 관성일 때 특히 주목해서 봐야 함.
남자 사주 : 갑 을 경 신이 재성일 때 특히 주목해서 봐야 함.
(깊은나무 생각 : 재성은 남녀 공히 주목해서 봐야 하는 것 아닌지^^?)

drill)
경갑 건명
○오

건명 경금일간 갑오동주사인 사주는 재성이 사지에 앉았으므로 주목해야 함.

이 사주가 목화를 기뻐하느냐와 같은 희기 취용법은 아무 관계가 없음.

일단 午火운이 오면 재성이 사지에 앉으므로 재궁이 불안한 징조임.
---> 처가 죽거나, 재물을 유실당하거나, 부친이 돌아가시거나 등의 물상으로 나타나겠지만..

일단 이런 사주 가진 사람 2002년도 임오년에 왔을 경우, 재성 동주사에 주목해서 봐야 한다.
이는 성패와는 무관하다.
ex)
아버님이 돌아가셨다고 해서 그 한해가 패로 기록되는 것은 아니다.
이혼하고 2계급 특진하는 사람도 있음. --->
사주 보러 가니 나쁘다, 좋다 말들이 갈림. 나쁘다는 사람 이혼했잖냐 좋다는 사람 승진했잖냐..
< --- 이는 천간/지지를 구분할 줄 몰라서 나오는 얘기임


# 천간 지지의 구분

천간 : 외형
지지 : 내면

천간에 희신이 오면 일단 겉은 멀쩡함. 보기에 괜찮음. 천간에 기신이 오면 일단은 꺾임.
지지는 신상 변동사, 신상의 내재된 아픔을 이야기함.

내재된 아픔은 겉으로 들어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음.
if 부모님 돌아가셨는데, 이혼했는데 전혀 얘기 않고 명랑하게 지내면 사람들은 모름.
무난하게 한해 잘 넘긴 줄 앎 <--- 지지 안에서만 일어난 변화임.

if 이혼좀 했다고 난리 치고 질질 짜고 그러다 직장에서 적응 못하고 그만 두는 경우.
< --- 일지가 충했던 글자가 희신 천간 글자까지 합해서 날린 경우일 것임.

지지도 충하고 천간의 희신도 깨지면 변화가 안팎으로 다 나타남.
천간도 좋은 글자 지지도 좋은 글자 오면 안팎으로 다 풍요로운 것임.


# 추명술에서 말하는 성패의 포인트는 어디에 둬야 하는가?

이것을 명확히 모르는 것은 지식체계가 불분명하기 때문이다.

1. 고시공부 어렵게 고군분투 악전고투하면서 합격하는 경우 <--- 成
2. 고시공부 어렵게 고군분투 악전고투한 나머지 불합격하는 경우 <--- 敗
3. 여자친구, 집안의 전격 지원 받으면서 무난하게 합격하는 경우 <--- 成
4. 여자친구, 집안의 전격 지원 받으면서 쉽게 공부했지만 불합격하는 경우 <--- 敗

팔자술이 말하는 성패는 "겉", "결과"를 놓고 보는 것임. 속의 히스토리는 불필요.
---> 천간의 희/기로 맞추는 것임

1번이 고생했던 것은 지지가 불편했던 때문.
2번은 간지 공히 기신운
3번은 간지 공히 희신운
4번은 지지 아무 문제 없었지만 불합격하는 것은 천간에 기신이 왔기 때문.


3. 통변성의 장애, 중단, 침체를 암시한다.

drill)
경을
신해

경신일주 을해동주사, 신강재강으로 부명富命이나 부친이 무력하고 덕이 정말 없는 경우 있음.
초년 해대운이 겹쳐있거나 한다면 더욱 심해짐.
---> 부친궁의 장애, 중단, 정체를 암시함.


4. 해당 지운地運에 동動한다.
갑운이나 을운에 동하는 것이 아니라 오운이나 해운에 동하는 것임.(오행과는 무관)


5. 명식의 합된 지지를 합충으로 풀거나 충된 지지를 합으로 풀면 동한다.

drill)
신갑
미오

신미일주 갑오동주사, 미운이나 오운 축운 오면 원국의 오미합이 풀리며 동주사가 동함.
(합은 합을 푼다.)




동주입묘同柱入墓 (p.38)

사고四庫의 글자로 이루어짐.
c.f) 동주사 는 사정四正의 글자(자, 오)와 사맹四孟의 글자(사, 해)로 이루어 짐.

병술
정축
무술
기축
임진
계미

이렇게 여섯 기둥이 입묘지에 해당되는 기둥이다.


