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어떤 분이 질문해 주시면서 '진사우합'이라는 말씀을 하셔서 제가 우합이 뭐냐고 여쭈었더니 사주상담하시는 분이 우합도 모르냐고 하시더군요.
그래서 인터넷으로 찾아보니 어쩌면 여러 분들의 설명이 한결같으신지....
"
며칠 전 어떤 분이 질문해 주시면서 '진사우합'이라는 말씀을 하셔서 제가 우합이 뭐냐고 여쭈었더니 사주상담하시는 분이 우합도 모르냐고 하시더군요.
그래서 인터넷으로 찾아보니 어쩌면 여러 분들의 설명이 한결같으신지....
"우합(隅合)이란 모퉁이합으로 축인, 진사, 미신, 술해의 4가지로 화개지가 생지를 생하는 구조이다.
(축인우합)
축토는 사유축, 금의 마무리이며 해자축 수의 마무리.봄을 열어간다..........."
대충 다 이렇게 설명되고 있는데 읽다 보니 아마 쓰시는 분도 잘 모르시고 그냥 베껴 쓰시는 듯 했습니다.
물론 제 이론이 다 맞다고 볼 수는 없지만 제 생각에는 이 이론은 풍수의 팔방에 대한 이론을 모르면 설명이 되실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풍수에서는 사정방(동,서,남,북)과 사우방(북동, 남동, 남서, 북서)을 합해서 팔방이라고 말합니다.
패철을 보시면 이 여덟 방위를 8개의 천간(무와 기가 빠짐)과 12개의 지지에 건,곤,간,손을 더해 24개로 나누어 표시했으니 사정방은 2개의 천간 사이에 1개의 지지를 넣어 표시하고 사우방은 2개의 지지 사이에 건,곤,간,손을 넣어 표시했습니다.
각 방향의 명칭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사정방★
*감방(북);임자계
*진방(동);갑묘을
*리방(남);병오정
*태방(서);경유신
☆사우방☆
*간방(북동);축간인
*손방(남동);진손사
*곤방(남서);미곤신
*건방(북서);술건해
위에서 보면
축과 인은 간을 중심으로 뭉쳐 간방을 나타내고
진과 사는 손을 중심으로 뭉쳐 손방을 나타내고
미와 신은 곤을 중심으로 뭉쳐 곤방을 나타내고
술과 해는 건을 중심으로 뭉쳐 건방을 나타냅니다.
이렇게 써놓고 보시면 우합이라는 말이 사우방과 관계가 있음을 명확히 아실 것입니다.
갑묘을은 진방이라는 이름으로 만났지만 전부 다 목의 속성을 가지고 있으나 축과 인은 간방이라는 이름으로 만났어도 축은 수, 인은 목의 속성을 가지고 있어 합이라고는 볼 수 없습니다.
정방이 각 방향이나 계절에 대한 특징이 뚜렷하다면 우방은 각 방향이나 계절이 혼재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목화의 기운에서 금수의 기운으로.바뀌는 자리에 위치한 간방과 곤방은 귀문방이라고 하여 매우 조심스럽게 여기고 있으며 손방과 건방은 사주에서 말하는 천라지망살과 관계가 있는 방위입니다.
만약 사주에서 이 우합을 인정한다면 아마 합이 아닌 것이 없을 듯 하며 대운이 바뀔 때, 특히 계절이 바뀔 때에도 합이라면 잘 넘어가야 하지 않을까요?
이란 모퉁이합으로 축인, 진사, 미신, 술해의 4가지로 화개지가 생지를 생하는 구조이다.
(축인우합)
축토는 사유축, 금의 마무리이며 해자축 수의 마무리.봄을 열어간다..........."
대충 다 이렇게 설명되고 있는데 읽다 보니 아마 쓰시는 분도 잘 모르시고 그냥 베껴 쓰시는 듯 했습니다.
물론 제 이론이 다 맞다고 볼 수는 없지만 제 생각에는 이 이론은 풍수의 팔방에 대한 이론을 모르면 설명이 되실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풍수에서는 사정방(동,서,남,북)과 사우방(북동, 남동, 남서, 북서)을 합해서 팔방이라고 말합니다.
패철을 보시면 이 여덟 방위를 8개의 천간(무와 기가 빠짐)과 12개의 지지에 건,곤,간,손을 더해 24개로 나누어 표시했으니 사정방은 2개의 천간 사이에 1개의 지지를 넣어 표시하고 사우방은 2개의 지지 사이에 건,곤,간,손을 넣어 표시했습니다.
각 방향의 명칭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사정방★
*감방(북);임자계
*진방(동);갑묘을
*리방(남);병오정
*태방(서);경유신
☆사우방☆
*간방(북동);축간인
*손방(남동);진손사
*곤방(남서);미곤신
*건방(북서);술건해
위에서 보면
축과 인은 간을 중심으로 뭉쳐 간방을 나타내고
진과 사는 손을 중심으로 뭉쳐 손방을 나타내고
미와 신은 곤을 중심으로 뭉쳐 곤방을 나타내고
술과 해는 건을 중심으로 뭉쳐 건방을 나타냅니다.
이렇게 써놓고 보시면 우합이라는 말이 사우방과 관계가 있음을 명확히 아실 것입니다.
갑묘을은 진방이라는 이름으로 만났지만 전부 다 목의 속성을 가지고 있으나 축과 인은 간방이라는 이름으로 만났어도 축은 수, 인은 목의 속성을 가지고 있어 합이라고는 볼 수 없습니다.
정방이 각 방향이나 계절에 대한 특징이 뚜렷하다면 우방은 각 방향이나 계절이 혼재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목화의 기운에서 금수의 기운으로.바뀌는 자리에 위치한 간방과 곤방은 귀문방이라고 하여 매우 조심스럽게 여기고 있으며 손방과 건방은 사주에서 말하는 천라지망살과 관계가 있는 방위입니다.
만약 사주에서 이 우합을 인정한다면 아마 합이 아닌 것이 없을 듯 하며 대운이 바뀔 때, 특히 계절이 바뀔 때에도 합이라면 잘 넘어가야 하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