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지/12지지

金銀鍍의 사주명리학 이야기- 지지의 지리물상

Fortune Ked 2019. 12. 6. 08:19
반응형

지지의 지리물상

 

1 . 子水

 

지리에 분배하므로 墨池( 검은 연못 )가 된다 .

 

선생사주에 巳申刑이 있다 .

 

刑이 있어서 문제가 심각한 것이 되는데 , 刑은 무엇으로 해소 할 수 있는가 ?

 

巳申刑이 다 같은 사신형이 아니라 어떤 사람에게는 위중한 요소로 작용할 때가 있다 .

 

왜 사신형이 다르냐면 , 나중에 공부하겠지만

 

甲              壬

  

申巳 또는  申巳 는 천지 차이가 난다 . 왜 그러냐 ?

 

이것이 포태물상의 차이라는 것인데 ,

 

甲 일주는 申을 보면 절지이고 , 巳는 병지이다 . 그래서 절병의 형인 것이다 .

 

절지에서 병을 얻은 것이다 .

 

壬 일간은 巳를 보면 절지이고 , 申을 보면 생지이다 .

 

절지는 겁살인데 절단나는 것이다 . 겁탈당하는 것이데 , 차압당해보고 그러는 것인데 ,

 

申은 생지이므로 후원성을 의미해서 귀인을 만나는 것이다 .

 

내가 절지에서 생을 만난 것이 된다 .

 

완전히 바닥에서 귀인을 만나서 후원을 받고 살아난 것이다 . 이렇게 차이가 난다 .

 

巳申刑이 다 다른 것이다 . 이것을 포태 십이운성의 물상으로 다 따지는 것이다 .

 

그런데 첫 번째 유형에서 巳申刑을 구제하려면 뭘 쓸것인가 ?

 

酉를 쓰거나 子를 써야 한다

 

그러면 子를 쓰자 . 그러면 子는 묵지가 되는 것이다 .

 

물상은 子를 쓰는데 , 개나 소나 부적을 쓰는 게 아니다 . 자수부적이 따로 있다 .

 

합으로 생을 구할 때 자수부적을 아무 때나 쓰는 게 아니라 이럴때 쓰는 것이다 .

 

먹은 묵지로 묵향이다 .먹물로 제비를 그려준다 .

 

36금수를 응용할 때 그림들을 잘 쓴다 . 像 기물도 많이 쓴다 .

 

잉어는 辰으로 조화를 부린다 .

 

여기서도 申辰합작으로 辰을 쓸 수 있다 . 그런데 진사라망이 걸리기 때문에 쓸 수 없다 .

 

子를 쓰는데 , 문제는 내가 가리켜주니까 알겠지만 이런 것은 평생 공부해도 잘 모른다 .

 

먹으로 그린 그림은 다 子水 계열의 그림이다 . 전혀 엉뚱한 곳에서 해결책을 구하지 말라

 

나중에 재살방으로 문을 내고 그러는데 , 인오술생은 북방으로 문을 내게 하면서 자수 그림들을 두면 통하는 것이다 . 子水는 묵화를 놓아야지 , 거기에 꽂그림이나 이런 것은 안좋다

 

2 . 丑土

 

축은 유안으로 버드나무 이다 . 버드나무 그림은 축토이다 .

 

축이 좋은 사람에게 쓰라는 말이다 .

 

3 . 寅木

 

寅은 광곡이다 . 깊은 계곡이다 . 험준한 산세를 그린 산수화는 인목의 그림이다 .

 

호랑이 그림은 자오충이 있을 때 寅의 그림으로 효과가 있다 .

 

삼합에서 형충이 나왔다 .

 

육충도 삼합이 해소 시켜야 한다 . 육합이 육충을 해소시키지는 못한다 .

 

자오충도 다 다른 것이다 . 포태물상에서 찾아야 하는 것이다 .

 

어떻게 다르냐면 , 庚          壬

 

                       子午  or    子午

 

庚은 子가 사지이고 , 午는 욕지로 욕사의 충이다 .

 

죽어서 목욕하는 염습의 물상으로 치명적인 것이다 .

 

壬은 子가 왕이고 , 午는 태지이다 .

 

태는 갇혀있는 왕의 신세라는 것이다 . 갇힌 공간에서 왕노릇하고 있는 것이다 .

 

이렇듯 둘의 차이는 큰 것이다 . 자오충이 경자 일주면 대단히 무서운 것이다 .

 

이럴 때 寅을 써줘야 하는 것이다 .

 

올해가 甲子年이라고 치면 ,

 

庚子에서 보면 死死의 조합이 되어 위태해지으로 교통사고 조심하라고 하면서

 

호랑이 상을 주거나 광곡의 그림을 주는 것이다 .

 

4 . 卯木 - 경림 ( 진주빛이 나는 쑥 )

 

5 . 辰土 - 초택 ( 풀이 있는 연못 )

 

6 . 巳火 - 큰 역

 

7 . 午火 - 봉후 ( 촛불 )

 

8 . 未土 - 화원

 

집에서 화초를 잘 키우는 여자들은 미토가 있다 .

 

재봉질 잘 한다 . 뜨개질 ( 현침물상)하면사 현침물상을 대체한다 .

 

그래서 화원하는 여자는 팔자가 쎄다 . 현침이 있기 때문이다 .

 

현침이 있는 여자는 꼬집는 손맛이 매우 아프다 .

 

9 . 申金 - 명도로 이름난 도읍 . 가장 이름 난 큰도시

 

10 . 酉金 - 사종 . 종교물상 . 서방정토 이기도 하다 . 불상을 의미하기도 한다 .

 

사주에 酉가 있으면 酉의 물상이 잡힐 것이고 , 천주교나 불자 이다 .

 

자유파에서 주벽이 들거나 주사를 부리거나 하는 현상이 잘 나타나는데

 

자유파가 있다고 해서 무조건 주벽 .주사가 있다고 하면 안된다 .

 

자유파가 포태로 , 子나 酉中에서 욕지가 하나 해당될 때인 것이다 .

 

놀고 먹는 욕이 끼여야 자유파가 해당되는 것이다 .

 

그런데 어떤 사람이 자유파가 있는데 욕지에 해당되면서 사종에도 해당되면

 

스님이면서 술고래인 경우도 있다 .

 

다 그게 아닌 것이다 .

 

이것이 욕지에 해당되어야만 술병물상이 잡히는 것이다 .

 

11 . 戌土 - 소원 ( 거대한 초원 )

 

12 . 亥水 - 현하 ( 은하수 )

반응형

'간지 > 12지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축토(丑土)  (0) 2020.06.04
金銀鍍의 사주명리학 이야기- 술토  (0) 2020.03.23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축(丑) 금고(金庫)를 보면...  (0) 2019.11.12
지지 오(午)  (0) 2019.02.25
지지 미(未)  (0) 2019.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