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광주/남구 사주 카페 도혜] 오행 상생과 상극

Fortune Ked 2018. 4. 16. 22:35
반응형

오행이란 무엇이며 상생과 상극이란

 

지난시간엔 음양에 대해 공부했습니다. 정리하면 아래의 도표와 같다고 할것입니다.

무 극

음과 양이 없는 상태

태 극

음과 양이 만들어진 상태

사 상

태양(太陽)

소음(少陰)

소양(小陽)

태음(太陰)

팔 쾌

건(乾)☰

태(兌)☱

이(離)☲

진(震)☳

손(巽)☴

감(坎)☵

간(艮)☶

곤(坤)☷

오늘은 음양에서 어떻게 오행이 分化하게 되었는가를 함께 공부하겠습니다.

 

1.오행(五行)

 

가. 오행(五行)이란

 

五行은 陰陽의 强弱에 따라 나눈 것이다. 즉, 陰氣가 약해지면서 陽氣가 강해지기 始作하는 氣運이 木이고, 陽氣가 가장 强한 氣運이 火이며, 陽氣가 약해지고 陰氣가 강해지기 시작하는 氣運이 金이며, 陰氣가 가장 强한 기운이 水이다. 土는 陰陽의 기운이 化하여 응결(凝結)된 기운이다. 즉 태음(太陰)은 水가되고, 태양(太陽)은 火가되고, 소음(少陰)은 金이되고, 소양(小陽)은 木이되며 土는 각 기운(氣運)을 연결하는 中和된 氣運이라 할 것이다.

五行

四像

기운(氣運)

목(木)

소양

봄의 기운

화(火)

태양

여름의 기운

토(土)

 

양의 운동을 멈추고, 음의 운동으로 연결해 주는작용

금(金)

소음

가을의 기운

수(水)

태음

겨울의 기운

 

▮목(木)

“솟아나 뻗어 나가리라”한 겨울의 꽁꽁언 눈과 얼음 속에서 따뜻한 햇살이 비치며 새싹이 돋고, 陽氣가 솟아오르는 모습, 꽃이 피어나는 氣運, 뻗어나가는 氣運, 따뜻한 氣運, 곧은기운이 목(木)이다. 해는 東쪽에서 떠오르니 東쪽이 木이다. 봄철에는 나무의 氣運이 뿌리에서 잎으로 솟아 나온다.

풀, 나무, 아침, 봄, 동쪽, 소년기,

 

▮화(火)

펼치고 꽃 피우리라”봄의 따뜻한 氣運이 더욱 강해지면서 여름에 더워지는 時氣가 화(火)다. 펼쳐지는 時氣이다. 해가 중천에 떠오른 상태가 火다. 밝고 뜨거운 氣運, 타오르는 氣運이 火다. 화려한 꽃을 피우는 時氣이다. 여름에는 나무의 氣運이 잎으로 나와서 힘이 약해진다.

뜨거움, 한낮, 여름, 남쪽, 열정,청년기

 

▮토(土)

“잘 넘겨 주리라”환절기가 토이다. 즉, 봄(春)에서 여름(夏), 여름(夏)에서 가을(秋), 가을(秋)에서 겨울(冬), 겨울(冬)에서 봄(春)으로 넘어가는 환절기(換節期)가 土인데, 특히 여름에서 가을로 넘어갈 때가 土가 강한 때이다. 심고 기르는 氣運, 和合하고 중재하는 氣運이 토다. 서로 연결하여 순환(順換)을 돕는 역할을 한다. 무더운 여름에 나무는 잎은 무성하나 氣運이 다 발설되어 힘이 없다.

대지, 한낮을 지나, 여름과 가을사이, 중앙, 수축과 팽창, 순환의 고리

 

▮금(金)

“풍요롭게 맺으리라”여름이 지나 차가운 바람이 불고 낙엽이 지는 氣運이 金이다. 해가 西쪽으로 넘어가 어두워지는 때가 金이다. 成長을 멈추고 結實을 맺고, 열매가 열리는 작용, 强한기운, 맑고 찬기운, 맺고 끊는 기운, 변혁하는 氣運이 金이다. 가을(秋)에는 나무의 氣運이 잎에서 뿌리로 향해 들어가니 잎이 떨어진다.

