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역학 30번...용신법의 보충학습
신강,신약의 이해
★신강사주는 식상,재성,관성이 용신이 되고
신약사주는 인수,비겁이 용신이 되지만
사주의 상황에 따라서 용신을 정하는 기준점이 다릅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태강,신강,신약,태약사주로 나누어 봅니다.
태강(太强)사주→ 1)인수가 많아서 태강사주가 되면 재성이 용신입니다
관성으로 용신을 하게 되면 관성이 인수를 생하고 인
수가 다시 일간을 생하게 되는 까닭입니다. 식상으로
용신을 하게 되면 인수는 식상을 극하게 되는 까닭입
니다.
2)비겁이 많아서 태강사주가 되면 관성이나 식상이 용
신입니다. 만약 식상이 없거나 미약하면 관성을 용
신으로 하고 식상이 많으면 식상이 관성을 극하여 관
성이 무력해지니 식상이 용신입니다.
신강(身强)사주→1)식상이 있으면 재성이 용신
2)재성이 있으면 관성이 용신
3)식상,재성,관성이 모두 있으면 재가 용신
4)인수가 약하면서 비겁이 많으면 관성이 용신입니다.
신약(身弱)사주→ 1)관살이 많고 인수가 없으면 식상이 용신
2)재성이 많으면 비겁이 용신
3)관성이 많으면 인수가 용신입니다.
태약(太弱)사주→1)아주 약한 사주이므로 인수,비겁이 용신
2)인수,비겁이 있더라도 너무 쇠약하다면 경우에 따라
서 종격으로 갈 수도 있습니다.
★비견겁재 용신은 관성을 싫어합니다.
★식신,상관용신은 인성을 싫어합니다.
★재성용신은 비견겁재를 싫어합니다.
★관성용신은 식상을 싫어합니다.
★인성용신은 재성을 싫어합니다.
★식상이 용신인 경우 인성은 식상을 극하므로 인성을 극해줄 재성이 있으면 좋습니다. 즉 용신은 생을 받고 보호를 받아야 하므로 용신을 극하는 오행을 극해주는 오행이 좋다는 의미입니다.
★실제 사주에서 용신을 정하는 일이 생각처럼 쉬운일은 결코 아닙니다
용신을 바르게 정하지 못하게 되면 길흉화복을 잘못 진단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가끔씩 용신을 정하기 애매한 사주들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 그 사람의 과거운을 추적해 보아야 합니다.(명리학은 학문이기 때문입니다.) 현대의학으로도 진단되지 않은 병이 있듯이 명리학 역시도 계속 연구하고 발전해 나가야 하는 학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