# 입묘지에 해당되는 글자들이 특히 삼형과 축미충에 걸리면 대단히 위태롭다.
---> 따라서 여섯가지 중 임진이 그나마 가장 안전하다. 진술충을 당해도 큰 훼손이 없다.

1. 육친과 통변성의 포인트는 천간에 둔다.
2. 육친의 건강과 수壽를 조율한다.

# 대개 묘고를 충하는 시점은 위태롭다.
또 입묘지가 백호의 글자와 겹치면 더욱 위태롭다.(병술, 정축, 무진)

원래 동주입묘는 병화나 정화의 육친성을 가지고 해당 지운에 동하는 것이므로
내면과 외면 모두를 파괴시키는 경향을 나타내기가 쉽지는 않다.
따라서 동주입묘를 가지고 쉽게 추명하려 하면 위험할 수 있다.
< --- 천간은 천간끼리 작용이 먼저이기 때문에 천간의 작용력이 변질되어 있을 때가 있기 때문
개두 절각으로 쉽사리 간지의 관계를 얘기하면 안되는 것과 같음.

but 백호지와 공통되는 부분(병술, 정축, 무진)의 술, 축, 진을 충하면 반드시 문제가 발생한다.
동주입묘는 천간에 포인트를 두지만 백호지는 지장간까지 포함해서 흉사가 발생하므로,
따라서 백호지 충은 천간, 지장간 쌍방 모두에 문제 발생한다.

이런 경우 어떤 물상에 해당되는지 쉽게 알긴 어렵겠지만, 일단 흉하다는 것은 확실히 알 수 있다.
이것은 아주 특별한 케이스가 아니라, 어떤 사주든지 입묘지나 백호는 한두개 끼고 있음.
어떤 물상에 해당되는지는 나중에..




설명을 위해 잠시 끼어들어가는 허자론虛字(p.124 허자론 정리 참조)
모두 지지에 해당하는 내용.

1. 협夾(낄 협) : 이격되어 있는(떨어져 있는) 글자 사이에 들어가는 것.
drill) 자(축)인 <--- 괄호친 것이 허자. 사주에 자와 인이 붙어 있으면 그 사이 글자인 축을 불러옴
drill) 인(묘)진 <--- 마찬가지.
c.f) 허귀에 해당하는 글자기 이미 있으면(전실되어 있음) 허귀를 불러오지 않는다.
drill) 자인축묘 <--- 이 사주는 허귀 축을 불러오지 않는다.

2. 인합引合 : 삼합의 두글자가 들어있을 때, 반합인 경우에도 나머지 한글자를 불러옴
drill) 인오(술) <--- 인오가 있으면 술을 불러온다.

3. 도충倒沖 : 같은 글자가 병립해 있을 경우 충에 해당하는 글자를 불러온다.
drill) 자자(오) <--- 자자가 병립하니 오를 불러온다.


===================================허자의 특징===================================

1. 허귀虛貴 : 허자는 모두 귀한 글자임. 건록, 재성, 천을귀인이면 더 귀하지만, 아니어도 모두 귀함.

drill)

축묘 <--- (인) 허자

정축일간 묘월생이면 인목 인수 허자가 협되어 있음. 이것도 귀한 것임
특히 4길신(인수, 정관, 정재, 식신)이면 더 귀함.
협된 글자가 록마 재관이면 격을 이룸 - 잡격의 귀격
따라서 협된 글자를 깨는 것을 매우 두려워 한다.

이런 사주가 申년이 오면 허귀 인수를 깨므로 시험에 깨질 "확률"이 높음.
어떤 사람은 붙고 어떤 사람은 떨어짐. 누가 붙는지 떨어지는지 어떻게 구분하나?

만약에 지지에 목이 한개도 없고 오로지 협된 글자 하나만 인수 목이 있다면 더 위태로움
굉장히 귀한 글자를 깬 것이므로 그해 시험 다 떨어짐. 그러나,


drill)
정을
축묘 <--- (인) 허자

을목 인수가 묘목에 뿌리를 두고 투출해 있다면
申년이 와서 비록 허귀 인수 인목이 깨지더라도 합격의 기상이 있다고 보는 것이다.


drill) 화의 일행득기 염상격일 경우
병정정
오축묘 <--- (인) 허자

이 경우 갑신년 갑목은 희신으로 문서운이 들어오므로 합격할 것같이 보임.
합격하겠습니까? 라는 질문을 받으면 일단 합격을 예상할 수 있지만
전, 후반기 시험 두개를 준비하는데 어떻겠습니까? 라고 물어온다면,
두 개의 시험 중 하나는 유실된다고 보는 것이다.(지지 신금이 허자 인목을 충하므로)
따라서 전반기 시험은 떨어지고 후반기 붙는다
<--- 지지의 작용이 먼저 일어나고, 결론을 짓는 것은 천간이기 때문.


