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볶이의 법칙]
학교 앞에 두 개의 떡볶이 집이 있습니다. 이 중 한 가게는 잘 되고 한 가게는 죽 쑤고 있습니다. 이럴 때 역학자들이 흔히 하는 실수가 이를 운으로 설명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천만의 말씀입니다. 가게가 잘 되고 안 되는 것은 떡볶이의 맛으로써만 설명 될 뿐입니다.(주인의 친절함이라든가 가격 같은 문제를 일단 차치하고)
그럼 운은? 그건 다른 문제입니다. 가령 잘 되는 가게 주인이라도 나쁜 운에서는 친구가 빌려간 돈을 갚지 않고 날랐다든지 가족의 변고를 겪는다든지 하는 식입니다. 떡볶이 집이 안 될 때 점검해야 할 것은 운이 아니라 떡볶이의 맛인 것입니다.
[丁 일간의 丑]
식신으로 보면 안 됩니다. 식신으로 보더라도 조건을 달아야 합니다.먹는 것은 먹는 것이지만 촌동네에서 근근히 만든 먹는 것입니다. 정은 축에서 입묘합니다. 축은 또 정의 재인 금의 묘지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정 일간이 축 운에서 사업을 하면 큰일 납니다. 식신과 근접한 먹는 장사를 조그맣게 하는 정도는 괜찬으나 재물의 축적을 기대하기는 어렵습니다.
이 같은 논리를 도외시하고 식상이나 재성이 용신이니 이 같은 운에 무조건 사업을 확장하라는 식은 남의 운명을 망치는 살인행위입니다.
[壬 일간의 丙戌년]
편재 병화가 입고하는 해입니다. 따라서 사업의 확장은 불가합니다. 이를 다른 각도에서 볼 수도 있습니다. 戌 다음은 亥子丑으로 가니 비겁이 왕해집니다. 이 또한 재로서는 타격이 됩니다. 이처럼 운은 꼭 그 글자 하나만 보기보다 흐름으로서 봐야 합니다.
[壬 일간의 卯]
같은 상관이라도 이 경우는 상당히 강합니다. 금수의 압력 후 터져 나오는 기운이니까요. 심하면 가출까지 합니다.임이 寅卯辰에서 病死卯가 되는 것은 가두려는 기운이 드디어 바닥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목기가 발동,, 뚫고 나오는 것입니다.
[재와 인]
재가 현금이라면 인은 열쇠. 인은 재를 조절하는 고무줄입니다. 재가 왕한데 인이 약하면 富家貧人 입니다. 즉, 부잣집에 시집가 식모 같이 삽니다. 반면 재왕에 인이 있으면 주인으로서 재물을 행사합니다. 인성은 가장 작은 것에 큰 것을 담는 즉, 돈지갑 또는 금고의 열쇠 같은 것입니다.
또한 인성은 쉼입니다. 그러니 인이 없는 재왕은 평생 노고만 따르되 쉼이 없고 벌어들인 돈을 담지 못함을 의미 합니다. 재는 현금성 재물이고 인은 그것의 문서 형태, 부동산 형태입니다. 따라서 인은 큰 재산입니다. 인성이 없으면 또한 사업을 함에 있어서 극단을 달립니다.
반면 관을 오랫동안 잘 쓸 수 있게 해주는 것은 식상입니다.
[출처] [공유] 박청화 강의 노트 32 부스러기 5|작성자 antimod
'박청화선생님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박청화 강의 노트 30 용신의 함정 (0) | 2019.02.03 |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박청화 강의 노트 31 부스러기 4 (0) | 2019.02.03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박청화 강의 노트 33 부스러기 6 (0) | 2019.02.03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박청화 강의 노트 34 부스러기 7 (0) | 2019.02.03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박청화 강의 노트 35 부스러기 8 (0) | 2019.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