命理學의 기원
사주(四柱)에 근거하여 사람의 길흉화복(吉凶禍福)을 알아보는 학문 사람이 태어난 연(年)·월(月)·일(日)·시(時)의 네 간지(干支), 곧 사주(四柱)에 근거하여 사람의 길흉화복(吉凶禍福)을 알아보는 학문으로 사주학(四柱學)이라고도 한다. 개인의 생년·월·일·시를 분석해 나무·불·물·쇠·흙 등 5가지 기운의 상생(相生)·상극(相剋) 관계를 따져 길흉화복을 판단한다. 사람이 출생한 연월일시(年月日時)의 간지 여덟 글자에 나타난 음양(陰陽)과 오행(五行)의 배합을 보고, 그 사람의 부귀와 빈천, 부모, 형제, 질병, 직업, 결혼, 성공, 길흉 등의 제반 사항을 판단하는 것이다. 이처럼 간지 여덟 글자로 운명(運命)을 추리한다고 해서 팔자학(八字學), 추명학(推命學), 산명학(算命學)이라고도 한다.
십간(十干)과 십이지(十二支)를 조합하여 60주기(周期)로 시간(時間)과 방위(方位), 각도(角度) 등을 나타내는 간지(干支)는 중국의 상(商) 나라 시대부터 나타났다. 은허(殷墟)에서 출토된 갑골문(甲骨文)은 이 시기에 간지를 사용하여 기일(紀日)이나 숫자 등을 나타내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한(漢) 시대 이후에는 하루 24시간을 12지(十二支)로 구분해 나타내면서 연(年)·월(月)·일(日)·시(時)의 사주(四柱) 구분이 더욱 체계화하였다.
이미 주(周) 나라 때에도 간지를 근거로 길흉을 판단했지만,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에 이르러 간지의 사용이 널리 보급되고, 세계와 자연을 음양(陰陽)과 나무[木], 불[火], 흙[土], 쇠[金], 물[水]의 다섯 가지 요소로 설명하는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説)이 확산되면서 간지와 음양오행설을 결합하여 길흉화복을 점치는 명리학(命理學)이 발달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명리학이 현재와 같은 모습으로 체계화한 것은 중국의 당(唐) 나라 이후이다. 당의 이허중(李虛中)은 개인의 사주를 근거로 길흉화복을 알아보는 방법을 체계화하였는데, 이를 당사주(唐四柱)라고 한다. 그래서 이허중은 중국 고대 명리학의 종사(宗師)로 평가된다.
이후 송(宋) 나라 때의 인물인 서자평(徐子平)은 오행(五行)의 상생(相生)·상극(相剋) 이론을 결합하여 명리학을 더욱 체계화하였는데, 간지 여덟 글자에 나타난 음양과 오행의 배합으로 그 사람의 부귀와 빈천, 길흉, 화복을 점친다고 하여 그의 명리학을 팔자학(八字學), 자평팔자학(子平八字學)이라고 한다.
2. 음양
가. 무극(無極)
무극은 천지만물(天地萬物)이 생기기 이전의 혼돈한 상태의 기운을 말한다. 즉 “우주 대폭발설(Big Bang)"이다. 하늘과 땅을 구분할 수 없으니 일체가 하나요, 어둡고 혼돈한 상태이다. 어떠한 이유에서 우주 대폭발이 일어나고, 긴 세월이 지나 청(淸)하고 따뜻한 기운은 상승하여 하늘이 되었고 탁하고 차가운 기운은 아래에 머물러 대지가 되었다. 즉 밝고 더운 기운은 위로 올라가서 陽이되고, 무겁고 어두운 기운은 밑으로 내려가 陰인 땅이 되어 천지가 만들어지고 음양이 만들어져 우주의 변화가 시작되었다는 것이다.
나. 음양(陰陽)의 정의
응달陰과 볕陽字는 해가비친 언덕의 응달과 양달을 형상화하여 만든 글자이다 달은 음을 대표하고 해는 양을 대표하므로 음은 달월(月), 양은 해일(日)이라고 쓰기도 한다. 그리고 해(日)달(月)이 합성되어 역(易)이라는 글자가 만들어진다. 역(易)은 변하다, 바뀌다, 고치다, 교환하다의 뜻으로 멈추지 않고 계속되는 음양의 변화를 통해서 대자연의 역동적인 움직임을 말한다. 음양은 하나의 기운이며 서로 대립하면서도 하나이며 혼자서는 존재할수 없는 관계라고 할수 있다. 우주적인 관점보다는 우리가 현재 살아가고 있는 현실상황에 맞게 재해석한다면 태극은 하루를 의미하며 음은 밤을, 양은 낮을 뜻한다. 이렇듯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흘러가는데 그것은 고정된 실체가 아닌 기운 또는 운동성이라고 하겠다. 밤에는 움직임이 없이 고요하기에 고요할 정(靜), 낮에는 대자연의 활발한 움직임을 보고 움직일 동(動)이라 했을 것이다. 태극이 둘로 나누어져서 음양이 된다.