drill) 목화 종왕격일 경우

병정을갑
오축묘 <--- (인) 허자

천간에 갑을목이 이미 올라와 있을 경우 갑신년에 허귀 인목이 충을 당한다 하더라도
이미 천간의 목이 유력하므로 왠만한 시험에 합격한다고 보는 것이다.


tip)
자신의 공부에 너무 확신하지 말고,
(학술적인 베이스가 있는 상태에서) 본인의 사주를 계속 사색해보는 것은 굉장히 공부에 도움된다.
if 학술적 베이스도 없는 상태에서 사색만 하면 위태롭지만..

(깊은나무 주 : 논어 위정편의 다음 구절을 떠올리게 하는 말씀인 듯^^
子曰 學而不思則罔思而不學則殆 자왈 학이불사즉망, 사이불학즉태
공자님께서 말씀하시었다.
배우기만 하고 생각하지 않으면 답답하고, 생각하기만 하고 배우지 않으면 위태롭다.)

=========================================================================================

따라서(이 설명을 위해 허자론 설명을 쭉 하신 듯)
입묘지, 고장지(고장지는 진술축미이므로 백호나 입묘에 해당할 경우 많음)가 허자로 들어가 있을 때
(특히 백호의 글자일 경우) 이 글자를 충하면 반드시 흉한 일이 발생한다.




천을귀인天乙貴人 (p.47)

외울 필요가 있음.

천을귀인은 덕德을 조율하는 성분이다.
일단 상대방 사주에 천을귀인이 있으면 나한테 덕이 있다.
(깊은나무 주 : 내 명식에 천을귀인에 해당하는 글자가 상대방에게 있는 경우를 말씀하신 듯)


# 사주학에서 말하는 덕은 철저하게 세속적 물질적인 수혜를 말한다.

"희망과 용기를 잃지 마십시오" 이런 좋은 얘기해주고 옆에 붙어 있는 것을 덕이라고 하지 않는다.
"형님, 뭐가 필요하신데요" 하면서 나한테 돈이라도 빌려주면 내가 덕을 입었다고 하는 것이다.

우리 아버지는 동네사람들이 다 손가락질 해도 나한테 물질적 도움을 주면 난 아버지 덕이 있는 것.
아버지가 비록 사창가 포주라서 내가 창피할 정도지만 나를 위해 희생하시고 공부시키고 유학시키고,
유학 마치고 돌아와보니 거대한 유산을 남기고 돌아가셨다. ---> 부친 덕이 어마어마한 것.

아버지랑 사이좋고 참 나를 아끼시고 사랑하셨는데 불의의 사고로 돌아가셨다,
혹은 사업이 잘 안되서 망하셨다. ---> 부친 덕 없는 것.

c.f) 팔자술에서 이야기하는 좋은 인연은 인연법상 좋은 천간의 조합을 얘기함.
학교 다닐 때 은사면서, 졸업하고도 찾아뵙고, 평생을 좋은 인연으로 지내는 사람. 사이 좋은 것.

tip) 辛일간은 임을 찾게 되어 있음. 좋은 천간 조합임.

사소한 거래 관계 틀어지면서(너 그렇게 안봤는데 신용이 없다) 완전히 단절되는 인연이 있는가 하면
무수하게 배신 때리고 피해 주고 이러면서도
"그래도 난 널 믿어, 너란 놈을 안그럴 꺼라고 난 믿어왔어" 라며 끝까지 가는 조합이 있음.
< --- 전자의 경우 천간관계가 나쁜 것.
후자의 경우 지지에선 천을귀인 같은 것 없이 상충작용만 하지만 천간 관계가 좋은 것.
if 돈관계 좋아도 사이 나쁘다면 지지 천을귀인이나 천간관계 좋지 못할 것임.


# 천을귀인은 지지의 글자. 따라서 더 실감이 남.


drill) 강의 들으러 온 한 여자분 명식 풀이

수금수목
계신임갑 곤명 31세
사해신인

40 30 20 10
무 기 경 신
진 사 오 미

이수님 통변 :
고난과 역경을 딛고 이자리까지 왔네. 몸도 많이 아프고, 30세 이전은 볼 게 없고.. 어려웠어요..
질곡도 많았고.. 여러가지 이것저것 했죠?

