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주정리

사주 카폐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갑진일주

Fortune Ked 2018. 10. 22. 01:26
반응형

갑진일주 일간 갑(甲)목은 양(陽)목으로 십 천간 중 첫 번째를 일컫는 것으로 하늘에서는 우뢰인 것이요 땅으로 내려오면 대림목(大林木)이라 일컫는바 적천수에 이르기를 ‘갑목참천(甲木參天)’이라 하여 갑은 순양(純陽)의 목으로 체(體)가 본시 견고하고 하늘로 치솟는 기세가 있으며 극히 웅장함을 나타낸다 하는 것이다.

갑(甲)일간은 곡직지상이라 하여 나무의 성향이 위로 솟아오르려는 성향이 강한지라 외고집이며 때론 고지식하고 보수적인 기질이 있으며 스스로를 최고라 여기는 경향이 많다. 또한 활인지상(活人之象), 동량지상(棟樑之象)이기도 하여 의협심이 강한 우두머리 기질이 있으며 특히 여명은 생활력이 강해서 가권(家權)을 쥐고 가족을 부양하기도 한다. 고집이 센 편이고 스트레스를 잘 받기도 하여 신경이 예민해지기 쉬우며 작은 스트레스에 시달리기도 한다.

갑(甲)목은 동물에 비유하자면 여우에 비유하기도 하며, 독립심이 강하고 자수성가하는 명이 많다.

갑진일주 일지 진(辰)토는 음토로 습기를 머금은 토이이니 나무가 뿌리를 내리기 적합한 토라 보는 것이요, 진궁시(辰宮時)에 이르기를 ‘진령(辰令)은 삼월이니 진흙이 더워서 만물을 장양(長養)하는 때이다.’라고 하는바 오양일음(五陽一陰)의 만춘시절이요 방향은 정남방을 이르는 것이며 팔괘로는 손방(顨方)을 일컫는 것이다.

삼명통회에 이르기를 초택(草澤)이라 하는바 물이 그득한 연못으로 볼 것이요, 인묘진(寅卯辰)은 동방을 의미하니 목기운을 머금고 있으니 모춘(暮春)이라 이르기도 하고, 오양의 기운이니 양기가 충만하여 성장을 돕는 따스함이 있는 것이요 겨울의 수(水 )기운을 암장하니 수고(水庫)라 이르기도 하는 것이다.

진(辰)토를 동물에 비유하면 용으로 보는바 용은 귀가 이지러져서 뿔로 듣는 특징이 있으며, 진(辰)은 천간성(天奸星)이라 하여 계략, 지모를 상징함이다. 용이라는 것이 권력의 상징이니 꿈이 담대하여 이상주의자가 많을 것이고, 응용과 변모는 뛰어나나 다소 타인을 얕잡아 보는 기질이 있는 것이고 용은 물속에서 하늘로 오르며 비와 구름을 좋아하니 변화의 상징으로 보는 것이다.

갑진(甲辰)일주라 함은 청룡, 우뢰와 번개, 초택의 뿌리 깊은 나무의 상을 짓는 고로 행동은 속전속결이요 두뇌는 전광석화이니 재주는 비상할 것이며 성정은 급할 것이나 호방하며 풍류기질이 있을 것이고 독립심이 강하고 의지는 굳건함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진(辰)토 수고(水庫)를 보았으니 애주가요, 식탐 또한 있는 것이 갑진일주라 할 것이다.

갑진일주는 청룡이 조화를 부리니 삶의 변곡이 심할 것이며 하늘에 오르려는 기상이 있으니 추진력은 매우 강할 것이고, 매사 의욕이 넘칠 것이며 갑목은 우두머리의 상(象)을 지으니 인정이 많은 리더의 상이요, 자존감과 독립심은 뿌리가 깊을 것이며 응용과 변모에 뛰어나고 지략이 넘치니 역경을 이겨내고 천년을 지켜온 나무요, 타인에게 굽히기 싫어하는 성정의 소유자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일지에 재고(財庫)를 보았으니 축제하려는 마음이 남다른 것이고, 금여성(金與星)을 보았으니 금여성은 꽃가마 인지라 금전적 어려움은 주변의 도움으로 능히 넘을 수 있는 것이나, 능력만 믿고 도전하다 실패하기 십상이니 결과보다 과정을 충실히 하며 내실을 다져나가는 지혜가 필요하다 볼 수 있는 것이다.

일지에 백호살(白虎殺)이 임하니 처궁(妻宮)에 화(禍)가 있을까 노심초사요, 갑진일주는 인묘(寅卯)가 공망이니 목(木)공망이요 자(自)공망이라 스스로 공허함을 느끼기도 할 것이며, 형제 덕 없음을 알 수 있는 것이고, 차남으로 태어나도 장남 역할 대신한다고 볼 수 있으며, 십이운성 쇠(衰)지에 반안살을 놓았으니 원숙함과 지혜가 있을 것이요, 주변과 협력하고 사색하며, 현실과는 타협하며 인생의 후반을 준비하는 것이 쇠(衰)지의 반안살이라 하는 것이다

갑진일주의 내면 심리세계인 지장간을 보면 을(乙)목, 계(癸)수, 무(戊)토가 암장되어 있는바 겁재, 정인, 편재라 겁재가 관대(冠帶)지에 임하니 승부욕, 경쟁심이 남다르고 모험심, 투기심을 가진 자임을 알 수 있는 것이요, 정인이 양(養)지에 임하니 타인에게 자상할 것이요 두뇌는 비상하여 가르치는 재주가 일품이고, 봉사정신이 남다른 인연임을 알 수 있을 것이며, 편재가 관대지에 임하니 재탐(財貪)하는 명임을 알 수 있는데 사교적이며 배포가 남다르고 판단능력은 뛰어나나 다소 경솔함이 단점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갑진일주는 지식을 기반으로 승부사적 기질을 발휘하여 재물을 취하려는 사업가형이요 임기응변에 능한 리더의 인물이다 볼 수 있는 것이다.

