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공부4

[광주/남구 사주 카페 도혜] 사주정립법(四柱定立法)

Fortune Ked 2018. 4. 16. 20:45
반응형

 사주정립법(四柱定立法)

 

사주란 년, 월, 일, 시를 기둥처럼 세운다고 해서 四柱 라고 말합니다. 글자로는 넉四字에 기둥柱자를 쓴다. 年柱는 그냥 출생한 년도를 그대로 기입하면 되는데, 예를 들어 2013년 그러면, 흔히 뱀띠해 라고 합니다. 사주는 여덟글자 입니다. 천간과 지지가 같이 생겨야 합니다. 천간과 지지를 같이 쓰게 만들어 둔 것을 육십갑자라고 합니다. 천간 10자와 지지 12자를 짝을 맞춰둔 것을 60甲子 라고 하는데, 매년 그 60甲子중에 하나를 끓어다가 씁니다. 2013년은 癸巳年입니다. 그런데, 한가지 주의해야할 일이 있는데, 命理는 節氣를 基準으로 한다는 것입니다. 매월 1일이 그 달의 시작이 아니라는 것이다. 매년 1월 1일이 그 해의 시작이 아니기 때문에 음력 1월 1일이라 하여 해가 바뀌었다고 하지는 않습니다. 명리에서 1년의 시작은 立春 절기부터 시작이 됩니다. 그러니 혼동하지 마시고, 立春節氣에 걸렸나 안걸렸나를 살펴보고 年柱를 세우라는 것입니다. 흔히 절기는 태양력 그러는데, 24절기로 구분됩니다. 입춘, 동지......, 그걸 절기라고 하는데, 명리에서 한해의 시작은 立春부터 시작을 하니까, 아무리 2013년 음력 1월 1일이라 하더라도 立春이 지나지 않았으면 2012년 壬辰年이 되는 것입니다. 年柱 세우는법에 대해서 정리를 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①년주(年柱)를 정하는법

▮ 出生한 年度 즉 太歲를 그대로 記錄 하면 된다.

      (癸巳年 出生 이면 癸巳를 쓰면 된다.)

▮ 立春節 을 기준으로 하여 前年度와 新年度 太歲를 구분 한다. (2013년2월3일진시생)

  * 癸巳年 2月3日 生 = 壬辰生(入春이 2月4日)

 * 立春이 지났다면 월건 도 癸丑月이 아닌 甲寅月 이된다.

이렇게 년주가 세워지면 오른쪽에 세로로 壬辰 라고 적습니다. 사주는 오른쪽에서부터 연월일시를 적습니다. 

시 일 월 년

ㅇ ㅇ ㅇ 壬

ㅇ ㅇ ㅇ 辰

 

② 月 柱 정하는법

월주는 좀 복잡해서 24절기를 기준으로 합니다. 출생한 달의 干地를 가리켜 月柱 또는 월건(月建)이라고 한다. 月柱는 계절을 의미하며 四柱八字 중에서 가장 힘있고 중요한 五行이며 이를 기준으로 격(格)을 잡는다. 우리는 정격이외의 파격에는 격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보통 立春부터 시작해서 小寒까지 12개만 외우면 될듯하다.

십이지 

1月

2月  

3月  

4月  

5月  

6月  

7月  

8月  

9月  

 

10月  

 

11月  

12月 

호랑이

토끼

원숭이

돼지

절기 

立입

春춘

驚경

蟄칩 

淸청

明명 

立입

夏하 

芒망

種종 

小소

暑서 

立입

秋추 

白백露로 

寒한

露로 

立입

冬동

大대

雪설

小소

寒한

 

立春節氣부터 1월인데 1월은 寅월 입니다. 立春이 되어야 寅月이 되는것이죠. 月柱를 정하는 것은 年柱를 세웠으면 쉽게 정할수 있습니다.

2013년 2월3일은 立春節氣를 지나지 않았으니(입춘 2월4일), 癸丑월이 됩니다.

시 일 월 년

ㅇ ㅇ 癸 壬

ㅇ ㅇ 丑 辰

이렇게 세우는 것이죠.