지지가 다 깨져 있어서 뿌리 상함, 뿌리로서 작용 못함. 사해충으로 천을귀인 깨짐.

1. 모든 사주는 일단 선중화先中和, 중화부터 맞춰놓고 봐야 함. 이는 종격일 경우에도 마찬가지임
일행득기격 염상격이라 해서 한가지 오행으로만 이뤄지는 것 아님. 지장간 다 살펴봐야 함.
---> 이 사주는 화, 토가 없음.

2. 이 명식은 수 목을 기뻐하고 식상생재하는 맛이 있는 종격 사주임.

3. 어떻게 해서든 충된 글자들을 살려내야만 다시 회복됨.
사를 가지고 와서 사신합으로 충된 인목을 풀어서 살려줘야 함.(비록 인사신 삼형은 두들겨 맞더라도..)

4. 2000년 경진년 2001년 신사년까지는 너무 힘들었을 것 같고,
인사신 삼형으로 배신 같은 것을 당했을 수 있고, 상대의 조력을 내가 갚지 못할 수도 있고..
2002년 임오년에는 천간 희신운, 지자는 인오 반합으로 풀어주므로 조금 힘을 받았을 수 있음
그러나 인해합으로 확실하게 풀어주는 것만은 못함. 인해합이면 확 살아남.
2002년은 확실히 좀 나았을 거라고 통변하심

여자분에게 묻자 : 차라리 2001년 신사년이 나았다.

but 여자분께 다시 물어보니 2001년도에 빚이 있었고 그 빚을 2002년 초에 갚았다고 함.

이수님 : 그럼 좋았던 것 아니야? (웃음^^) 2002년도가 되어야 숨통이 트일텐데
(깊은나무 생각 : 인오반합으로 申금이 풀리니 오히려 내면적으로 힘들다고 느꼈던 것 같음)

여자분 : 2002년도에 직장 승진했지만 10월쯤 인간관계로 회사 그만둠.

이수님 : 20대 들어와서 경제활동 하지만 재적 성취 못보고 빚의 인생이었을 것임.
임오년 와서 귀인(도와주는 사람)도 만나고 했을 것임.

지지가 인신사해 사맹격四孟格인 경우
상대방 사주의 일간이 가지는 천을귀인을 본인(그여자분)이 갖고 있을 경우..
예를 들어서 임일간인 사람의 입장에서 저 여자분은 천을귀인 사화를 갖고 있는 것이지만(임계-사묘)
여자분 명식에서 사화는 깨져 있으므로, 임일간인 사람을 도와주고 싶어도 본의 아니게 못도와줌.
임일간인 사람이 저 여자분 힘들 때 도와줬더라도, 여자분은 마음은 있지만 그 도움을 되갚기가 힘듬.

따라서 사맹격인 경우 내 사주에는 상대방의 천을귀인을 갖고 있지 않는 것.
많은 사람들이 나를 조력해주기만 하는 것임.

여자분 : 빚은 경진, 신사년에 있었고 임오년 초에 다 갚음

이수님 : 2003년엔 진로 설정이 불분명했을 것 같은데 뭐 하셨어요?

여자분 : 몸도 아프고..

이수님 : 올해는 좀 불안하지 않아요 갑신년.. 변화가 올 거 같고?

여자분 : 그런 기분은 있어요.

이수님 : (2001년 여자분이 좋았다고 하신 게 걸리신 듯) 내가 정확한 거 하나 맞춰볼께요.
결혼 안했죠?(웃음^^)


# 내 사주의 천을귀인 글자가 상대방에 포진돼 있더라도, 그 명식 내에서 형 충을 맞고 있다면
원활한 물적 교류는 이뤄지지 않는다고 보는 것이다.




공망空亡 (p.52)

역시 중요함.

ex) 병진일주 : 자축공망이므로 자수는 관으로 관 공망. 여명일 경우 남편 덕 없기 쉬움.

drill)
갑병정갑 곤명
오진유오

얼핏 봐도 조열해서 남편덕 없을 것 같이 보이고,
진중 계수도 진유합을 해서 묶여있어서 일점 수기水氣도 없어 독신자명, 고명孤命처럼 보이지만
일진으로 공망을 찾아보면 관공망으로 확실하게 남편덕이 없는 것임.

여자 사주일 경우 무관無官 사주이거나 관성이 무력하다고 해서 외롭고 남편운 없고 독신자인 것 아님.
허귀를 불러온 경우 무관 사주라도 굉장히 좋은 남편을 볼 뿐만 아니라 남편이 나보다 훨씬 잘난 사람.


