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수님

대운과 세운의 해석

Fortune Ked 2020. 11. 23. 15:12
반응형

대운과 세운의 해석

 

1. 대운과 세운의 기본개념

 

(1)남녀의 구분

남자는 기본적으로 ()에 속하므로 , , , , , 양의 운을 지날 때 불리하고, 여자는 기본적으로 ()에 속하므로 , , , , , 음의 운을 지날 때 불리합니다. ()운과 양()운의 구분을 좀 더 자세히 해 본다면 삼합의 운동성으로 구분해서 보아야 합니다. 삼합으로 구분하여 음운과 양운을 나눈다면 ()의 운은 , , ()운과 巳酉丑()이 되겠고, ()의 운은 , , ()운과 , , ()의 운이 되겠습니다.

 

(2)대운

대운은 지지를 기준으로 하여 계절을 의미하고, 큰 환경의 변화 그리고 주거지의 변동합니다. 대운의 변화는 30년을 기준으로 하여 변하므로, 일생동안 작게는 두 번, 많게는 세 번의 변화를 맞습니다. 대운은 사주팔자의 월간지를 기준으로 하여 산출이 되므로 계절의 연장이라고 보아야 합니다. 대운은 인생의 큰 흐름을 말하는데 대운이 좋으면 절대 잘못 되는 일이 없고 약 30년 주기가 상승기면 세운에 따라서 작은 어려움은 있을지 몰라도 발전하는 기류는 변하지 않습니다.

 

(3)세운

세운은 당해 연도를 의미하고, 해당 년도에 일어날 수 있는 사건, 사고, 현상 등을 해석합니다. 세운은 따로 정하는 법이 없고 누구나 해당 년도를 맞이하는 공통된 것이 세운입니다. 그것을 본인의 사주팔자 일간을 대조하여 해석을 하므로 각자 똑같은 세운이라도 다르게 적용이 됩니다. 세운이 좋아도 대운이 하락세가 되면 큰 흐름상 흉을 면할 수가 없을 것이고, 어려움 중에서 작은 기쁨 정도는 있을 것입니다.

 

2. 개두(蓋頭)

개두는 덮을 개, 머리 두 라는 뜻입니다. 머리 위로 드러난 것이 중요하다는 의미로 팔자에서 천간은 사람의 얼굴이나 머리를 의미하며, 지지는 사람의 몸을 의미하며, 지장간은 몸속에 장기를 의미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서 일간이 ·(), ·()이 좋은 운일 때 ·(), ·()은 나쁜 운이 되는데, 대운에서 천간에 , , , 이 오면 개두가 된 것이니 좋고, , , , 이 오면 나쁘다고 봅니다. 혹시 대운 지지에 , , , 이 있다고 하여도 천간에 , , , 이 개두 하였다면 나쁘다고 판단합니다. 그 이유는 , , , , , , 을 덮어씌우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 , , 이 얼굴을 드러내기 힘들다고 봅니다.

 

대운의 지지가 좋은 운에 해당 되어도 대운의 천간이 나쁜 운이면 길하지 않고, 대운의 지지가 나쁜 운이라도 대운의 천간이 좋은 운이면 흉하지 않다고 판단합니다. 개두는 사주나 운에서 천간을 뜻하는 것으로 천간의 중요성을 강조한 학설이라고 볼 수가 있습니다.

 

3. 절각(截脚)

절각은 끊을 절, 다리 각이라는 뜻입니다. 절각이란 일간이 ·을 좋은 운으로 반기는데, 지지에 이를 극하는 오행을 만난 것을 말하는바 를 만난 경우입니다. 천간에 ·운이 올 경우라도 지지에서 어떤 영향을 받고 있는지를 짐작하여 판단합니다.

 

甲子운은 의 생을 받아서 좋고, 甲辰운은 (, , )의 여기 정도의 힘을 가졌다고 보고, 지지가 (, , )이라면 정기의 힘을 가졌다고 보아 천간의 의 힘을 가늠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서 甲申, 乙酉대운을 만났다면 절각되어 있는 상태로 죽은 나무와 같아서 각 10년씩 모두 흉 운으로 봅니다. 이는 대운에서 지지의 영향력을 크게 보는 학설이라고 하겠습니다.

 

4. 대운과 세운의 관계

 

(1)전극(戰剋)

싸울 전, 싸움, 전쟁, 두려워한다는 뜻이다. 전극이란 대운과 세운의 천간이 상극 되는 것을 말한다. 사주에서 을 필요로 할 때 ·대운이면 세운이 ·운처럼 기운이 약하거나 힘이 없어야 길하고, ·세운처럼 대운과 극을 하면 흉하게 된다는 것이다. 전극도 개두처럼 천간을 중요시 하는데 전극은 대운과 세운의 천간이 서로 극하거나, 충 하는 것을 나쁘게 해석하는 것입니다.

 

(2)()

대운의 지지와 세운의 지지가 서로 충()하는 것을 말한다. 대운이 세운을 만난 것을 말합니다. 를 필요로 하는데 戊子 대운에 壬午 세운을 만나면 서로 상충하여 불리게 됩니다. 여기서 충은 천간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주로 지지 충을 말하는 것으로 대운과 세운의 지지가 서로 충 하는 것을 좋지 않게 본다는 것입니다.

 

(3)()

대운 천간과 세운의 천간이 서로 합하는 것()라고 하고, 지지 삼합이나 육합은 합()이라고 합니다. 합이 되어 필요로 하는 오행으로 변하면 길하고, 흉신으로 변하면 불길하다고 봅니다. 또한 합이 되어 변화를 이루지 못하고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 되면 기반이라고 하여 답답하고 불길하다고 봅니다. ()는 대운 천간과 세운 천간이 천간 합을 하는 것을 말하고 그 합에 의해서 생산되는 합의 결과물이 좋은 운에 해당하면, 좋고 나쁜 운에 해당하면 좋지 않다는 해석이다.

