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상이라는 것, 사실 과학적 근거는 없지만 호기심을 자극하기에는 충분한 소재다. ‘열 길 물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모른다’는데, 얼굴을 읽어 사람 속을 알 수 있다니 그 비결이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허영만 화백은 2006년 11월부터 신기원 선생에게서 관상을 배우기 시작했으니 벌써 2년6개월째. 허 화백도 처음에는 ‘얼굴을 보고 그 사람의 과거와 미래를 읽는다는 것은 재미있지만 위험하다’고 생각했다. 그 후 공부를 계속하고 만화 ‘꼴’을 연재하면서 생각이 조금 바뀌었다. ‘어느 정도는 알아두면 손해 보지 않을 것’이라는 게 요즘 그의 생각이다. 다만 허 화백은 일반인에게 주의를 당부한다. “그동안 배운 게 있다 보니 자꾸 사람들의 얼굴을 뜯어보려는 버릇이 생겼다. 상대방을 제대로 알기도 전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