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개 의대 1157명(38.4%) ‘축소’ 서울대 지균 신설
서울대 일반 단계별 전형 전환.. 지난해 수시이월 63명
자연계 최상위권 수험생 각축지인 의대는 2023정시에서 39개교 1157명을 모집한다.
수시/정시 합산 전체 모집인원 3014명 대비 38.4%의 비율이다. 2018학년 37.1%, 2019학년 37.4%, 2020학년 37.3%, 2021학년 37.9%, 2022학년 40%, 2023학년 38.4% 순의 추이다.
정시 모집인원은 2022학년 1205명에서 2023학년 1157명으로 48명 줄었다.
지난해 9월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 개정에 따라 2023대입부터 지역인재 선발이 의무화되고 지역 저소득층 최소 선발인원도 규정되면서 기회균형 성격의 지역인재가 주로 수시에서 신설되면서 상대적으로 정시 모집인원은 줄었다.
의대 전체 모집인원은 의전원 체제를 도입했던 대학들이 의대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확대되다가 2020학년을 끝으로 학사편입학이 종료됨에 따라 2019학년 모집인원 정점을 찍은 이후 규모를 유지했다. 이후 2021학년 강원대, 2022학년 건국대(글로컬)의 합류로 다시 규모가 확대됐다.
다만 수시이월을 고려하면 정시 모집인원은 요강보다 100~200명가량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작년 39개 의대 정시 모집인원은 요강상 1205명이었으나 수시이월인원이 63명 발생해 실제로는 1268명 모집했다. 수험생은 정시 원서접수 전 공개되는 최종 모집인원을 필히 살펴야 한다

서울대 일반 단계별 전형 전환.. 지난해 수시이월 63명
자연계 최상위권 수험생 각축지인 의대는 2023정시에서 39개교 1157명을 모집한다. 수시/정시 합산 전체 모집인원 3014명 대비 38.4%의 비율이다. 2018학년 37.1%, 2019학년 37.4%, 2020학년 37.3%, 2021학년 37.9%, 2022학년 40%, 2023학년 38.4% 순의 추이다.
정시 모집인원은 2022학년 1205명에서 2023학년 1157명으로 48명 줄었다. 지난해 9월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 개정에 따라 2023대입부터 지역인재 선발이 의무화되고 지역 저소득층 최소 선발인원도 규정되면서 기회균형 성격의 지역인재가 주로 수시에서 신설되면서 상대적으로 정시 모집인원은 줄었다.
의대 전체 모집인원은 의전원 체제를 도입했던 대학들이 의대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확대되다가 2020학년을 끝으로 학사편입학이 종료됨에 따라 2019학년 모집인원 정점을 찍은 이후 규모를 유지했다. 이후 2021학년 강원대, 2022학년 건국대(글로컬)의 합류로 다시 규모가 확대됐다.
다만 수시이월을 고려하면 정시 모집인원은 요강보다 100~200명가량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작년 39개 의대 정시 모집인원은 요강상 1205명이었으나 수시이월인원이 63명 발생해 실제로는 1268명 모집했다. 수험생은 정시 원서접수 전 공개되는 최종 모집인원을 필히 살펴야 한다.
올해 정시에서 39개 의대는 전년보다 48명 줄어든 1157명을 모집한다.
<39개 의대 1157명 모집.. 지난해 수시이월 63명>
올해 정시모집을 실시하는 전국 의대는 39개교로, 요강상 1157명을 모집한다. 군별 모집인원은 가군 559명, 나군 437명, 다군 161명이다. 모집군 통틀어 정시 모집규모가 가장 큰 대학은 올해도 한양대로 68명이다. 전형 합산 기준, 이화여대 63명, 전북대 58명, 조선대 51명, 중앙대 50명 순으로 50명 이상의 모집규모다. 2015학년까지는 모집군 분할모집이 가능해 한 의대가 여러 군으로 인원을 배치해 선발하는 것도 가능했지만 2016학년부터는 200명 미만 모집단위의 모집군 분할이 금지되고 2017학년에는 모집인원 관계없이 모집군 분할이 금지되면서 단일 군으로만 모집하고 있다.
39개 의대 정시 모집인원 1157명은 수시이월인원을 반영하지 않은 요강상 인원이다. 정시 모집인원은 요강상 모집인원에 수시에서 선발하지 않아 이월된 인원이 반영되면서 계획한 모집인원보다 늘어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작년에도 요강상 1205명 모집이었으나 63명의 수시이월인원이 발생하면서 실제로는 1268명 모집했다.
