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일우명리 736페이지 참조
육친을 연령별로 보는 법이라는 제목으로 강의 한 내용을 요약해 보고
육친송시결, 육친추리 구상결표,육친실무활용에 따라 통변을 하도록 강의를 한 내용 같습니다
이것을 외워서 활용을 할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보는 원리를 잘 터득하여서
이 표를 프린트하여 책상 유리판에 끼워놓고 활용을 하면 도움이 됩니다
원리를 잘 알면 활용을 잘 하겠지요 판검사들이 그 많은 법전을 모두 외워서
하는 것이 아니지요? 게내들은 법원리를 잘 알고 그에 따라 법조항을 찾아서
적용하는 것입니다. 명리도 마찬가지로 생각을 하면 됩니다
자연의 진리를 터득하여 각종 표를 만들어서 책상 유리판 아래 놓고
활용을 하면 됩니다 아니면 코팅을 하여 가지고 다니면 되구요
저는 코팅을 하여 가지고 다닙니다
풍수에 필요한 것
명리에 필요한 것
성명에 필요한 것
관상에 필요한 것
각각 앞뒤5장 이면 충분합니다
육친을 보는 데는 연령에 따라 보는 법식이 다르고 천편일률적으로 보면 맞지를 않는다
비견이 초년에 온것하고 중년 말년에 온 경우는 각각 다르다
여명에서 초년의 관운과 중년의 관운 말년의 관운은 각각 다르다는 것이다
기해생일 경우 여명이 초년 비견운인 축대운이 왔다
비견란에 1-15세 사이는 공덕출생,비호양육이라 했는데 그 뜻은 귀엽게 자랐다는 뜻이다
제 생각으로는 박일우 선생은 육친을 12운성과 12신살로 해석을 하는 것으로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다음과같이 육친을 12신살과 12운성의단계별로 활용을 하는 것 같습니다
비견- 무지모매한 아기시절
겁재-개구장이
식신-초등학교를 갓나온 모범생
상관 - 문제아이의 상태 중학교를 졸업하고 고등학교에 못들어간 상태
편재 - 불량기가 있어서 대학을 못들어간 낙방생
정재 - 양가의 합의하에 얻은 처자로 장가든 좋은 상태
편관 - 의무병으로 군대생활
정관 -사회진출하여 간부로 종사하는 상태
편인 - 퇴역한 상태
정인 - 집안에서 상노인
이렇게 육친을 유상하여 각각의 특징과 행동 상태등으로 구상하여 추리하는 것같습니다
예를 들어 식신을 보면 초등학교 모범생이라면 퍼떡 떠오르는 생각이
횡단보도 건널떄 손을 흔들면서 가는 초등생을 연상하면 학교에서 배운 선생님의 말씀을매우
잘듣는 선생님과 엄마이야기에만 맹목적으로 따르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것을 가지고 그해 신수를 본다면
예를 들어 갑자생이면
갑을 놓고 월별로 육친을 낸다는 것입니다
큰사건은 년간으로 보면 잘맞고
세세한 내용은 일간으로 보면 잘맞는 다고 합니다
갑이 미년을 만났으므로 육친으로 정재를 만났으니
장가들 여친을 만날 수 있겠다 라고 추리하면서
아래의 표에서 20대라면 정재를 찾아보고
재리순개,부가양처 라고 한문으로 쫙 쓰면서
재물도 슬슬들어오고 부잣집 처자도 생긴다고 말하면 됩니다
그냥 한글로 쓰지말고 꼭 한문으로 써야 합니다
제 설명이 미흡하신분들은 박일우 명리
736페이지를 참고하여 성학하시기를 바랍니다
◈.육친송시결
| 초년 | 청년 | 중년 | 말년 |
| 1 - 15세 | 16 - 30세 | 31 - 45세 | 46- 60세 |
