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안방향으로 머리를 두면 좋다.
하지만 천편일률적인 구조로 되어 있는 집의 구조로는 반안방향을 고수하기가 힘들 수 있다.
그래서 최소한 천살방향으로 머리를 두는 것만은 피하는게 좋다.
자고 일어나도 개운하지 않고 피로가 남아있다면 시도해볼 말한 개운법이라 할 수 있다.
태어난 띠마다 반안방향과 천살방향이 다르니 자신에게 맞는 방향을 잘 활용해서 건강한 아침을 맞으시길 바랍니다.
* 亥卯未생 - 돼지, 토끼, 양띠 하위그룹 신자진 辰토 반안살/ 상위그룹 인오술 戌토가 천살
우선 피해야 될 두침방향은 천살방향으로 戌토(10시)의 방향를 피하는게 좋다.
천살방향은 내가 어떻게 함부로 할 수 없는 영역이다.
나를 꼼짝 못하게 하는 방향이기 때문에 가위에 눌릴 수도 있다.
그래서 아무리 오래 자도 개운하지 않아 새로운 운기를 받아들일 수 없다.
亥卯未생들의 반안방향인 辰토(4시)방향으로 머리를 두고 자면 좋다.
* 寅午戌생 - 호랑이, 말, 개띠 하위그룹 해묘미 未토 반안살/ 상위그룹 사유축 丑토가 천살
천살방향인 丑토(1시)방향을 피하는게 좋고 반안방향이 未토(7시)방향으로 머리를 두고 자면 좋다.
반안살 방향은 금전을 융통하는 인연과도 상관이 있기 때문에 금고의 방향도 반안살 방향으로 두면 좋다.
* 巳酉丑생 - 뱀, 닭, 소띠 하위그룹 인오술 戌이 반안살/ 상위그룹 신자진 辰토가 천살
피해야 되는 방향은 辰토(4시)방향이 천살방향이고 戌토(10시)방향이 반안방향으로 이 방향으로 머리를 두면 좋으나 여이치 않으면 최소한 천살방향으로는 머리를 두지 말아야 된다.
남편이 천살방향으로 머리를 두고 자면 스트레스, 압박감을 가지고 자는것이기 때문에 부부관계가 원만해질 수가 없다.
머리가 무거우면 사랑도 멀어지기 때문에 반안방향으로 머리를 두고 자야된다.
* 申子辰생 - 원숭이, 쥐, 용띠 하위그룹 사유축 丑이 반안살/ 상위그룹 해묘미 未토 천살
마지막으로 申子辰생은 未토(7시)방향이 천살방향으로 머리를 두면 안좋고 丑토(1시)방향인 반안방향으로 머리를 두고 자면 좀 더 개운한 아침을 맞을 수 있다.
천살방향은 지병이 잘 개선되지가 않고 특히 수험생들은 천살방향을 피해야 된다.
반안방향은 편안한 방향으로 두침방향으로 많이 쓰이고 수험생이나 지병이 있는 사람은 호전이 되는 방향이다.
'金銀鍍 의 명리학 이야기 > 개운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빛의 활용 (0) | 2022.12.24 |
---|---|
운명을 바꾸는 가장 쉬운 개운법 (0) | 2022.12.24 |
12신살 개운법 (0) | 2022.12.24 |
삼재 개운법 (1) | 2022.12.23 |
12신살 개운법 (2) | 2019.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