 

③ 日柱 세우는 法

일주는 태어난 날을 말하며 일주는 사주의 主人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일주는 태어난 날의 일진을 쓰는데, 하루를 나누는 기준은 자시(子時)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子時는 야자시(夜子時)와 조자시(朝子時)로 나눈다. 夜子時는 그날의 일진을 그대로 사용하고, 朝子時는 다음날 일진을 사용한다. 다시 말하면, 전날 야자시(夜子時)와 당일 조자시(朝子時)는 時는 같지만 날짜가 달라지고, 당일의 조자시와 야자시는 날짜는 같고 時의 干만 달라진다.

▮ 萬歲曆을 보고 그 出生한 年度 生日을 찾아서 出生한 日辰을 그대로 記錄한다.

시 일 월 년

ㅇ 庚 癸 壬

ㅇ 子 丑 辰

이렇게 작성한다.

 

④ 時柱 세우는법

年柱를 가지고 月干을 세우는 것처럼 시간도 똑같은 방법을 사용합니다. 時干을 붙이는 방법은 시두법(時頭法)이 있다. 시간은 보통 東京 基準時를 사용하는데, 東京 기준시를 쓰게 되면,

조자시 - 금일00시30분 부터 오전 1시 30분까지

축 시 - 금일 오전 1시30분 부터 3시30분까지

인 시 - 오전 3시30분 부터 5시30분 까지

묘 시 - 오전 5시30분 부터 7시30분 까지

진 시 - 오전 7시30분 부터 9시30분 까지

사 시 - 오전 9시30분 부터 11시30분 까지

오 시 - 오전 11시30분 부터 오후1시분 까지

미 시 - 오후 1시30분 부터 오후3시30분 까지

신 시 - 오후 3시30분 부터 오후5시30분 까지

유 시 - 오후 5시30분 부터 저녁7시30분 까지

술 시 - 저녁 7시30분 부터 저녁9시30분 까지

해 시 - 저녁 9시30분 부터 저녁11시30분까지

야자시 - 저녁 11시30분부터 금일 00시 30분까지

이렇게 사용합니다. 이렇게 사주를 正立하면 (예를 들어 2013년 2월 3일 아침 8시)에 태어난 사주를 萬歲曆에서 찾아보면 임진년, 계축월, 경자일, 경진시로 나온다.

 

시 일 월 년

庚 庚 癸 壬

辰 子 丑 辰

사주 명식이 完成되었다.

사주명식을 작성하는 方法은 萬歲曆을 보고 작성하는 方法도 있지만 많은 수작업을 통해서 練習해 보는것이 좋겠다. 사주명식 작성을 모두 외워야 하는것은 아니다. 萬歲曆이란 冊에 자세히 나와있고, 단지 그 근거(根據)와 原理는 알아야 한다.

 

아. 大運 을 定하는 法 

 

四柱八字 라는 것은 8글자만 놓고 보는 것이 아니고, 大運(太歲)이라는 나이에 따른 계절적 환경을 두고 판단을 합니다. 그래서 四柱를 세웠으면 대운(太歲)을 정하게 됩니다. 보통 만세력이라는 곳에 대운수까지 다 기록이 되어있지만 그래도 어떻게 세워지는지 공식은 알고 있어야겠다.

▮ 陽男 陰女는 順行  -  未來節

▮ 陰男 陽女는 逆行  -  過去節

* 生年의 天干의 陰陽을 구별하여 월령을 기준으로 하여 쓴다. 이것이 기준입니다.