금속, 해질녁, 가을, 서쪽, 결실, 열매, 성장을 멈춤, 장년기

 

▮수(水)

”아름답게 잉태 하리라”가을(秋)을 지나 눈이 내리고 추운 氣運이 水다. 해가 보이지 않는 어두운 밤(夜)이 水다. 차가운 氣運, 포용(包容)하는 氣運, 적시고 불리는 氣運이 수다. 겨울(冬)에는 나무의 氣運이 뿌리에서 잠자고, 열매는 씨앗 상태로 저장(貯藏)하고 있다.

물, 밤, 겨울, 북쪽, 씨앗, 수렴운동의 극단, 노년기

 

지금까지 五行, 즉, 木, 火, 土, 金, 水에 대해 그 氣運과 변화(變化)에 대해 이야기해 보았습니다. 五行을 이해하고 확장(擴張)함에 있어서,

 

“여름(夏)이라고 하여 火만 있고 木土金水가 없는 것이 아니다.”

겉에 드러나지 않았을 뿐, 한순간도 멈추지 않고 순환하고 있다.

“겨울(冬)이라고 하여 水만 있고 木火土金이 없는 것이 아니다.”

겉에 드러나지 않았을 뿐, 한순간도 멈추지 않고 순환하고 있다.

 

즉, 五行은 동시에 존재(存在)하는 것이다. 한 무대 위에서 마치 다섯 사람이 번갈아가면서 公演을 하는 것과 같다. 한 사람이 公演을 하고 나면 무대뒤로 사라지고, 同時에 무대뒤에 숨어있는 다음 사람이 점차 무대 앞으로 나서서 공연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다섯 사람이 順換한다. 太極은 陰陽으로 나뉘어지며, 陰陽은 五行으로 나뉘어진다. 그러나 五行은 陰陽에 다름 아니며, 陰陽은 太極에 다름 아니다. “명심하자! 사색하자! 머리가 복잡하면 밖으로 나가 하늘한번 쳐다보고 山川한번 둘러보고 땅 한번 내려보자! 때가되면 깨우치리라”

 

물상으로 바라보는 관법을 다시 정리해 봅니다.

五 行

形 像

物 像 觀 法

목(木)

봄에 나무나 식물이 음기를 뚫고 일직선으로 위로 뻗어나가는 기운

봄기운에 쭉 뻗은 나무가지

화(火)

여름에 기운이 다양하게 퍼져나가며 확산되는 기운

다양하게 퍼져나가는 잎들과 무성한 가지

토(土)

발산하려는 기운을 멈추고 수렴하려는 운동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표현

화려한 꽃들이 만개하는 양의 극단

금(金)

성장을 멈추고 겨울의 수렴운동의 前단계로 열매맺고 건조하고 메마른 상태

성장을 멈추고 열매를 맺음, 결실단계

수(水)

모든기운을 씨앗 상태로 저장하고 수렴하는 의미하고 외부적인 움직임이 없는 휴식상태

수렴의 결정체인 열매속에 단단한 씨앗

 

干支論의 첫 걸음을 始作했습니다. 다음은 지금까지 공부한 五行을 다양하게 圖表화 하였습니다. 지금 이해가 되는 부분도 있고, 그렇지 못한 부분도 있겠지만 눈여겨 살펴볼 필요가 있겠고, 점점 더 세분화(細分化)하는 연습(練習)을 계속 하겠습니다.