다. 음양의 상대성
음양의관계는 반대적인개념이 아니라 상대적이라 할수 있다.
①반대적개념 ; 대립이나 적대적 관계로 상대방의 뜻과 행동에 반대하고 그스르는것
②상대적개념 ; 서로 떨어져 있는것 처럼 보이지만 서로 상대에 의지하거나 제약을 받는 관계로써 서로의 역할이 뚜렷한것.
③시간적개념 ; 기본단위의 시간은 하루를 말하며 그하루는 음과 양의 운동을 되풀이하며 흘러가며, 그 시간대에 일어나는 운기를 일정하게 나누고 분류하여 이름을 붙인것이 음양,오행, 천간, 지지이다.
라. 음양의 분류
양과 음의 분류에는 크게 물질적인부분과 정신적인부분으로 나눌수 있다. 그렇게 나눌수있는 방법이 정답이 아니라 운동성을 기준으로 임의적으로 분류하는 것이며 보편적으로 분류하는 것이며 모든 것은 예외가 있다. 시간은 머무름 없이 계속 변하고 흘러가기 때문에 이를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이를 토대로 분류해 본다.
자연계의 분류 | 방향성의 분류 | 사람의 분류 | |||
陰 | 陽 | 陰 | 陽 | 陰 | 陽 |
밤 | 낮 | 하 | 상 | 여자 | 남자 |
저녁 | 아침 | 우 | 좌 | 늙다 | 젊다 |
겨울 | 여름 | 들어옴 | 나감 | 하체 | 상체 |
가을 | 봄 | 뒤 | 앞 | 오장 | 육부 |
북 | 남 | 후퇴 | 전진 | 혈(血) | 기(氣) |
서 | 동 | 낮음 | 높음 | 육체 | 정신 |
수(水) | 화(火) | 내려감 | 올라감 | 들숨 | 날숨 |
어두움 | 밝음 | 하강 | 상승 | 정지 | 동작 |
춥다 | 덥다 | 온다 | 간다 | 죽음 | 삶 |
하늘 | 땅 | 내리다 | 오르다 | 악 | 선 |
공간 | 시간 | 과거 | 미래 | 슬픔 | 기쁨 |
습함 | 건조함 |
|
|
|
|
마. 陰陽의 이해와 명리학
하루 → 陰운동 ⇋ 陽운동 → 시간의 흐름 → 일어났다가 사라짐 ⇅
한달 → 일년 → 평생흘러감
이런 시간의 역사를 공부하는 것이며 거기에서 일정한 법칙을 발견하고 연구하며 변화를 관찰하는 것이다. 시간과 공간에 대한 연구를 하는 생활철학이며 자연의 변화와 인간삶의 변화를 공부하는 대자연의 학문인 것이다.
음(陰)
① 차가운 기운이 음이다. 차가운 기운은 무거워서 가라앉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음기(陰氣)는 하강하는 성질이 있으며 수축하는 성질이 있다. 계절로는 “가을겨울”이 음이다.
② 움직이지 않는 기운이 음이다. 음은 “땅”으로 보니 안정되어 움직이지 않으려는 성질이 있다.
③ 어두운 기운이 음이다. 음기는 춥고 어두우니 “밤”으로 보고 “달”로 본다.
④ 부드럽고 약한 기운이 음이다. 땅은 유순하여 일체 만물을 싣고 순종하며 어머니와 같이 풀과 나무를 키운다. 음기는 “여자”와 같아 소극적인 성질이 있다.
양(陽)
① 따뜻한 기운이 양이다. 더운 기운은 가벼워서 위로 올라가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양기(陽氣)는 상승하는 성질이 있으며 발산하는(퍼지는) 성질이 있다. 계절로는 “봄여름”이 양이다.
② 움직이는 기운이 陽이다. 陽은“하늘”로 보니 바람과 비, 구름, 해와 달이 항상 움직이고 멈추지 않는다.
③ 밝은 기운이 陽이다. 陽氣는 따뜻하고 밝으니 “낮”이고 “태양”으로 본다.
④ 굳세고 강한 기운이 陽이다. 하늘은 굳세고 강건하여 萬物을 지배한다.
“남자”와 같고 적극적이고 활동적인 성질이다.
'쉬운 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주 카폐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갑목과 10천간 (0) | 2019.04.22 |
---|---|
[광주/남구 사주 카페 도혜] 명리학 공부하는 순서와 암기할 것 (0) | 2018.04.21 |
[광주/남구 사주 카페 도혜] 사주학의 기본기들 (0) | 2018.04.16 |
[광주/남구 사주 카페 도혜] 日干오행으로 성격감정 (0) | 2018.04.16 |
[광주/남구 사주 카페 도혜] 사주팔자와 성격 (0) | 2018.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