양남음녀 順行, 음남양녀 逆行, 양남 음녀, 男子는 陽이고 女子는 陰이니 이게 제대로 되었으니 順하다 하여 바르게 가는 것이고, 男子가 음을 띠고, 女子가 陽을 띠면 바르지 않으니 거역했다고 합니다. 그럼 여기서 陽男 陰男의 기준은, 그냥 生年을 기준으로 합니다. 生年 天干에 있는 甲乙丙丁이 陰이냐 陽이냐를 구분하면 됩니다. 甲은 陽, 乙은 陰, 丙은 陽, 丁은 陰 이런식으로 구분된것. 이것이 陰이냐 陽이냐를 본것입니다. 順行과 逆行은 뭘까요? 사주는 季節學입니다. 그래서 월령의 힘이 가장 강하죠. 월령의 힘이 그냥 고정되어 있으면 이사람의 인생이 항상 태어난 그대로 이겠지만 사람은 시간이 지날수록 나이를 먹게 되고, 삶의 환경이 달라지게 됩니다. 그래서 각각의 사람마다 나이에 맞게 四柱를 變化를 주자고 해서 만들어진게 大運 이라는것 입니다. 年, 月, 日, 時 중에서 사람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것은 季節입니다. 季節은 月의 變化에서 시작하게 되는 것이니까 10년 大運은 月에서 變化를 줍니다. 자신이 태어난 月 빼고 그 다음부터 사용하는데, 위에서 말한 공식, 陽男陰女, 陰男陽女의 公式을 이제야 代入하는것이다. 예를 들어볼까요? 예를 들어 2013년 2월 3일 아침 8시생이 男子라면, 壬(水)가 陽이니까 아래와 같이 되겠죠? 男子니깐 陽男이 됩니다. 그럼 順行이 됩니다. 癸丑月 다음부터 기록해야 되겠죠?

 

시 일 월 년

庚 庚 癸 壬

辰 子 丑 辰

경 기 무 정 병 을 갑

신 미 오 사 진 묘 인

 

癸丑月은 빼고 順行 甲寅, 乙卯, 丙辰, 丁巳, 戊午, 己未, 이렇게 흘러갑니다. 만약 女子라면? 陽女에 속하는 것이니까, 逆行하면 됩니다. 그럼 大運은 壬子부터 시작하겠죠?

병 정 무 기 경 신 임

오 미 신 유 술 해 자

 

陽男陰女, 陰男陽女의 槪念은 年柱 天干이 陰이면 陰男 陰女가 되는것이고, 陽이면 陽男 陽女가 되는것인데, 男子는 보통 陽이라고 하고 女子는 보통 陰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陽男, 陰女, 이러면 陰陽에 맞게 配屬 된것이니까, 하늘의 뜻을 어긴 것이 아닌게 되고 그러니 順行(순서대로 행한다?)이러는 것이고, 陰男 陽女, 이렇게 되면 陽인 男子가 陰에 되는것이고 陰인 女子가 陽에 배속 되는 것이니까, 하늘의 뜻을 거슬리는 것이니 運이 逆行 하는것입니다.

 

자. 大運數 계산하는 法

 

大運數는 10년씩 들어오는 運이 몇살부터 始作되는지를 보기위해서 計算하는 것이 대운수라고 하는데 大運 정하는법은 좀 어렵습니다. 가장 쉬운 方法은, 그냥 대운수가 적혀있는 萬歲曆 보고 아는것 이고, 다음은 일반적인 方法으로 計算하는 법이 있는데, 여기서도 陽男陰女가 나옵니다. 陽男과 陰女는 生日부터 順行해서 다음 節氣까지 세어서 3으로 나누면 그게 大運數인데, 2013년2월3일 辰時生 男子는 立春節氣까지 하루가 남았으니까 1/3으로 나누면 0.3333이 나옵니다. 계산법에서 소수점 2이상은 반올림해서  2는 올리고, 1은 버린다는 法이 있으니 이 男子라면 大運數가 1 이 됩니다.

61 51 41 31 21 11 1

경 기 무 정 병 을 갑

신 미 오 사 진 묘 인

 

女子는 陽女라 逆行이므로, 小寒까지 거꾸로 세어가면 29가되고 29/3으로 나누면 9가되고 2가남으니 2를 올림 하면 9+1=10 大運數는 10이 되는 것이다.

60 50 40 30 20 10

병 정 무 기 경 신 임

오 미 신 유 술 해 자

 

차. 四柱의 역할(根苗花實)

 

四柱를 세웠으면 그 다음 해야할게 年柱가 뭔지 月柱가 뭔지 日柱가 뭔지를 알아야 할듯합니다. 年柱란 태어난 生年의 干支를 年柱라고 합니다. 아래 四柱에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써진 글자들 중에 ‘年’이란 글자 아래에 壬辰이 年柱 라는 것입니다. 四柱 네 기둥중에 위에 있는 것을 天干, 밑에 있는 것을 地支라고 부릅니다.

年에 있는 年 天干과 地支를 年柱 라고 부릅니다.

月에 있는 天干 地支를 月柱 라고 부릅니다.

