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청화선생님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박청화 강의 노트 61 여자 사주에서의 관

Fortune Ked 2019. 2. 3. 10:21
반응형

<여자 사주에서의 관>

정관이 유력하더라도 공망, 형충파해 되면 절반만 채워집니다. 정식 남편의 조건인 금전, 애정, 동거 중 한두 가지는 빠집니다. 가령 경오 일주가 월이니 시지에 오화가 있다면 자오 충으로 인해 남편이 먼 곳을 왕래하며 일을 하게 됩니다. 동거를 하고 있다면 대신 금전 활동이 시원찮을 것입니다. 아니면 애정에 문제가 있거나. 기묘 일주라면 편관이지만 그것을 깔고 앉음으로써 동거의 조건은 지킨 모양. 그렇다면 금전과 애정 둘 중 하나는 빠지기 쉽다고 봐야 합니다. 물론 동거가 안 되는 수도 있습니다. 이처럼 반 밖에 안 채워지는 관을 억지로 채우려고 하다 보면 남편이 비명횡사하기도 합니다.

 

관인소통이 매끄러우면 애정이 채워진다고 봅니다. 관의 입장에서는 인성이 식상 즉, 생식기가 되므로. 기토 일간이 을목과 경금을 만나는 경우 즉, 庚己乙○일때 기토의 식상과 관성이 만나는 모양입니다. 다시 말하면 여자의 생식기가 남편과 만나고 있으니 애정은 채워지는 형태입니다. 운을 기준으로 보자면 을년에 애정사나 결혼 운이 발생합니다. 갑목 일주에 병화를 갖고 있는 경우라면 식상과 짝을 짓는 관성인 辛년에 결혼합니다. 반대도 성립합니다. 辛금을 갖고 있는 갑목 일주가 丙년에 결혼하는 식입니다.

 

○乙○○

酉巳申○ <坤>

여자의 식상을 편관과 정관이 함께 짝하니 애정사가 많이 발생합니다.

 

辛乙○○

巳巳○○ <坤>

남편 辛금이 일지 死지에 앉아 있습니다. 그러니 남편으로서의 역량이 약합니다. 그러면서도 나 乙목의 상관과 짝을 짓습니다(병신 합). 이 여자한테는 어떤 남자가 와도 이상하게 맥을 못 춥니다. 상관이 관성을 희롱하니까.

 

壬辛丁○

이 여자는 상관과 편관이 합을 합니다. 그 결과는 木으로서 재성입니다. 편관 즉, 뭇 남자들과 짝을 지음으로써 돈이 생기는 형상이니 거리의 여인입니다.

 

<남자 사주에서의 재관>

식상생재가 잘 되고 있으면 1등, 식상과 재가 떨어져 있으면 2등, 식상 없고 재만 왕성하면 3등, 재 없이 식상만 있으면 4등, 다 없으면 5등. 이 5등은 금전 활동에서의 극단성을 뜻하거나 조직활동으로 넘어가거나 합니다. 관과 무리지은 재는 처로 봅니다. 자식을 낳아주는 재니까. 식상과 무리지은 재는 사업활동. 식상이 재를 돕는 구조는 처에게 자상. 식상은 이벤트.

 

관인소통이 매끄러운면 1등, 관이 잘 생기고 인성이 숨으면 2등으로 큰 조직으로 가나 결재권이 약합니다. 인성이 드러나고 관이 숨으면 3등으로 결재권은 행사하나 고위직은 어렵습니다. 관인이 모두 숨으면 조직사회에서 전문성, 기술성, 연구직, 교육성 등으로 갑니다. 다관은 격탁으로 직장전변의 인자. 관은 하나인데 인성이 많은 경우 세속성이 더뎌집니다. 글과 학문은 이루었으나 거기에 어울리는 벼슬은 얻지 못합니다. 이런 경우를 녹록종신이라고 합니다.

인성과 무리지은 관성은 조직, 재성과 무리지은 관성은 자식.

 

乙 乙 甲 戊

酉 巳 寅 申 <坤>

여자의 생식기인 상관이 유금 신금 즉, 담장 안과 담장 밖으로 합을 합니다. 이 경우 상관이 관을 끌어당기므로 여자가 남자에게 적극적으로 다가갑니다. 이 경우 인성이 숨어 있으니 더 그렇습니다. 관인소통은 그 반대.

 

丁 戊 ○ ○

巳 申 寅 未 <坤>

조후가 무너져 있고 무엇보다 식신이 관을 때리고 있습니다. 이 경우 남자가 문지방만 넘어오면 힘이 빠집니다. 그러다 자년 해년이 오면 그런대로 풀립니다. 자는 신자진, 해는 인해 합이 되면서 충이 어느 정도 해소되고 수의 기운이 들어와 조후가 살아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