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絶)
절(絶)이 있으면 해당 육친이 불안하다. 주거와 직업이 변화가 쉽고 타인의 감언이설을 믿고 실패하기 쉽다. 극도로 쇠약한 운기를 대표 하므로 재물과 명예를 감당하기 힘들며 월지가 절이면 인수와 비견을 쓰고 재관은 감당하기 어렵다. 단절, 이별, 고립, 파재, 인색, 호색, 경박 등의 경향을 대표하며 경제적 불안이 있다. 비록 부귀한 가문 출신일지라도 결국 파산할 우려가 있다. 타인을 비방하고 처자와 불화 하거나 처자의 신체가 허약하다. 천성적으로 호색하여 색으로 인한 망신을 한다. 부모형제와 인연이 약하고 직업에 있어서는 유흥업이나 요식업으로 성과를 거둘 수 있다. 인정에 약하고 실리면에서 손해를 보게 되며 여자는 남자의 꼬임에 빠져 몸을 망치기 쉽다.
철학가, 교육가, 사색가 등에 인연이 있다. 절은 소심, 격정, 불안정, 비지속성, 변동, 단절, 색정으로 인한 실패를 상징한다.
[판단]
1. 비겁이 절이면 형제의 덕이 박하다.
2. 식신이 절이면 의식주 생활에 곤란이 많고 활동력도 약하다. 여명은 자식 문제로 고심이 많다.
3. 재성이 절이면 재물로 인한 애로가 많고 남명은 처로인한 애로(질병, 사망, 외도 등)가 많다.
4. 관성이 절이면 직위가 보잘것 없고 명예를 얻기 어려워 조직사회에서 성공하기가 불가하다. 남명은 자식복이 박하고 여명은 남편복이 박하다.
5. 인성이 절이면 부모덕이 없다.
6. 연주가 절이면 타향살이에 부모덕이 없다. 어려서 부모곁을 떠나 독립해서 삶을 영위한다. 부모형제와 인연이 없으므로 고난과 좌절이 끊이지 않으나 말년에는 평안하다.
7. 월주가 절이면 육친 무덕하고 매사 손실이 많다. 고립적이고 사회생활에 적응하지 못하며 항상 불만이 있고 고뇌가 끊이지 않는다.
8. 일주가 절이면 주관이 없어 남의 주관에 흔들리고 타향살이 하며 경솔하여 화를 당하기 쉽고 배우자연이 박하고 화목하기도 어렵다.
9. 시주가 절이면 자식연이 박하다. 여자의 경우는 조급하고 경솔하며 극부할 우려가 있다. 아들을 두기가 어렵다.
'명리공부2'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주 남구 /사주 카페 도혜] 12운성 양(養) (0) | 2018.04.24 |
---|---|
[광주 남구 /사주 카페 도혜] 12운성 태(胎) (0) | 2018.04.24 |
[광주 남구 /사주 카페 도혜] 12운성 묘(墓) (0) | 2018.04.24 |
[광주 남구 /사주 카페 도혜] 12운성 사(死) (0) | 2018.04.24 |
[광주 남구 /사주 카페 도혜] 12운성 병(病) (0) | 2018.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