지난해 단일 전형 기준 최고 이월률은 성균관대가 기록했다. 15명 모집에 9명이 이월해 실제로는 24명을 모집했다. 이월인원이 반영된 24명 중 이월인원 9명은 37.5%의 이월률이다. 고신대(일반) 36%(이월 9명/이월반영 25명), 조선대(일반) 32%(16명/50명), 충남대(일반) 26.9%(7명/26명), 울산대 23.1%(3명/13명), 인제대 21.4%(9명/42명), 전북대(일반학생) 12.1%(4명/33명), 대구가톨릭대 9.5%(2명/21명), 고려대 7.4%(2명/27명), 건국대(글로컬) 5.9%(1명/17명), 단국대 3.8%(1명/26명) 순이다.
반면 가천대 가톨릭대 강원대 건양대 경북대 경상국립대(일반) 경상국립대(지역인재) 동아대(일반학생) 동아대(지역인재) 아주대 연세대 전남대(일반) 전남대(지역인재) 전북대(지역인재) 조선대(지역인재) 충남대(지역인재) 한양대 가톨릭관동대 경희대 부산대 서울대 연세대(미래) 영남대 원광대 을지대 이화여대(수능(인문)) 이화여대(수능(자연)) 중앙대 충북대(일반) 충북대(지역인재) 한림대 계명대 고신대(지역인재) 동국대(WISE) 순천향대 인하대 제주대(일반) 제주대(지역인재)는 수시이월이 발생하지 않았다.
수시 미등록 충원 등록 마감이 끝난 후부터 원서접수 전까지 대학들은 수시이월 규모를 공개할 예정이므로 수험생은 정시 원서접수 전 모집인원을 다시 확인할 필요가 있다.
올해 수시 미등록 충원 등록 마감은 12월27일이다.
정시 원서접수 시작은 이틀 뒤인 12월29일이다.
접수마감은 대다수 내년 1월2일 마감한다.
예외인 곳은 서울대와 연세대로 이보다 이른 12월31일 마감한다.
1월3일 마감하는 대학 중에서도 마감시각은 차이가 있다.
오후6시 마감하는 대학이 가장 많지만 이르게는 5시, 늦게는 7시, 8시 마감하는 대학도 있다.
오후5시 마감하는 곳은 가톨릭대 고려대 단국대 성균관대 아주대, 오후6시 마감하는 곳은 가천대 가톨릭관동대 강원대 건국대(글로컬) 경북대 경희대 계명대 고신대 대구가톨릭대 동국대(WISE) 동아대 부산대 순천향대 연세대(미래) 영남대 울산대 원광대 을지대 이화여대 인제대 인하대 전남대 전북대 제주대 조선대 중앙대 충남대 한양대, 저녁7시 마감하는 곳은 건양대 경상국립대 충북대, 저녁8시 마감하는 곳은 한림대다.
수능 성적에 의해 당락이 결정되는 정시에서는 통상 선호도가 비슷한 의대 간 선택은 모집인원이 많은 대학이 우선시된다. 모집인원이 많을수록 추가합격까지 고려하면 합격선이 낮게 형성될 가능성이 커 합격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물론 반대 상황도 빈발한다. 모집인원이 적은 경우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미리 예상해 지원을 주저하면서 합격선이 내려가기도 한다. 다각도로 움직임을 주시하며 지원전략을 따질 필요가 있다.
최근 몇 년간 수시이월 추세를 들여다볼 필요도 있다. 수시이월 규모는 2015학년 252명에서 2016학년 128명, 2017학년 87명으로 줄어들다가 2018학년 109명, 2019학년 211명으로 다시 늘어나는 추세였다가 다시 2020학년 162명, 2021학년 157명, 2022학년 63명으로 줄었다.

'金銀鍍 의 명리학 이야기 > 의대정시와 수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전국 의대·치대·한의대·약대·수의대 모집정원 (0) | 2022.12.25 |
---|---|
의대 레벨과 전공과 선정 (0) | 2022.12.21 |
비수도권 지역 의대·치대·한의대·약대가 전체 정원 40% 이상을 지역 인재로 선발의 변 (0) | 2022.12.20 |
2023 의대 정시 전형 방법 (0) | 2022.12.20 |
수능을 몇개 틀려야 의대 가는가? (0) | 2022.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