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재살(災殺)
재살은 삼합의 왕지를 충하는 글자입니다.
신자진생 午
인오술생 子
해묘미생 酉
사유축생 卯
저한테는 인오술생이니 子가 재살이네요.
그럼 다가올 庚子년에 세운으로 재살,
대운으로는 壬子대운이 2년전에 끝났는데
재살대운이었군요.
재살은 수옥살 즉 감옥에 갇힌다는 뜻도
있는데, 아마 제가 壬子대운 되자마자
결혼에 임신,출산만 반복하고 밤에 바깥
출입도 전혀 하지못한 10년이
저한테는 감옥이었나보네요.ㅜ.ㅜ
어머 ~~희한하다 ^^;;
* 재살은 역모, 배신, 잔꾀, 야당성을 의미.
재살은 항상 무리의 중심을 파괴하고자 하나
삼합이라는 공동체는 만만한 존재가 아니므로
직접 쳐부수기 보다는 항상 파괴를 위한 준비
상태라고 할수 있음.
* 공동체를 파괴하는것은 처음부터 힘으로
밀어붙이면 안되고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라고
잔꾀를 내어 공동체간 서로를 와해 시켜야 함.
그래서 재살은 '꾀돌이'의 모습.
서로간의 와해를 위해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으며 잔꾀를 내어 공동체 파괴행위에 은밀하게
동조하고 가담하고 있는 형태.
* 어떤 공동체이건 파괴의 과정에서는 배신이
있기 마련이며 서로 간에 믿음이 굳건한 단체는
절대 무너지는 법이 없지만, 와해가 되는 공동체
에서는 구성원들간에 작은 오해가 배신으로 연결.
재살은 그러한 배신행위를 이용하여 공동체를
와해 시켜버림.
* 공동체에 대해서 평소에 반감을 가지고 있고
평소에 은밀하게 독기를 품고 벼르고 있던 상태.
재살은 잔꾀가 많은 존재라서 공동체의 주변을
매수하여 나중에는 모두를 싹 쓸어버리려고
벼르고 있었던 존재. 보통 적극적이지는 않지만
간접적으로 공동체에 반기를 드는 존재.
정치적으로 본다면 야당성 인사가 되기도 함.
* 재살은 공동체를 가장 위축시키는 작용.
寅午戌의 재살은 子인데 子가 나타나면
寅午戌은 방어를 위해 가장 작은 모습으로
위축이 되고 모양은 흡사 감옥이나 병원에
입원한 모양이기 떄문에 수옥살이라고도 함.
집안에서는 비상사태를 대비하기위한
비상약품, 칼, 송곳, 기밀문서등이 보관되어
있는 장소.
*인간관계에서는 꾀를 내어주는 참모의 존재,
비서의 존재에 해당. 내가 출세를 위해서
상대를 꼬시는 행위나 대상 인물도 해당.
사물로는 나를 감시하고 있는 물품에도 해당.
나를 음해하려고 대기하고 있는것이니 나를
찌르려고 하는 형상의 물건은 모두 포함.
가족 중에서는 나를 평소에 잘 감시하여 나의
약점을 잘 알고 있는 존재이기도 함.
재살을 요약 정리하면
1. 공동체의 와해를 위해 노려보며 꾀를
내는 행위.
2. 공동체의 와해를 위해 배신행위,
역모행위에 가담하거나 촉발을 시키는 행위.
3.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나를 도와준
은인에 대한 배신행위도 마다하지 않음.
4. 항상 나와 반대되는 의견을 가지고 눈빛
으로 감시하고 의식이 되는 존재,
야당성 같은 존재.
5. 공동체에 큰 위축을 주어 가장 작은
모양으로 만들기도 하며, 그래서 감옥,
병원입원등을 나타내므로 수옥살 이라 함.
6. 배신, 와해, 역도, 잔꾀, 야당성의 키워드.
일명 수옥살이라고도 하며 죄를 짓고 감옥에
갇힌다는것과 같은 뜻이기도 하고
다른살에 비해서 관재구설수나 소송투쟁등이
아주 특별히 많은 살이라고 들었어요.
때론 육신의 질병으로 고통을 아주 심하게
받기도 하고, 마음의 동요가 심하고
부질없이 고민하는 경우가 많다고 해요.
하지만, 재살이 있는 사주가 길성을 만나면
관직을 얻을수도 있는데,
경찰,군인,검찰계통에 직업을 가지게 되면
오히려 전화위복이 되어 승승장구 한다고
하네요.
아무리 나쁜 흉살이 사주에 있더라도
사람의 의지는 하늘을 움직일만큼
강하답니다. 그러니 두려워 말고
화~~이~~팅!!!!^^ 역할발전소 혜리님
'12 신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12신살을 통한 길방향 (0) | 2019.09.19 |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화개살 (0) | 2019.06.04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겁살 (0) | 2019.04.23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천살 (0) | 2019.04.23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육해살 (0) | 2019.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