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신론

인성대 식상의 모습

Fortune Ked 2020. 6. 30. 10:44
반응형

[정인 -> 식신]

자식을 모친이 잘 되라고 제어하는 모습이라 할까요?

게임하지 말고 공부해라

편식하지 말고 골고루 먹으렴 ~~~ 등등



[정인 > 상관] 상관패인

망나니 손오공이 삼장법사를 만나 제화되어 정의를 위해 일하는 일꾼이 되는 모습

상관의 끼와 재능에 자격이 부여되는 모습



[편인 > 식신] 편인도식 (편인이 밥그릇을 뒤엎음)

식신의 행동력에 편인이 뒷다리 잡아 못 움직이게 함


[편인 > 상관] 상관 패인의 모습과 편인 도식 중 그 어딘가 애매모호

배운것을 가르치는 교육자의 모습으로 많이 발현되고

예능, 예술분야 에서 역할을 많이 하는 것 같습니다.

시, 소설, 시나리오, 연기자, 작곡가 기획자, 광고 ..... 등등


이 또한 단식 표현이니 참고만 하시고 열공 하시기 바랍니다.  느린거북이님

 

상관은 관을 변화를 주는 것이고
편인은 관을 이해하는 것
합이라는 것은 머 비슷하게 서로가 서로를 좋아하는 거죠. 편인위주로 얘기하거나 상관으로 말 하고 편인으로 이유를 얘기하기도 합니다. 발현이 대부분 요렇게 되요.

상관패인인 경우 관성을 이해하고 그 합당한 쪽이지만
상관편인 조합은 내 주장 내 생각을 얘기하니 오해가 생기기도 합니다.

상관+편인 발현은 어려운 사람들 도움을 주는 형태가 되어집니다.
흉신이라 일간위주가 아닌 겁재위주의 인생관을 가지고 있어서 봉사성으로 발현되어지거나 어려운 난제를 풀어주는 일들을 전문적으로 쓰기도 합니다.   애럭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