# 공망 글자에 해당하는 오행의 글자가 사주에 있느냐 없느냐가 중요함.

기왕이면 그 글자는 간지에 다 있는 것이 좋음(통근해서 투출) ---> 공망의 영향이 없음
if 지지에만 있을 경우 공망의 위력이 나타나서, 이성과의 교류는 있어도 이성의 덕은 없음.
만약 건명에 지지에만 재있는 재공망이면 여자를 만나도 이상한 여자만 만남.
만약 곤명에 지지에만 관있는 관공망이면 남자는 만나되 좋은 남자를 못만남. 덕이 없음.

ex) 임인일주 - 진(관)사(재) 공망, 여명일 경우 돈도 없고 남편도 없음

drill) 그런데 사주를 보니까,
병임정임
오인유진

화(재)는 천간 지지에 다 있으므로 공망의 위력이 해소됨. 간지 공히 화 있어서 재공망은 무효.
지지에 진토 하나 가지고 있는 것으로는 무력하므로 관공망은 작용함.
if 연지가 무진이라면 남편덕 있음.

임인일주 건명 진사 공망이라도 무조건 처복, 출세복 없는 것이 아니라
병오가 사주에 있으면 재공망 위력이 없이 처복 좋음.


tip)
Warming-up에서 알려주시는 내용들은 실전에서 금방금방 써먹을 수 있는 내용들임.
외워서 실전에서 징험해 볼 것.

난다 긴다 하는 술사들도 공망을 모르면 남편덕 있고 없음을 맞추기가 힘듦.
그런데 공망 가지고도 남편덕 유무를 잘 맞추는 사람도 있고 잘 못맞추는 사람도 있음.
데쓰블로는 오행생극제화와 신살, 공망 등 양자를 취합해서 언제 어떻게 쓸건지 가려주는 것임.


# 사주학에서 말하는 좋은 남자 나쁜 남자의 개념은 철저하게 물질적 세속적 의미임.

if 어떤 남자가 6년 백수로 있다가 7년째 사시 합격해서 검사가 되어 다른 여자랑 결혼했다 했을 때
6년 백수로 있을 동안 그 남자를 먹여살리다시피 내조한 여자 A에게 이 남자는 나쁜 남자,
검사가 된 후 결혼하게 된 여자 B에게 이 남자는 좋은 남자임.

남자 입장에선 좋은 사주라도 운이 나쁠 때는 나쁜 남자 역할을 함.

여자 사주가 관공망이면
내가 만나는 남자가 모두 나쁜 남자이거나, 좋은 남자를 만나도 그 남자가 운이 없을 때 만남.
자기 가슴 후려 파고 떠난 남자 원망말고, 아 내가 관공망이다 생각하고, 사회 원망 말고(웃음^^)




이수님의 명리관

한 남자분의 "해결책은?"이라는 질문에 대한 답으로 하신 말씀.

명리의 해결책은 오직 순명順命에 있다. 명을 받아들이고, 남을 원망하지 말아야 한다.
모든 현상들이 저새끼 나쁜놈 죽일놈 해서는 풀리지 않는다.

예를 들어서 어떤 여자가 사주 봐달라고 왔는데, 이수님이
"당신 남편 결혼한지 3년 됐는데 3년 안에 반드시 파가破家(?)했을 것이다,
지난 해쯤부터 횡액을 받고 있을 것이다" 이렇게 얘기하신다면
"당신 남편 잘못 만나서 인생 망쳤다"는 소리밖에 안되지만,
이렇게 얘기해주면 이 여자분은 남편한테 미안해하기도 하고 연민을 갖게 되기도 할 것임.
자연정화의 역할을 한다고 할까..

이렇듯 술업계의 역할은 카운셀링에 있는 것이 아니라, 정확히 예측해주고 받아들이게 하는 데 있다.
받아들이게 한다는 점은 도道에 가까운 부분.
"저 남자 좋은 남잔데, 니 팔자가 그래서 너와 같이 있는 동안은 나쁜 남자 역할 할 수밖에 없는 거야..
그거 어떡하냐, 전생의 업보지. or 주님의 섭리가 그래"


질문 : 무진일주 술해공망이면 형제덕이 없는 것인가?

통변성과 육친의 포인트는 재, 관에 둬야 함. 여자는 특히 관.
통변해주면서 형제 덕이 없죠? 하고 물으면 피상담자는 `내가 형제덕이 없나?` 하고 잠시 생각.
실제로는 형제한테 받은 것도 아무것도 없고 덕이 없더라도..
원수처럼 싸우지 않는 한은 형제덕이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 없음.
어차피 현대사회에 있어서 형제덕은 관심사가 아니므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