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납음오행을 구하는 법
: 천간의 수와 지지의 수를 더하여 6이 넘으면 5를 뺀다.
1. 천간의 수
갑을 | 병정 | 무기 | 경신 | 임계 |
1 | 2 | 3 | 4 | 5 |
2. 지지의 수
자오축미 | 인신묘유 | 진술사해 |
1 | 2 | 3 |
3. 납음수와 오행
1 | 2 | 3 | 4 | 5 |
목 | 금 | 수 | 화 | 토 |
(예)
정유년: 정(2)+유(2)=4(납음은 화)
무술년: 무(3)+술(3)=6(-5)=1(목)
이사의 길흉을 보는 법:
일주의 납음과 이사하는 년도의 납음오행을 비교하여 生의 관계는 吉, 克의 관계는 凶, 같으면 그럭저럭.
(예)
갑자일주가 정유년에 이사하면 길할까 흉할까?
갑자일주의 납음오행: 1+1=2=>목
정유년의 납음오행: 화
목생화의 관계이므로 갑자일주는 정유년에 이사하는 것이 길하다고 봄.
-출처: 야학신결
*궁금
이사 후 무엇을 보고 길흉을 따질 수 있을까요?
길년에 사업장 이전 후 병을 얻었는데 흉년에 주거지 이사 후 병이 완화되고 있는데
수입은 줄어들고 있다면 길일까, 흉일까? 참 애매합니다.
반응형
'명리학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주 남구 /사주 카페 도혜] 편관과 칠살 (0) | 2018.07.24 |
---|---|
[광주 남구/ 사주카페 도혜] 상관견관 (0) | 2018.07.23 |
[광주 남구/ 사주카페 도혜] 공망파악하기 (0) | 2018.07.18 |
[광주 남구/ 사주카페 도혜] 양인살 (0) | 2018.07.17 |
[광주 남구/ 사주카페 도혜] 공망 (0) | 2018.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