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운성

12운성 좌법 봉법 인종법 거법

Fortune Ked 2020. 7. 20. 01:45
반응형

아부태산의 관법으로 봐야겠지요. 일주는 주체이기에 중요하게 보는 편입니다.

천간에 드러나 있으면 그것으로 좌법으로 대입하면 되겠지만 드러나 있지 않을 경우 종법으로 어떤이는 60갑자 포태로 대입하고 어떤이는 천간은 氣의 영역이기에 양간을 우선하여 봅니다.

저는 둘 다 적절히 대입하는 것이 맞다고 보지만, 이번 만큼은 60갑자로 해석한 것입니다.

고민이 따르는 부분으로 좋은 질문입니다. 결국 임상을 통해 확인할 부분이지요.

12운성의 좌법, 봉법, 인종법, 거법은 혹자에 따라서는 상위 1%로로 가는 길이라고 하지요.

그리고 좌법으로 7~80%로 판단하는 것이 맞다고 이 분야의 권위자는 주장하지만 저는 모든 것이 격국의 하위개념으로 봅니다.

그렇더라도 위 명의 경우 많은 부분 좌법으로만으로도 적중한 것으로 봅니다.

나머지 거법, 봉법 등으로 확장하면 인간의 내면까지 더욱 접근할 수 있겠습니다.

 

역총 뮬란님

 

학파 마다의 관법에 따라 어떤 학파는 장생, 목욕, 관대, 건록, 제왕, 쇠를 양기의 발산, 육체적 활동이라고 말하고, 어떤 학파는 양, 장생, 목욕, 관대, 건록, 제왕을 양기의 발산, 육체적 활동이라고 한다. 필자는 장생-목욕-관대-건록-제왕-쇠의 시기가 양기의 발산-육체적 활동이고, 병-사-묘-절-태-양의 시기가 음기의 수용으로서 학문과 지혜를 관장한다고 통변한다.

음포태를 보는 학파도 있고 보지 않는 학파도 있다. 필자는 사주에 따라 음포태를 보는 경우도 있고, 양포태만 활용하는 경우도 있다. 음포태의 기본 원리는 양생음사, 음생양사의 법칙이 적용된다. 그 뜻은 양간이 생(生)한 자리에 음간이 사(死)하고, 음간이 생(生)한 자리에 양간이 사(死)한다는 이론이다. 양간의 장생지가 음간의 사지가 되고, 음간의 장생지가 양간의 사지가 된다. 양간이 순행으로 12운성을 적용하는것을 양포태라고 하고, 음간이 역행으로 12운성을 적용하는것을 음포태라고 한다.

12운성을 통변에 활용하는 방법으로 은 봉법, 좌법, 인종법, 거법 있으며, 이 4가지 방법을 활용하여 일간을 기준으로 연월일시 지지에 포태에 적용하는 방법, 연월일시 동주의 간지를 포태에 적용하는 방법, 일지 장간기준으로 월지에 포태를 적용하는 방법, 연월일시 천간으로 월지에 포태를 한다.

 

1. 봉법

일간을 기준으로 연지, 월지, 일지, 시지에 12운성을 대입시킨후 연지는 초년운, 월지는 청년운, 일지는 장년운, 시지는 노년운으로 간명한다.

2. 좌법

봉법과 마찬가지로 일간을 기준으로 연지, 월지, 일지,. 시지 지장간에 들어 있는 글자를 일간을 기준으로 12운성에 대입시킨다.

3. 인종법

천간에 떠있는 글자를 일지에 12운성으로 대입시켜 십성(육친)의 상황을 간명하고 천간에 없는 글자는 있다고 가정하여 지지에 12운성으로 대입시킨다. 이때, 지지의 글자와 음양을 맞추어 끌어온다. (천간에 없는 글자는 12운성으로 통변하지 않는 학파도 많다)

4. 거법

연주는 연간을 기준으로 연지에 포태를 적용하고, 월주는 월간을 기준으로 월지에 포태를 적용하고, 일주는 일간을 기준으로 일지에 포태를 적용하고, 시주는 시간을 기준으로 시지에 포태를 적용한다.

#궁합잘보는집

율당 작명철학관[SNS사주.궁합.작명상담] 직장운.애정운.재물운 개운법 상담

카톡ID : rentalclub

010-9830-3379

[출처] 12운성의 통변요령 - 봉법, 좌법, 인종법, 거법, 음포태, 양포태, 양생음사, 음생양사|작성자 율당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