갑진일주는 교육계통에 종사하지 않으면 관운(官運)은 약하다 보는 것이요, 반안살을 놓았으니 말안장에 오른 격이라 명예와 평판은 좋을 것이나 직주이동이 잦을 것이고, 편재가 쇠(衰)지에 좌하니 금전운용 능력 있고 재물 복은 있으나 지장간에 겁재가 동주하니 벌어도 내 돈이 아닌 것이요 허영심에 폼생폼사의 기질이 있으니 들어온 만큼 나가 축재를 이루기는 어려운 법이다.

갑진일주의 진로적성을 살펴보면 금융업, 증권, 보험, 복권, 교육, 학원, 부동산, 건축업, 목재, 한의사, 요식업, 지식산업, 서비스업 등에 적합한 사업가형 인물이라 판단하는 것이다.

갑진일주 남명의 배우자는 무(戊)토 편재로 보는 것이니 능력 있고 매력적인 배우자를 얻을 것이나 편재가 백호지에 있으니 항시 처의 건강을 걱정할 것이며 재물이 또한 백호지에 있으니 금전문제로 처가 고통 받을 수 있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배우자는 무진(戊辰)으로 보는 것인데 무(戊)토 인지라 신뢰를 중요시 하고 믿음직하며 생활력이 강한 배우자임을 알 수 있으나 관대(冠帶)지 인연이니 품행이 단정하나 아직은 미성숙한 단계이니 부부간에 말다툼이 있을 것이요 배우자 궁이 백호살에 현침이 꽂혀 신음하니 갑진일주는 처 걱정을 한다고 하는 것이다.

자식은 경(庚)금 편관으로 보는 것이니 나를 극하고 힘들게 하는 자식이다 보는 것이다. 경진(庚辰)은 괴강이니 대부대귀의 별이라 양(養)지에 편인이니 교육지재(敎育之才)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상관이 양(養)지이니 격이 좋으면 교육, 상담, 예술, 기술, 언론 철학 분야에 성공하는 인연 있을 것이다 보는 것이다.

모친은 계(癸)수 정인으로 보는 것인데, 백호궁에 좌하니 근심이 있는 것이고 계수가 을(乙)목 식신을 끼고 있으니 모친에게 식신은 자식이라 깁진일주는 모친 덕이 있다 보는 것이다.
부친 역시 무(戊)토 편재로 보는 것이니, 능력 있는 부친임을 알 수 있는데, 백호지에 있으니 부친 건강 걱정 있는 것이요, 무토가 정관, 정재를 보고 있으니 반듯한 인연임을 알 수 있는 것이요, 계(癸)수 모친과는 합의 인연이니 갑진일주 부모는 해로한다고 보는 것이다.


갑진일주 여명의 배우자는 경(庚)금 편관으로 보는 것이니 나를 극하는 칠살(七殺)인연인지라 힘들게 한다고 보는 것이요, 바람기 있는 배우자 인연 있을 수 있으며 배우자 궁에 백호살이 들었으니 이별 수 있다 보기도 하는 것인데, 갑진일주는 일지에 편재가 쇠(衰)지에 임하니 재물 복이 있다 보는 것이요, 자식 낳고 사회생활 하는 인연이 많을 것이고 남편은 경진(庚辰)으로 보는바 양(養)지 인연이니 양지는 부양하고 길러낸다고 보는 것인 즉 갑진일주 여명은 남편 부양과 가족 부양한다고 보는 것이다.

자식은 병(丙)화 식신(食神)으로 보는 것이니 여식을 두는 인연이 많을 것이요, 병진(丙辰)으로 보는 것이니 병진은 일출동산(日出東山)이라 현달한 자식을 두는 인연이 많은 법이요, 종교, 철학, 예술 분야에서 이름을 날리는 인연이 있을 것이다 판단하는 것이다.

모친은 계(癸)수 정인으로 보는 것이니 자애로운 모친이요, 식신(食神)을 보고 있으니 자식사랑 남다르고 잘 길러내는 인연인데 계수가 반안지 편재 궁에 있으니 사업에 인연이 있다 보는 것인데, 부친과는 무계합(戊癸合)이 들었으니 갑진일주 부모는 자영업에 종사하는 인연 있다 보기도 하는 것이다.

부친은 무(戊)토 편재로 보는 것이니 능력 있고 매력 있는 사업인연이다 보는 것인데, 계(癸)수 정인과는 합으로 유정하니 부모는 화합할 것이고, 나와는 동주하니 부모 봉양 인연 있다 보는 것인데, 백호궁에 있으니 갑진일주는 항시 부친 건강을 걱정한다고 보는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