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축일주 일간 기(己)토는 음(陰)토로 십 천간 중 여섯 번째 간으로 하늘에서는 구름이요 땅에서는 논밭이라 양생지상으로 인내심이 있고 습윤하여 만물을 포용하니 자애심이 있는 것이다. 갑(甲)목을 보면 중정의 합이 있으니 대의를 중시하는 품격이 있는 것이고, 언행이 일치하며 신중함을 유지하니 가히 토의 덕성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기(己), 사(巳), 을(乙) 은 모두 구부러진 형상이니 돌아다니는 특징이 있으며 변화와 환경적응에 능한 임기응변 성격의 인물로 볼 수 있다.
기축일주 일간 기(己)토는 동물로 비유하면 ‘게’에 비유하니 겉은 단단하지만 속은 연약한 것이 특징이고 다리가 열 개이니 이동이 매우 신속하나 불안정하고 속은 여린 고로 상처 또한 받기 쉬운 것이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기축일주 일간 기(己)토는 물상으로는 전원을 의미하는 고로 순박하고 부드러운 인품의 소유자가 많을 것이며 조용한 인물에 대의와 중용을 지키고자 하는 바 믿음이 두터울 것이고 토의 특성은 만물을 수용하니 다정다감한 자가 많을 것이며 배품에는 능숙할 것이며 머리가 좋고 임기응변에 능하니 중개를 잘 할 것이나 지배욕이 강한 특징이 있을 것이고 때로는 의심이 많을 것으로 판단된다.
기축일주 일지 축(丑)토는 음(陰)토로 습(濕)한 토이니 논밭, 금고, 지하실, 성실, 끈기의 상징으로 보는 것이고, 자(子)의 형이 겹쳐 일을 만드는 모습인데 빛을 발하지는 못하고 어둠 속에 쌓인 형상이기도 하다.
삼명통회에 이르기를 유안(柳岸)이라 일컫는바 ‘버드나무가 있는 물가 언덕’의 형상으로 큰 줄기가 늘어진 모양이고 손으로 물건을 꽉 잡아 묶으려고 하는 글자 모양이므로 자신을 꼭 잡아 묶어 놓으니 자존심과 고집이 강하여 타인과의 마찰을 일으키기도 하며 ‘타인을 묶는다.’는 의미이니 여명은 요염하다 보는 것이다.
기축일주 일지 축(丑)토는 동물로 비유하면 소에 비유하니 소는 고집의 상징이니 타인과 충돌하기 쉬운 성향이 있으며 천천히 걷고 근면하지만 입은 항시 쉬지 않고 먹이를 되새김질하니 다사(多事)함의 상징이고, 주인에게는 순종하는 특징도 갖고 있는 것이다.
기축(己丑)일주라 함은 밭을 가는 소, 황소를 의미하는바 근면함의 상징이고, 우직하게 한길을 가는 고로 황소에 비유하기도 하는데 침착하고 냉정하며 말 수는 적고 말주변이 없는 인연이 많은 법이나 강직하기가 남다를 것이므로 빈틈없이 자기관리를 하는 신중한 성격의 소유자이다.
음토(土)인지라 부드럽고 인정이 많은 편이며 남을 위해 희생도 마다하지 않는 품성이 있고 일지 화개를 놓았으니 예술적 감각이 뛰어난 자가 많으며 종교, 신앙에 관심을 갖는 자가 많을 것이고 탐구하고 노력하고 연구하는 능력이 탁월한 반면 자아도취 경향이 단점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비겁이 묘(墓)지 인연이니 형제 중에 사별하는 인연이 있을 것이고, 재성이 묘지에 들어 있으니 재탐(財貪)하는 자가 많은 법이요, 근검 절약형이나 주변에 인색하기 쉬워 수전노 소리를 듣기도 하니 적선의 덕을 쌓아야 하는 법이다.
축토는 화개(華蓋)이니 아집과 집요함이 강할 것이요 남녀관계는 만남과 헤어짐의 반복이 있을 것이고 종교를 개종하는 인연이 있기도 하며, 식신이 화개 인연이니 매사 분주 다망할 것이요 스스로 고독을 즐기니 염세주의적 경향이 있기도 하며, 여명은 미색이 뛰어난 자가 많은 법이고, 간여지동(干與支同)에 일지 화개이니 부부 공방 수 있다 볼 것이며 곡각(曲脚)이니 수족에 신액이 있을 수 있을 것이고 기(己)토는 비습한 고로 위장 신경계통 질환을 조심하여야 할 것이다.
기축일주의 내면 심리세계인 지장간을 보면, 계(癸)수, 신(辛)금, 기(己)토가 암장되어 있는바 편재, 식신, 비견인 것이다. 본기 비견이니 자존감과 고집이 대단한 자임을 알 수 있는 것이고, 탐구하고 연구하는 창의적인 인물일 것이며 이를 재물을 얻고자 하는 사업가 기질이 있을 것이니 황소고집의 리더라 볼 수 있을 것이다.
기축일주의 진로적성을 살펴보면 종교, 법률, 교육, 농업, 학교, 학원, 문화, 예술, 철학, 심리학 등에 적합한 적성의 소유자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기축일주 남명의 배우자는 계(癸)수 편재이니 능력 있고 매력이 있는 배우자를 만날 인연이나 계수가 비견이 첩신하니 경쟁자인 즉, 재혼 인연이다 보는 것이고, 묘지에 화개 인연이니 종교에 심취하거나 사별 수 있다 보는 것이다.
자식은 을(乙)목 편관일 것이니 나를 힘들게 한다고 보는 법인데 을축 쇠(衰)지에 앉았으니 사회적으로 인정을 받는 인연일 것이고 모친은 정(丁)화 편인일 것이니 계모, 서모 인연 있다고 보는 것인데 정축(丁丑)은 묘지 화개 인연이니 종교, 예술, 학술 인연이 강할 것이요 부친과는 공방수가 있다고 보는 것이고 부친 계수 편재는 권력 지향적이고 문서 인연이 강한 법인데 계축은 백호 인연이니 항시 사고 수가 있음을 유념하여야 할 것이다.
기축일주 여명의 배우자는 을(乙)목 편관일 것이니 권위적이고 나를 힘들게 한다고 보는 것인데 을축(乙丑)쇠지 인연이니 재적 성취가 있을 것이나 묘지에 화개 인연이니 종교에 심취하거나 조혼하면 사별수가 있다 볼 것이니 만혼이 유리하다 하는 것이며 자식은 신(辛)금 식신이니 여식을 둘 인연이고 교육, 의료 분야에 종사하는 인연이 많을 것인데 기축일주 여명은 자궁이 약한 인연이 많은 법이고 식신이 현침이 꽂혀 묘지 인연이니 자식 운이 없다고 볼 것이다.
부친은 계수 편재로 볼 것이니 사회적인 성취가 높아 관록이 있을 것이나 계축은 백호(白虎)에 묘지인연이니 몸에 신병이 들거나 일찍 사별 수가 있다 볼 것이고, 모친은 정화 편인이니 계모, 서모 인연이 있을 수 있으며, 교육, 종교, 예술 분야 등에서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것이나 부친과의 인연은 박하다 볼 수 있을 것이다.
[출처] 2018. 10. 24. (수) 기축일주|작성자 이정순공인중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