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주 (월간 월지)
월주는, 월간과 월지로 이루어져 있죠.
이 월주가 상징하는 여러 의미 중에
대표적으로, 육친인 부모 형제의 기운을 볼 수 있는데요.
부모로부터 받는 지원이나 혜택을
부르기 쉽게, '부모 운'이라고 칭하는 것입니다.
또 월주는 격국의 원천이고, 가정, 직업, 사회 궁으로
명주가 속한 소속의 상황을 알려주기도 하는데요.
@ 월주
사주 명리학에서, 월주는 청년시기를 뜻하고,
월지는 어머니, 월간은 아버지 자리라고 보기도 하죠.
또, 초년의 부모복과,
대운을 시작하는 중요한 글자가 됩니다.
그리고, 결혼하기 전 까지는
월주의 환경에서, 월주의 모습으로 대부분을 살아가죠.
결혼 후에는, 일주와 시주의 영향력이 크지만
여자도, 결혼 후에도 사회생활을 하는 사람이 많고,
삶의 대부분을, 사회에서 시간을 보내면서 살아가게 되니까,
월주에 가중치를 두고 보는 것이 좋습니다.
월주는, 월간과 월지를 통틀어서 부르는 단어이죠.
외부에서, 사람을 만나고 알아가는 과정에서
친밀해지기 전에 보이는 모습은, 월주의 모습인데요.
년주와 월주, 일주와 시주의 글자가 확연히 다르다면
집 안과 밖에서의 모습이 다른 사람입니다.
@ 성장환경 사회환경
월주가, 일주에게 도움을 주고 있다면,
부모복이 있다고 보죠.
반대로, 월주와 일주가,
상극하는 관계이거나 사이가 좋지 못하다면
부모님과 유정한 관계가 아닌 것입니다.
이것은, 경제적인 혜택을 떠나,
부모가 일간을 돕고 있는지? 기운을 빼고 있는지?
도움을 주는지에 대한, 여부라고 보면 되죠.
부모로부터 독립한 후에는
사회 환경이 월주의 모습을 하게 되는데요.
월주와 일주간의 관계를 보면
내가 어떤 형태로 살아가야 하는지?
어느 정도는 짐작할 수 있습니다.
@ 대운의 양면성
대운과 월주의 관계가 나쁘면
사회 환경은, 나에게 불리하게 흘러가게 되죠.
그렇지만, 대운과 일주의 관계가 상생하게 되면,
사회 환경은 어렵지만,
개인적인 장소에서는, 편안함을 느끼기도 합니다.
사람은, 어떤 장소에 있느냐에 따라
확연하게 달라지는 존재인데요.
사회에서 잘 풀리는 사람도,
가정에서는 막막하기도 하죠.
또 양쪽이 다 막막하기도 하고,
모두 다 잘 풀리기도 하는데요.
좋은 대운이라 하더라도, 양면성이 존재하는 것입니다.
@ 월주 월지 - 비견 겁재
보통, 월지가 비겁이라면
주체성 있는 성격이라고 보죠.
그것은, 초년에 월주로 만나게 되는,
부모의 양육 방식에 의해 결정 되는 것입니다.
만약, 월지가 비겁인데
10대와 20대의 대운이 좋고, 상생하는 대운이라면,
부모님과 나는, 독립적인 관계로
나를, 종속하거나, 의지하지 않는 존재로 지내게 됩니다.
월주가 비겁이면,
어렸을 때 부터, 자신만만한 사람이 되고
스스로, 살아갈 수 있게 인정해주는 부모입니다.
만일, 초년의 대운이
월주 비겁을 극하거나 좋지 못한 흐름이라면,
경제적인 혜택이나, 심리적인 지원이 부족해서
자식이 부모의 조력을 구하기 보다는
스스로, 무엇이든 해내야 하는 상황에서 성장한 것입니다.
20대나 30대에, 부모로 부터 독립하게 되면
사회 환경을 월주로 보게 되는데요.
대운이 좋은데 월지가 비겁이면,
나를 추종하거나 선망하는 사람들이 많고,
각자 독립적인 관계로 살아가게 되죠.
또 사회에서 사람들과 접촉이 많고
함께 지내야 하는 형태가 됩니다.
@ 월주 월지 - 식신 상관
그럼, 월지가 식상이 되면, 어떻게 해석할까요?
초년 대운이 좋다면, 내가 원하는 대로 살았더니
부모에게 도움이 되고, 자랑이 되는 존재로 성장합니다.
만약, 초년 대운이 불리하다면
내가, 부모를 위해 노력을 해야 하니까
자녀가, 희생하는 초년이 돼서
이로 인한 불만이 있을 겁니다.
@ 월주 월지 - 정재 편재
만일, 월지가 재성이 되어 초년 대운이 좋다면
내가 부모의 관성이 되니까,
내가 원하는 대로, 나에게 부모가 맞춰주는 관계이죠.
경제적으로 혜택이 있고
부족함을 모르는 사람으로 자라게 되는데요.
필요한 게 있으면, 내가 구하기 보다는,
상대방이 가져다 주길 바라는 기질이 있고
눈치를 잘 보는 아이로 성장합니다.
만일, 대운이 불리하다면
내가, 부모의 울타리가 되어야 하니까,
내가, 부모의 부모로 지내며 눈치를 보게 되고
학업에 집중하기 어렵습니다.
@ 월주 월지 - 정관 편관
월지가 관성이고 대운이 좋으면,
부모가 엄격했지만
시키는 대로 행동하고, 사회의 규범을 잘 지키는 아이가 됩니다.
만일, 대운이 불리하다면
내가 태어난 환경 자체가 혹독하고,
부모가, 나를 억압하는 존재가 돼서
주눅든 성격으로 성장하게 됩니다.
@ 월주 월지 - 정인 편인
월지가 인성인데 대운이 좋으면
어린 시절에, 사랑을 많이 받고 자란 아이죠.
대운이 불리하면, 사랑을 조건부로 받거나
부모로 부터, 사랑을 받지 못해
타인의 인정을 갈구하는 사람으로 성장하게 됩니다.
@ 월주 월지 궁합
궁합이, 일주 뿐만 아니라, 월주 간의 궁합도 있죠.
사람과의 관계는, 항상 입체적으로 봐야 하는데요.
월주가 통하는 사람은, 사적인 관계를 떠나
삶의 가치관이나, 사회에서의 모습이 일치하게 되니까
공적인 관계로 오래 지낼 수 있습니다.
일주는 잘 통해도, 월주가 충돌하는 사람은
비즈니스나 사회적인 관계로 가면 인연이 어렵고
개인적인 관계로만 지내는 것이 좋습니다.
부부 관계에서는
일주도 상생하고, 월주도 함께 상생하는 것이 좋죠.
예를들어, 월지가 추구하는 모습이 달라서
양가 부모님간에 상생이 되지 않으면
일간이, 월주에 의지할 수 없게 되는데요.
부침이 많고, 양가 부모가 상생이 되더라도,
일주 간에 이끌림이 없으면, 관계가 이어지지 않습니다.
일주도 잘 타고나야 하지만
월주를 잘 타고 나는 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출처] 월주 (월간 월지)|작성자 사주의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