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왕의 개념 (장성살)
- 제왕간지 : 丙午, 丁巳, 戊午, 己巳, 壬子, 癸亥
일생 최고의 전성기.
이상과 포부가 높으며 능력과 수완이 뛰어나 최고의 자리에까지 오를 수 있으며 일처리와 대인관계가 능수능란하여 만인에 군림할 수 있는 帝王之象의 기운이 있다.
강한 자존심과 경쟁심에 노련미까지 더해져 규모가 큰 일도 능히 감당할 수 있어 출세와 권위를 지향한다.
뛰어난 능력으로 조직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으나 주위의 시기와 질투로 잦다보니 함부로 나서는 경우가 드물고 매사 신중하다.
- 왕지로서 주동적 역활을 하고 매사에 원만하고 능소능대하며 능률적이고 탁월하다.
- 벼이삭으로 비유하면 빈 껍데기는 관대이고 이제 막 알이 차기 시작해서 실속을 차리는 것이 건록, 완전히 무르익어 속이 가득 차서 머리를 숙이는 것이 제왕이다.
- 건록은 자신의 벼슬과 권력을 만인 앞에 과시하는 경향이 있는데 반해서 제왕은 자신의 벼슬과 권위보다는 체험에 의해 현실과 인간관계를 합리적으로 능숙하고 원만하게 다스린다.
- 건록도 큰 일을 할 수는 있지만 경험이 부족해서 실수가 잦지만 제왕은 능히 큰 일을 감당할 수 자신감과 노련미까지 갖추고 능수능란한 일처리를 한다.
오히려 큰 그릇에 작은 것을 담는 격으로 규모가 작은 일은 비효율적이다.
- 아무리 실패해도 좌절하지 않고 끝까지 해내겠다는 강인한 투지와 집념으로 맏은바 임무는 마침내 성공한다.
- 제왕의 직업 : 사업, 정치, 운동선수 등
* 십성별 제왕의 역할
- 비겁제왕 : 형제, 친구들이 능력이 뛰어나며 우애가 깊으며 어린시절부터 독립심과 자존심이 강한 자수성가형이다.
하지만 재물의 분탈이 심해 재물 축적에 어려움이 있으며 이성문제도 빈번하다.
- 식상제왕 : 자신을 드러내고자 하는 기운이 강해 타인을 위한 희생, 봉사활동에 치중하고 말과 행동에 거침이 없지만 관성을 극하는 기운으로 인해 직장상사나 윗사람에게 직언도 서슴치 않아 자칫 반항적인 모습으로 비춰진다.
자존심이 강하고 감정변화가 심해 시비, 구설로 직장과 환경의 이동이 잦다.
- 재성제왕 : 부친의 능력이 뛰어나며 미모가 뛰어나고 현명한 부인과 인연하며 재물복도 좋다.
부인의 강한 자존심과 독립심으로 사회활동에 적극적이며 탁월한 능력으로 승승장구한다.
이러한 부인이 남편을 경시하는 성향으로 인해 부부불화가 잦고 부부관계를 유지하더라도 정이 없다.
- 관성제왕 : 명예와 권력을 동반할 수 있는 직업에 인연할 수 있지만 자칫 사주의 구조가 좋지 않으면 음지의 권력을 누릴 수 있다.
강한 관성의 기운을 감당하기 어려우면 남의 눈치만 보는 소심형이 될 수 있다.
- 인성제왕 : 학식과 지성이 뛰어나므로 따르는 사람이 많아 교육관련에 종사하면 탁월한 능력을 발휘하며 관인의 구조가 잘 짜여진 사람은 관의 실력행사를 제대로 할 수 있는 검사, 행정단속을 하는 공무원으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하지만 인성만 너무 강하면 외골수적인 성향이 강하고 아는 척을 많이해 천박해 보이기 쉽다.
* 위치별 제왕의 역할
- 년지제왕 : 자수성가한 조상으로 인해 집안이 번창했었다.
- 일지와 월지에 제왕이 있으면 능력과 수완과 포부가 비범하고 원칙이나 사사로운 것에 구애받지 않고 현실과 효율을 위주로 과단성 있게 일을 추진한다.
- 월지제왕 : 치열한 경쟁의 환경에서 뛰어난 능력과 탁월한 리더십으로 오너로서의 초석을 다지고 자수성가의 기틀을 마련했다.
- 일지제왕 : 자존심과 독립심이 강해 일찍이 자수성가하지만 타인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어 대인관계가 원만하지 않다.
배우자와의 인연이 박하여 부부불화를 예고하며 특히 여명은 사회생활을 할 경우 그나마 부부인연을 유지할 수 있다.
- 시지제왕 - 자식의 능력이 출중해 공명을 떨치고 본인도 말년에 복이 있다.
- 석우당 명리
- 호신 명리
- 안태옥 명리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