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正印格(정인격) 偏印格(편인격)과 用神(용신)
丙癸乙庚 乾 辰亥酉寅
壬辛庚己戊丁丙 辰卯寅丑子亥戌 |
『淵海子平』
偏印用財格(편인용재격), 癸主用財格(계주용재격).
月支(월지)에 酉金(유금) 偏印(편인)을 놓아 得令(득령)하였다. 日支(일지)에 亥水(해수) 劫財(겁재)를 놓아 得地(득지)하였다. 年干(년간)에 庚金
(경금) 正印(정인)이 透出(투출)하여 日主(일주)를 生助(생조)하니 身强(신강)이다. 辰土(진토) 正官(정관)은 虛弱(허약)하여 不用(불용)이고 時上(시상)에 丙火(병화) 偏財(편재)를 爲用(위용)한다. 寅中丙(인중병)에 有根(유근)이니 能用(능용)한다. 東方(동방) 寅卯運(인묘운)에 發福(발복)한 監簿(감부)의 四柱(사주)다.
丁乙乙己 乾 亥丑亥亥
戊己庚辛壬癸甲 辰巳午未申酉戌 |
『命理正宗』
正印用財格(정인용재격), 乙主用財格(을주용재격).
月支(월지)에 亥水(해수) 正印(정인)을 얻어 得令(득령)하였다. 地支(지지)에 亥亥丑亥(해해축해)로 水局(수국)을 成(성)했다. 乙木(을목)이 水多木浮(수다목부) 같으나 亥中甲(해중갑)에 着根(착근)되어 浮木(부목)은 免(면)하였다. 年上(년상)에 己土(기토) 偏財(편재)를 爲用(위용)한다. 丑中己(축중기)에 有根(유근)하니 能用(능용)한다. 癸酉(계유) 壬申(임신) 運(운)은 不利(불리)하였고 辛未(신미) 庚午(경오) 己巳(기사) 戊辰(무진) 運(운)에 土止水流(토지수류)되어 萬石富者(만석부자)가 되었다.
壬乙己丙 乾 午酉亥子
丙乙甲癸壬辛庚 午巳辰卯寅丑子 |
『滴天髓』
正印用傷格(정인용상격), 乙主用傷格(을주용상격).
月支(월지)에 亥水(해수) 正印(정인)을 逢(봉)하여 得令(득령)하였다. 亥子水局(해자수국)하고 亥中壬(해중임)이 時上(시상)에 透干(투간)하여 得勢(득세)하니 身强(신강)이다. 日支(일지)에 酉金(유금) 偏官(편관)은 水局(수국)에 泄氣(설기)되어 不用(불용)이다. 年干(년간)에 丙火(병화) 傷官(상관)을 爲用(위용)한다. 午中丁(오중정)에 通根(통근)하고 月干(월간) 己土(기토)가 護衛(호위)하여 能用(능용)한다. 早年(조년)에 甲第(갑제) 하였고 東南方(동남방) 木火運(목화운)에 發(발)하여 封疆(봉강)에 이르게 되었다.
戊辛癸乙 乾 子酉未卯
丙丁戊己庚辛壬 子丑寅卯辰巳午 |
『淵海子平』
偏印用財格(편인용재격), 辛主用財格(신주용재격).
月支(월지)에 未土(미토) 偏印(편인)을 만나 得令(득령)하였다. 辛主(신주)는 酉金(유금) 祿根(록근)으로 得地(득지)하였다. 또 時上(시상)에 戊土(무토) 正印(정인)이 生助(생조)하니 身强(신강)이다. 年柱(년주)에 乙木(을목) 偏財(편재)를 爲用(위용)한다. 身旺財興(신왕재흥)으로 水木運(수목운)을 만나 巨富(거부)에 貴(귀)를 兼(겸)하였다.
