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공부6

[광주남구/사주 카페 도혜] 십간 십이지

Fortune Ked 2018. 4. 25. 11:55
반응형

십간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하도의 원리로 접근하는 것이 무한확장은 물론 실전에서 활용이 용이합니다.

차서수와 하도수는 아래와 같습니다.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1   2  3   4   5   6   7   8  9  10​ (차서수)

3   8  7   2   5  10  9   4  1   6​  (하도수)

생수와 성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아래 하도의 도표를 보는 것이 이해가 빠릅니다.

하도수

 

​                                                                                          7 丙

   2 丁

 

    5 己

                                                                            8  3         5 戊        4   9

                                                                            乙 甲       5 己        辛   庚

  ​  1 壬

                        6 癸                   

차서수

甲 乙 丙 丁 戊    生數  體 (양)

1   2   3  4   5​

己 庚 辛 壬 癸​

6   7   8  9  10​    成數  用  (음)

​생수 1 2 3 4 5는 하도에서 안에 위치하여 근본이 되어서 생명을 낳는다고 生數라고 합니다.

성수 6 7 8 9 10은​ 하도상 밖에 위치하여 형상을 갖추었다고 成數라고 합니다.

성수는 생수와 중궁  5를 더하어 아래와 같이 성수를 이루게 됩니다.

​  생수  성수

  1 + 5​ = 6

  2 + 5​ = 7

  3 + 5 = 8

  4 + 5 = 9

  5 + 5 =10​

즉 생수는 성수를 낳는 體가 되고 성수는 생수의 用이 되는 관계입니다.

​생수와 성수를 모두 합하면 55의 선천수가 됩니다.

물론 낙서는 45의 후천수가 되어서 선천과 후천수를 합하면 100이 되는데 이를 하락총수라고 합니다.​

십간을 공부할 때는 하도를 십이지를 공부할 때는 반드시 낙서구궁표를 그려놓고 공부하여야 합니다.

하도는 선천이고 體가 되고 낙서는 후천이고 用이 ​됩니다.

십간에서 같은 木이라도 갑이 다르고 을이 다르다는 것을 위 하도의 도표를 보면 명확하게 알 수가 있습니다.

甲은 차서수로는 1이 되고 하도수로는 3이고 生數에 해당하고 내부에 氣가 되고 乙은 차서수로는 ​2가 되고 하도수로는 8이고 成數가 되어서 외부의 形이 됩니다.

생수는 체가 되는데 생수중에서도 홀수 1. 3. 5 세자리​는 陽이고 하늘의 數가 되고 짝수 2. 4의 두자리는 음이고 땅에 數가 됩니다.

이를 삼천양지(三天兩地)라고 합니다.

그래서 생수중에서 1. 3. 5를 합한 수 9는 양을 대표하는 노양(태양)이 되고 ​2. 4를 합한 6은 음을 대표하는 노음(태음)이 되는 것입니다.

명리학을 입문할 때 十干의 하도와 十二地의 낙서를 끌어안고 뒹굴어야 억부나 격국에 얽매이지 않고 음양오행이 살기위한 운동성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천간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선천수       9    8     7    6     5    9    8     7    6     5

후천수       3    8     7    2     5   10    9     4   1     6

 

지지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선천수       9    8     7    6    5     4    9    8     7     6    5     4

후천수       1   10    3     8    5     2    7   10    9     4    5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