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천간과 지지는 어떻게 살펴야 하는가(+간여지동) 지지에 있고 천간에 없는 것이 운에서 온다고 하면 스스로 준비한 것이 활용될수 있는 때가 온 것이니 준비해 오던 동작이 대외적 명분을 얻게되는 때고 천간에는 있고 지지에 없는 글자가 운에서 온 것은 남이 해 놓은 일에 내가 가담하는 시기가 된 것이며 자기가 준비한게 아닌 외부의 영향력을 따라야 된다 천간에만 있고 지지에 없다는 것을 확장해 생각하면 수많은 환경조건(사람,제도,직업등)사이에 살지만 내가 직접적 연루되어 개입될수 있는것이 아니고 나는 간접적인 참여일 뿐이고 바라보는 것이된다 이러한 때~~지지로 3번째 대운까지 만나게 된다면 그 영향을 받아 나를 계발시켜 그와 같이 될수있다 만약 지지로 운이 안오면 환경만 있고 개입 안되니 명분은 있고 실제 동작은 없음과 같아~작전실패다 천간지지가 동주하는 간여지동이 최선은 아니다 간여지동은 ~~~~ 하늘과 땅의 기운이 동일의도를 지닌것으로 특히 시에 격과 대치되는 형태의 간여지동이 있다면 시주는 ~~~~ 일간의 탄생부터 죽음까지~바라보며 살아가는 원초적 로망이 있는 자리라서~ 삶이 헷갈릴수 있다 예를들어 ~~~ 식신생재가 시주에 편인 간여지동을 놓는경우 이러한 간여지동이~~~ 시에 있음은 자신의 미래이니 마이동풍이 될수있고 일에 있음은 스스로 채웠으니 사람의 문제 발생이고 년에 있음은 부여된 선천성이니 벗어나기 쉽지않고 월에 있음은 사회성에 집착하니 큰것 만을 바라본다 그러므로 근이라 함은 교차 되도록 놓는것이 좋다 예를들어 월 金이라면 월은 빼고 투간됨이 유리하다 壬 丙 ㅇ 乙 申 子 卯 ㅇ 이런 형태는 이상적인 경우라 할수 있다 戊 丙 ㅇ 乙 戌 ㅇ 卯 ㅇ 이러면 삶이 피곤하고 헛갈림이 발생한다 시간과 격의 의도가 대치되니 좀 힘들것이다 천간 2-3개 있는 글자가 지지 상통되지 못한것은 명분만 크고~한 번도 동작이 안됐으니~허장성세다 지지 2-3개씩 있는 글자가 천간 상통되지 아니하면 죽도록 동작하나 대외적 명분을 얻지 못한 것이다 [출처] 천간과 지지를 보는방법(간여지동)|작성자 혜운담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