 

(4)()

좋을 호, 마땅하다. 아름답다. 자상하다는 뜻입니다. 대운과 세운의 오행이 같은 것을 말합니다. 운을 필요로 할 때 대운이 庚申년이고 세운이 같거나 辛酉년을 만나는 것을 말합니다. 좋은 운으로 작용하거나 나쁜 운으로 작용하는 힘이 매우 강하게 활동하는 결과를 낳습니다. 천간과 지지가 같은 오행이라는 건은 12운성으로도 건록지나 제왕지에 해당하므로 아주 강한 기운을 발산한다는 의견에는 이견이 없습니다

 

★★★

대운과 세운의 관계를 전극, , 화 등으로 설명하는 고서들이 있는데, 계절과 하루가 극하거나 충을 하지 않듯이 흘러가는 길이 다르고, 세운과 월운이 극하거나 충을 하지 않듯이 전혀 관계가 없다고 봅니다. 여러 고서에 나오는 학설들의 내용을 참고로 한다면 사주학을 공부함에 있어 폭넓게 많은 도움이 될 듯합니다.

 

 

5. 대운지지의 반대편 해석

, , , 의 대운을 지날 때는 모든 글자가 양보하지 않는 강한 기운이므로, 운명에 큰 변화가 생기는 격동기를 맞게 됩니다. , , , 의 대운을 지날 때는 입묘작용으로 누군가의 희생에 의한 변화 또는 이중생활의 아픔이 올 수 있는 것으로 봅니다.

 

(1) 비견운 - 편재를 극하여 금전 ,여자 문제

(2) 겁재운 - 정재를 극하여 금전지출, 처의 문제

(3) 식신운 - 편관을 극하여 남자는 자녀, 여자는 남자문제

(4) 상관운 - 정관을 극하여 남자는 직장, 여자는 남편문제

(5) 편재운 - 편인을 극하여 학업문제

(6) 정재운 - 인수를 극하여 모친문제, 학업문제

(7) 편관운 - 비견을 극하여 형제, 친구문제

(8) 정관운 - 겁재를 극하여 건강, 지인문제

(9) 편인운 - 식신을 극하여 남자는 제조, 여자는 자녀문제

(10) 인수운 - 상관을 극하여 남자는 직장, 여자는 자녀문제

 

6. 대운과 사주의 변화

 

대운이 사주의 간지와 배합하여 사주팔자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일어나는 변화를 살펴보겠습니다.

 

(1) 사주 천간과 대운 천간이 합이 되는 경우

대운천간과 사주천간이 모두 길신이거나 흉신으로 작용하지 못합니다. 천간합은 역할을 정지시키는 작용을 하기 때문입니다

 

(2) 같은 오행이라도 음양에 따라서 길흉이 달라지는 경우(천간)

중에서도 의 작용력을 달리 본다는 것으로, 사주에 합이나 충으로 작용력을 잃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3) 대운지지가 같은 오행이라도 음양에 따라서 길흉이 달라지는 경우

사주에 있는 지지의 글자와 배합관계를 살펴야 하기 때문입니다.

 

(4) 대운이 간지가 같은 오행이라도 천간은 길신이고 지지는 흉신일수 있는 경우

일간이 월에 태어나고 천간에 이 있어서 정관격인데, 신강하다면 재성의 도움을 필요로 할 것인데 지지에 은 정관을 강하게 만들지만 천간에 은 관살 혼잡을 만들어 불리하게 됩니다.

 

(5) 사주에 지지를 대운의 지지가 충()하여 길함과 흉함이 달라지는 경우

흉신에 해당하는 지지를 충()하면 길하고, 희신에 해당하는 지지를 충()하면 흉해집니다.

 

(6) 대운에 의하여 성격(成格)과 파격(破格)이 되는 경우

대운에 따라서 격국이 일시적으로 변하는 것을 말하는데, 대운의 기간 동안 작용하는 것으로 봅니다. 파격이 성격으로 변하면 길하고, 성격이 파격으로 변하면 흉합니다. 일간이 월에 태어나 건록격인데 대운에서 을 만나면 , ()으로 식신격이 된다는 것입니다.

 

7. 육친에 의한 대운, 세운, 일진

 

양간(陽干)은 반응이 빠르지만 실속이 없고, 음간(陰干)은 반응이 느리지만 실속이 있습니다.

 

(1) 비견운

대운에 분리나 독립을 하고, 세운에 재물정체가 있으며 일진에 금전지출이 있다.

 

(2) 겁재운

대운에 동업을 하거나 손해를 보고, 세운에 금전손실이 있으며 일진에 실수가 있다.

 

(3) 식신운

대운에 의식주 확장이 있고, 세운에 새로운 시작을 하며 일진에 식복이 있다

 

(4) 상관운

대운에 소모지출이 있고, 세운에 바쁘게 활동을 하며 일진에 유흥에 빠진다.

 

(5) 편재운

대운에 금전유통이 있고, 세운에 바쁘일진에 번거롭다.

 

(6) 정재운

대운에 재물 안정이 있고, 세운에 금전발전이 있으며 일진에 금전회전이 잘된다.

 

(7) 편관운

대운에 감투발전이 있고, 세운에 건강악화가 있으며 일진에 실속이 없.

 

(8) 정관운

대운에 명예발전이 있고, 세운에 무사태평하며 일진에 소식이 온다.

 

(9) 편인운

대운에 문서재산발전이 있고, 세운에 활동둔화가 있으며 일진에 일의 지연이 있다.

 

(10) 인수운

대운에 문서발전이 있고, 세운에 보증을 주의해야하고 일진에 무사 안정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