比 肩 | 功德出生(공덕출생) 庇護養育(비호양육) | 性情如火(성덕여화) 生活浮沈(생활부침) | 根據動搖(근거동요) 夫婦各居(부부각거) | 神經系病(신경계병) 住居不定(주거부정) |
劫財 | 行爲奔走(행위분주) 爭鬪傷身(쟁투상신) | 親仁自救(친인자구) 同氣扶助(동기부조) | 公營作事(공영작사) 愁心不解(수심불해) | 人氣下落(인기하락) 子息有憂(자식유우) |
食神 | 智慧聰明(지혜총명) 腎脾作 病(신비작병) | 學業重視(학업중시) 晩婚晩子(만혼만자) | 財物復臨(재물복임) 子息有憂(자식유우) | 遺産不小(유산불소) 名聲到門(명성도문) |
傷官 | 血光數回(혈광수회) 父別身勢(부별신세) | 家率不睦(가솔불목) 家出習慣(가출습관) | 利財滿堂(이재만당) 親威仇害(친위구해) | 依他餘生(의타여생) 可謂醜人(가위추인) |
偏財 | 貧家出生(빈가출생) 他家入籍(타가입적) | 父母有憂(부모유우) 色情作害 (색정작해) | 夫婦風波(부부풍파) 散財亡身(산재망신) | 自手生業(자수생업) 貧寒生活(빈한생활) |
正財 | 家內有莖(가내유경) 頭腦聰明(두뇌총명) | 財利順 開(재리순개) 富家良妻(부가양처) | 夫婦苦哀(부부고애) 財産或得(재산혹득) | 成家遺産(성가유산) 食率雲集(식솔운집) |
偏官 | 心氣浮動(심기부동) 重傷數回(중상수회) | 專攻不繼(전공불계) 住居轉轉(주거전전) | 高位重責(고위중책) 革命氣質(혁명기질) | 傷寒風疾(상한풍질) 因子官訟(인자관송) |
正官 | 良家出身(양가출신) 染病來侵(염병내침) | 副業不振(부업부진) 公職登貴(공직등귀) | 名譽臨身(명예임신) 依他補償(의타보상) | 南吉女疑(남길여의) 면時孤獨(만시고독) |
偏印 | 貴童八字(귀동팔자) 內科得病(내과득병) | 父母大怒(부모대노) 00 | 作事中斷(작사중단) 奉仕生活(봉사생활) | 有財有病(유재유병) 嘆息高0(탄식고조) |
正印 | 天才之命(천재지명) 外家有德(외가유덕) | 學業發展(학업발전) 身分向上(신분향상) | 隣人無力(린인무력) 子孫不繼(자손불계) | 間間有病(간간유병) 壽命延長(수명연장) |
◈.육친추리구상결
육친명 | 위치 | 구상개념 | 구상개념 | 12신살,12운성 관계 | 관계 | 운발모양 |
비견 | 君 | 浮幼兒(부유아) | 정신적 | 겁 포 | 동포,종씨, 동기,자신 | 강박적 도전 |
겁재 | 유추인 | 재 태 | 경쟁자, 친구 동생,오빠. | 부조적 투쟁 | ||
식신 | 國卒生(국졸생) | 행동적 | 천 지 양 생 | 조부모,식솔,아들,부하 | 양위적 봉사 | |
상관 | 高落生(고락생) | 년 욕 대 | 부하,범법자,딸,조모 | 암행적 물욕 | ||
편재 | 臣 | 大落生(대락생) | 물질적 | 월 관 | 채권자.도매,부친,첩 | 모험적 과욕 |
정재 |
| 망 왕 | 자본주,재능인,정혼의 처 | 절약적 안거 | ||
편관 | 軍務兵(군무병) | 교도적 | 장 쇠 | 단체인,사촌,시동기,외간남자 | 의무적 투기 | |
정관 | 民 | 重役人(중역인) | 반 역 병 | 상관,관청인,정혼남편 | 계급적 봉사 | |
편인 | 退役老(퇴역노) | 궁극적 | 육 사 | 주인댁,사모님,이모,서모 | 허구적 용역 | |
정인 | 上老人(상노인) | 화 묘 | 결재자,은인,친모,손자 | 부분적 책임 |
◈.육친실무활용편람
육친명 | 친족및관계 | 단어 | 추리법및근거설명 |
비견 | 자신,형제, 동료, 동족,동우 | 우대 피선 독신 | 철부지 상태에서 남들이 나에게 인기를 부여해줌으로써 다시 없는 대우를 받고 싶은 상태 때에 따라서는 동정을 받아야 할 형편 나를 추어주는 사람만 좋다는 생각, 이름을 날리고 싶음 |