年이라는 기둥을 세운것,

月이라는 기둥을 세운 것을 말합니다. 四柱를 보는데 있어서 年月日時를 다른말로는 根苗花實(근묘화실)이라고 불러서 年柱를 뿌리, 月柱를 묘목, 日柱를 꽃, 時柱를 열매에 비유하였습니다. 이말은 四柱를 나무에 비유 했을때,

年柱는 조상의 자리이니 뿌리를 象徵하고,

月柱는 父母의 자리이니 어린 묘목,

日柱는 자신을 뜻하니 꽃,

時柱는 자식을 뜻하니 열매를 비유 하였습니다. 이렇게 年月日時의 자리라는 槪念을 도입하여 四柱를 보는데 도움이 되도록 했습니다.

(乾命) ; 男子 (양)2013년2월3일 辰時生

시 일 월 년

庚 庚 癸 壬

辰 子 丑 辰

61 51 41 31 21 11 1

경 기 무 정 병 을 갑

신 미 오 사 진 묘 인

표로써 간단히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天干

아들

본인

부친

조부

地支

배우자, 상대방

모친

조모

時間

60세이후노년기

미래, 희망,

막연한 기대,

막연한 생각,

꿈, 계획

60세까지 중년기

현재, 진행중

40세까지청,장년기본인의 역사,

의식이 있는 과거, 지난날

20세이전소년기,

무의식의 과거,

집안의 역사,

오래된 기억

空間

비밀스러운 공간, 은밀한 일,

방, 자신의 공간, 희망하는 자리

현재사용중인 공간, 개인적인일, 가정, 거실, 자기자리,

친구자리

집, 부서,

사회적인일,

마당, 부서, 사장

국가, 오래된 공간, 울타리, 회사, 회장

이렇게 區分하는 이유는, 生年이라는 것은 내가 태어난 해(띠)를 말하니 아주 큰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日干이라는 자신이 태어난 社會的, 집안적인 상황을 설명하는것 입니다. 이런것들 그래서 가장 윗대를 뜻하죠, 祖上, 國家, 會社 같은 것들이 社會的인 表現이 되는것입니다. 月柱는 日干이라는 本人이 태어난 環境을 말합니다. 庚(金) 일간이 丑月이라는 환경에 태어난거죠, 그러니 日干 즉 자신이 태어난 집안의 환경을 말합니다. 자신이 태어난 환경, 자신이 활동하는 空間등이 月柱에 속했으니 매우 중요합니다. 가정적으로는 父母를 뜻하죠, 父母 역시 내가 어떻게 할수 있는 存在들이 아닙니다. 그 다음 日柱는 자신이 몇일날 태어났다를 말하는 건데요. 年이라는 社會的인 環經과, 月이라는 家庭的인 환경에서 태어난 것이 日柱(나) 라는 것입니다. 그러니 四柱에서 日干이 중요시 되는 것이다, 月이라는 家庭的인 환경에서 태어난 자신이라는 뜻이죠, 그래서 사주에서 일간을 본인 이라 생각하고 일간 중심으로 人間關係를 형성 했습니다. 마지막으로 時柱는 자신만이 아는것들 입니다. 내가 할수 있는일이 뭐가 있나요. 自身이 은밀히 할수 있는일 그래서 時柱는 은밀한일, 子息에 관여된 일을 象徵하게 된것입니다. 이렇게 설명하니 年月日時에 어째서 저런 의미가 들었는지 좀 이해가 되셨나요? 간단하지만 모르고 넘어가면 理解가 안되는 부분들입니다. 그리고 重要한 부분들입니다. 근묘화실은 나중에 따로 강의토록 하겠습니다. 잘 기억하셨다가 나중에 干支論으로 擴張할 때 使用하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10천간(天干),12지지(地支),천간과 지지의 의미,육십갑자(六十甲子),사주정립법(四柱定立法),大運 을 定하는 法, 사주의 역할(根苗花實)에 대해 공부했습니다. 항상 무극에서 음양이 생기고, 오행으로 분화해서 천간으로 분화하고 그 氣運이 땅으로 내려와 지지가 생겼다는 생각과 그 역할에 대한 개념을 항상 염두해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 시간에는 天干과 地支의 合에 대해서 공부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