戊辛戊丙 乾 子酉戌寅
乙甲癸壬辛庚己 巳辰卯寅丑子亥 |
『子平眞詮』
正印用食格(정인용식격), 辛主用食格(신주용식격). 張參政造
月支(월지)에 戌土(술토) 正印(정인)을 만나 得令(득령)하였다. 辛主(신주)는 酉金(유금) 祿根(녹근)에 앉아 得地(득지)하였다. 時干(시간)月干(월간)에 兩戊土(양무토)와 酉戌(유술)이 金局(금국)하여 生助(생조)하니 得勢(득세)하였다. 印劫太旺(인겁태왕)으로 身强(신강)이다. 年干(년간)에 丙火(병화) 正官(정관)은 印星(인성) 土(토)에 泄氣(설기)되어 不用(불용)이다. 時支(시지)에 子水(자수) 食神(식신)을 爲用(위용)한다. 旺者洩泄(왕자설설)하는 東北方(동북방) 水木運(수목운)에 富貴(부귀)를 누린 參政(참정)이다. (日干 中心으로 身强身弱을 重要視하여 看命함)
丙甲辛壬 乾 寅戌亥辰
戊丁丙乙甲癸壬 午巳辰卯寅丑子 |
『窮通寶鑑』
偏印用財格(편인용재격), 甲主用財格(갑주용재격).
月支(월지)에 亥水(해수) 偏印(편인)을 얻어 得令(득령)하였다. 年上(년상)에 亥中壬(해중임)이 透干(투간)되고 寅亥(인해) 合(합)을 지어 得勢(득세)하였다. 時支(시지) 寅木(인목)에 祿根(록근)하여 得地(득지)하였다. 故(고)로 身强(신강)이다. 月干(월간)에 辛金(신금) 正官(정관)은 不用(불용)이다. 旺水(왕수)에 泄氣(설기) 되어 虛官(허관)이다. 戌辰中戊土(술진중무토)가 爲用(위용)이다. 南方(남방) 火土運(화토운)에 大富(대부)가 되었다.
甲丁己庚 乾 辰丑卯辰
丙乙甲癸壬辛庚 戌酉申未午巳진 |
『窮通寶鑑』
偏印用財格(편인용재격), 丁主用財格(정주용재격).
月支(월지)에 卯木(묘목) 偏印(편인)을 놓아 得令(득령)하였다. 卯辰木局(묘진목국)하고 甲木(갑목)이 透出(투출)하여 生助(생조)하니 得勢(득세)하였다. 故(고)로 身强(신강)이다. 年上(년상)에 庚金(경금) 財(재)를 爲用(위용)한다. 西方(서방) 財地(재지) 金運(금운)에 尙書(상서)가 되었다.
壬戊甲辛 乾 子寅午未
丁戊己庚辛壬癸 亥子丑寅卯辰사 |
『窮通寶鑑』
正印用財格(정인용재격), 戊主用財格(무주용재격).
月支(월지)에 正印(정인)을 놓아 得令(득령)하였다. 地支(지지)에 寅午未(인오미) 火局(화국)을 成(성)하여 得地(득지) 得勢(득세)하였다. 故(고)로 身强(신강)이다. 時上(시상)에 壬水(임수) 偏財(편재)를 爲用(위용)한다. 四柱(사주)가 印旺殺高(인왕살고)하여 出將入相(출장입상)하였다.
庚己辛乙 乾 午巳巳丑
甲乙丙丁戊己庚 戌亥子丑寅卯辰 |
『窮通寶鑑』
正印用食格(정인용식격), 己主用食格(기주용식격).
月支(월지)에 巳火(사화) 正印(정인)을 만나 得令(득령)하였다. 地支(지지)에 巳午(사오) 火局(화국)과 丑土(축토)를 만나 得勢(득세) 得地(득지)하였다. 印星太旺(인성태왕)이다. 年干(년간)에 乙木(을목)은 無根(무근) 衰官(쇠관)이니 不用(불용)이다. 月上(월상)에 辛金(신금) 食神(식신)을 爲用(위용)한다. 洩泄(설설)하는 亥子丑(해자축) 北方(북방) 水運(수운)에 方伯(방백)이 되었다.
甲庚丁己 乾 申子丑巳
庚辛壬癸甲乙丙 午未申酉戌亥子 |
『窮通寶鑑』
正印用官格(정인용관격), 庚主用官格(경주용관격). 兄弟雙生(형제쌍생).
月支(월지)에 丑土(축토) 正印(정인)을 놓아 得令(득령)하였다. 時支(시지) 申金(신금)에 祿根(록근)으로 得地(득지)하였다. 年干(년간)에 己土(기토)는 丑中己(축중기)에 有根(유근)하여 生助(생조)하고 巳丑(사축) 金局(금국)으로 得勢(득세)하니 身强(신강)이다. 月干(월간)에 丁火(정화) 正官(정관)을 爲用(위용)한다. 丁火(정화)가 巳中丙(사중병)에 通根(통근)하였으나 甲木(갑목) 財(재)가 無根(무근) 虛財(허재)이니 虛弱(허약)한 用神(용신)이다. 故(고)로 兄(형)은 微官末職(미관말직)으로 弟(제)는 秀才(수재)로 그쳤으며 不貴(불귀)하였다.