겁재 | 자매 이복형제 경쟁인 반대자 | 융통 탈취 강압 | 위법행위까지 이르지는 않은 상태로서 경쟁자나 친구가 취하려고 하는 것을 한발짝 먼저 성취하여 우선 나만의 욕심을 취하는 상태로 폭력도 불사할 형편 거짖말을 쉽게 행한다 |
식신 | 자식 후배,상속자 제자 하인 | 양보 퇴위 수양 | 나보다 나은 후배가 생겼으니 도의상 내자리를 물려준 후 본인은 실력을 더 양성 하여 중책을 맞게끔 될 때까지 시기를 기다린다. 없어도 없는 체 못하고 오직 겸허와 용서로서 완숙된 테크닉을 행함 |
상관 | 양녀 모사 조모 문제인간 부랑자 | 밀행 違規 | 나는 너의 계략을 알고 있음에도 나를 어린아이로 취급하다니 꾀를 써서 너를 속이고 쥐도 새도 모르게 실속만 채우면 그만이다. 체면 경우 모두 생각하면 언제 실속을 채울 것인가? 불리하면 떠날 생각 |
편재 | 첩,애인, 후배부인,부친 백부, 채권자 | 부담 외상 담보 | 내가 당신에게 잘해준것은 하나도 없지만 당신은 나의 능력을 믿을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뒷날 충분히 댓가를 해줄 것이니 지금 당장 힘ㅇ; 약한 나를 밀어주기를 바란다 나를 당신의 실력자로 만들어라 |
정재 | 정혼처, 자본주 주,모친을 괴롭히는자 |
저금 부속 증액 | 믿을 것이라곤 너 밖에 더 있겠는가? 너는 나의 장단점을 다 알고 있을 터이니 너 할일은 내가 하던 것을 정리정돈하는 것이니 나는 내 행동을 알아서 할 것이니 협조부족하니 두 곳에서 수입얻겠다 |
편관 | 媤同氣,외방남자 사촌 아들및아들친구 | 투기 반경 촉진 | 사사로운 욕구를 채우려는 것은 아니므로 명목을 충분히 서고 다급해지면 핑계 댈 건은 충분히 있으므로 지름길을 택하여 빨리 목적을 달성하고자 진력한다 간간이 나를 악당이라해도 소를 버리고 대를 추구 |
정관 | 정혼남편, 관방인 존경할 사람,지주 | 위신 통치 통찰 | 산전수전 다 겪었고 내 주위엔 당장 괴롬요소는 없을 것이므로 대를 위하여 헌신 노력하는데 역시 감투만 잇으면 되겠구나 그래야 딴 부하들이 나를 따르게 될 것이다 우선 인심이나 얻자 |
편인 | 덕모 외삼촌 서모 주인연자 師母任 | 급조 부실 차용 | 실력과 기간과 인원과 재산이 바닥나고 매력도 느낄 것이 없는 이상 나 개인만 돌 볼수 없는 입장이나 재미있는 일도 없고하여 임시변통으로 내가 무서운 실력자라는 허세를 부린다 |
정인 | 조모,은인,허가청 부처,칠성 | 승낙 계승 인정 | 노력하지 않아도 먹는 것은 먹을 수 있으므로 어른 도리만 취하면서 이래라 저래라 이렇게 해주기만 바란다 너희가 몸이 달면 모셔가겠지하는 요행성이 있고 조용히 용돈만 벌자 |
'박일우선생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 장사 대박 비법 ※ (0) | 2019.02.12 |
---|---|
[스크랩] 12神殺運造(12신살운조)(상) (0) | 2019.02.12 |
[스크랩] 12신살 총론 (0) | 2019.02.12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내정법 (0) | 2019.02.01 |
사주 카폐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지지와 천간 (0) | 2019.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