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의 책 소개

[광주남구/사주 카페 도혜] 명리 공부방향과 책소개

Fortune Ked 2018. 4. 25. 11:49
반응형

명리공부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큰 틀에서 한 번 살펴봅니다.​

1. 고법

*. 이허중명서

*. 삼명통회​

2. 신법

*. 연해자평

*. 명리정종

*. 적천수

*. 자평진전

*. 궁통보감

*. 천고비전​(사주감정법비결집) 일본의 아부태산저 (신육천편저)

*. 맹파명리

*. 명징파(투파)

-. 적천수는 주해한 분들의 따라 관점이 약간씩 다릅니다.

-. 대표적인 분이 장요문의 명징파​입니다.

-. 대만에 국사를 지냈던 위천리같은 분은 "적천수"와 "궁통보감"에 중점을 둔 분으로 보여집니다.

-. 저도 한 때는 장요문의 투파와 위천리에 흠뻑 젖었던적이 있었습니다.​

-. 우리나라의 도계선생의 "명리요강"도 "적천수"와 "궁통보감"​ 위주이고 또한 위천리의 정리본이고 자강선생의 "사주첩경"도 "연해자평" "적천수" "궁통보감"의 이론이 주류를 이루는 책입니다.

-. 일본의 아부태산의 저서 "천고비전"은 중국의 각종서적을 총망라한 책으로 보여집니다.​

-. 유명한 제산선생이 애독했다는 책이 "천고비전"인데 여기에는 필사본의 이야기가 일화처럼 전해집니다만 어느 분의 이야기가 맞는지 알 길이 없습니다.​

-.저도 위에 서책은 다 일독은 했으며 한 번씩은 실전에서 해보고 지금 정리해서 쓰고있는 제 이론의 근간이 되고 있습니다.

-. 저는 한 서책에 절대로 얽매이지 않고 모든서에서 취사선택했습니다.​

-. 명리학에 모든 간법은 위에 서책에서 나온 것이고 각자 취향에 따라 보는 것이기 때문에 누가 틀리다고 이야기를 할 수가 없습니다.

 

-. 그래서 저는 어떠한 이론이나 간법을 다 인정합니다.

-. 그 이유는 모두 다 위 서책에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통용되는 이론이기 때문입니다.​

-. 제게 공부하는 방법과 책을 묻는 분들께 박청화선생의 "춘하추동"​의 서책을 많이 추천합니다.

-.그 이유는 이 분이 위 모든 서책에 가장 밝은 분이고 잘 정리를 한 분으로 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수선생의 "형충회합론"은 기본적으로 들어가는 길잡이가 되는 서책입니다.

-. 저는 그저 일독만 했을뿐 ​윗분들처럼 밝지도 못하고 반에 반도 모르는 아직도 어둠속에서 헤매이고 있습니다.

-. 기본서를 보고 익힌 다음 한 차레씩 순례를 해보시길 바랍니다.

-. 가을밤이 깊어가면서 겨울의 한기를  불러들이며 ​옷깃을 여미게 합니다.

 

-.​ 건강유의하시고 특히 찬바람이 불면 편두통에 주의하시길 바라고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