壬辛戊丙 乾 辰未戌戌
乙甲癸壬辛庚己 巳辰卯寅丑子亥 |
『窮通寶鑑』
正印用傷格(정인용상격), 辛主用傷格(신주용상격).
四支(사지)에 戌未辰土(술미진토)를 만나 印星太旺(인성태왕)이다. 時上(시상)에 壬水(임수) 傷官(상관)을 爲用(위용)하여 그 旺勢(왕세)를 洩泄(설설) 시키는 것이 適宜(적의)하다. 年干(년간)의 丙火(병화)는 重土(중토)에 吸收(흡수)되어 不用(불용)이다. 東方(동방) 木運(목운) 財鄕地(재향지)에 大發(대발)하여 尙書(상서)에 올랐다.
己壬丁丙 乾 酉子酉子
甲癸壬辛庚己戊 辰卯寅丑子亥戌 |
『窮通寶鑑』
正印用財格(정인용재격), 壬主用財格(임주용재격).
四支(사지)에 子酉(자유) 金水(금수)이니 印劫太旺(인겁태왕)이다. 太旺者(태왕자)는 洩泄(설설)함이 適宜(적의)한데 柱中(주중)에 無木(무목)이다. 丙丁火(병정화) 財星(재성)과 己土(기토) 正官(정관)은 모두 無根(무근)이니 虛財(허재) 虛官(허관)이다. 泄水之氣(설수지기)가 無(무)하므로 一生(일생) 貧苦(빈고)가 甚(심)하였다.
丙壬戊丁 乾 午辰申亥
辛壬癸甲乙丙丁 丑寅卯辰巳午未 |
『窮通寶鑑』
偏印用財格(편인용재격), 壬主用財格(임주용재격).
月支(월지)에 申金(신금) 偏印(편인)을 놓아 得令(득령)하였다. 年支(년지) 亥水(해수)에 祿根(녹근)을 놓아 得地(득지)하였다. 申辰(신진) 水局(수국)을 成(성)하여 得勢(득세)하였다. 故(고)로 身强(신강)이다. 財滋弱殺(재자약살)로 丙丁火(병정화) 財星(재성)을 爲用(위용)한다. 東南方(동남방) 木火運(목화운)에 發福(발복)하여 尙書(상서)에 이른 사주다.
丙乙丁乙 乾 戌丑亥亥
庚辛壬癸甲乙丙 辰巳午未申酉戌 |
『三命通會』
正印用財格(정인용재격), 乙主用財格(을주용재격).
月支(월지)에 亥水(해수) 正印(정인)을 逢(봉)하여 得令(득령)이다. 亥亥丑(해해축) 水局(수국)을 成(성)하고 乙木(을목) 比肩(비견)이 透干(투간)되어 得勢(득세)하였다. 身强(신강)이다. 故(고)로 戌中戊土(술중무토) 正財(정재)를 爲用(위용)한다. 南土運鄕(남토운향) 火土運(화토운)이 吉(길)하다.
丙甲壬壬 乾 寅戌子申
己戊丁丙乙甲癸 未午巳辰卯寅丑 |
『三命通會』
正印用食格(정인용식격), 甲主用食格(갑주용식격).
月支(월지)에 子水(자수) 正印(정인)을 逢(봉)하여 得令(득령)하였다. 申子水局(신자수국)에 兩壬水(량임수)가 透干(투간)하여 印星太旺(인성태왕)이다. 甲日主(갑일주)는 寅木(인목) 比肩(비견)에 有根(유근)하여 得地(득지)하고 있다. 時上(시상)에 丙火(병화) 食神(식신)을 爲用(위용)한다. 木火通明(목화통명)으로 南方運鄕(남방운향) 火土運(화토운)에 貴(귀)히 된 命(명)이다.
[출처] 정인격 편인격과 용신 |작성자 오자평
'격국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후 (0) | 2020.08.25 |
---|---|
인수격 ( 양인격) (0) | 2020.08.23 |
정인격 편인격과 용신 (0) | 2020.08.22 |
겁재격과 비견격 용신 (0) | 2020.08.13 |
용신정하기 (0) | 2020.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