 

나. 오행배치도(五行配置圖)

五行

區分

季節

여름

사계환절기

가을

겨울

天干

甲 乙

丙 丁

戊 己

庚 申

壬 癸

地支

寅 卯

巳 午

辰戌丑未

申 酉

亥 子

方位

中央

西

五色

위치

교외

번화가

중심가

공장가

물가

五臟

간장

심장

비장

신장

六腑

쓸개

소장,삼초

위장

대장

방광

性品

자상

명랑

과묵

예리

엉큼

五宮

오상

행동

생산

활동

중계

통치

저장

五味

신맛

쓴맛

단맛

매운맛

짠맛

오성

인애

강맹

관용

살벌

유화

五氣

풍風

熱열

濕습

燥조

寒한

성질

곡직 曲直

염상 炎上

가색 稼穡

종혁 從革

윤하 潤下

발음

ㄱ , ㅋ

ㄴ,ㄷ,ㄹ,ㅌ

ㅇ , ㅎ

ㅅ,ㅈ,ㅊ

ㅁ,ㅂ,ㅍ

입속

맛보기

입술

치아

선천수

3, 8

2, 7

5, 10

4, 9

1, 6

후천수

1, 2

3, 4

5, 6

7, 8

9, 10

 

五行의 圖表에서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部分)은 그런게 있구나 하고 넘어가기 바란다.

 

다. 오행상생상극(五行相生相剋)

 

① 상생(相生)

相生이란 글을 풀이하면 서로 상(相), 날생(生)으로 서로 돕는다는 뜻이며, 氣運의 변화를 잘 관찰하면서 암기보다는 이해가 필요하리라. 첫 시간에서 보듯이 위로 계속 올라가면 모든게 하나, 즉, 무극(無極)이라는 이치(理致)입니다. 五行도 따로 떨어져 있는것이 아니라 서로 作用과 反作用, 즉 서로 돕기도 하고 반대 기운끼리는 서로 거부(拒否)한다는 것이다. “목이라는 나무가 화라는 불을 만들고, 불이 타서, 재가 나오니 이것이 흙으로 가는 길이고, 흙속에는 여러 가지 광물질이 있으니 이것을 금이라고 한다. 여기서, 금의 기운에서 수기가 생성되는데, 이것을 상생이라고한다” 우리는 이렇게 절대해석 하지 않고 氣運으로 관찰(觀察)하여 해석(解析)하고 현시대에 맞게 (확장)擴張을 해야 한다는 것을 명심하자. 이것이 바로 干支派의 學文이다.

 

목(木) ⇀ 화(火) ⇀ 토(土) ⇀ 금(金) ⇀ 수(水)

 


목(木)⇀생⇀화(火)⇀생⇀토(土)⇀생⇀금(金)⇀생⇀수(水)

 


봄     여름      환절기     가을     겨울

 

五行의 相生을 氣運의 變化로 관찰(觀察)하면 다음과 같은 해석(解釋)을 할수 있다.

 

▮ 봄의 끝에 여름이 오고, 여름의 끝에 가을이 오고, 가을의 끝에 겨울이 온다. 土는 봄과 여름의 陽운동에서 가을과 겨울의 陰운동으로 변화하는 과정(過程)을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 대자연의 運動成을 중심으로 관찰하면, 四季節의 순환운동(順換運動)으로 五行相生을 설명할수 있으며, 한 空間에서 時間의 흐름에 따라서 자연환경(自然環境)이 변해가는 과정을 설명하기위해 文字和했다라고 이해하면 될 것이다.

▮ 陰陽이나 五行 그리고 相生을 단순하게 물상(物像)나무,불,흙,쇠,물, 이나 글로 파악하면 안되고, 氣運이나 運動成으로 보고 관찰, 확장해야 할 것이다.

 

② 상극(相剋)

 

相剋이란 글을 풀이하면 서로 상(相), 이길 극(剋) 또는 정하다, 능하다, 잘하다, 판단하여 잡다는 뜻이다. 五行의 相剋 氣運의 변화를 관찰하면 다음과 같은 해석을 할수 있다.


 

여름,火

 

 

 

 

 

 

가을

 

 

 

 

환절기

 

 

 

 

 

 

 

겨울, 水

 




 

; 봄(木)의 솟아 오르려는 상승 運動을, 가을(金)의 결실과 하강운동이 억제하고 제어한다는 뜻이다.

; 여름(火)의 번지고 확산하려는 운동을, 겨울(水)의 응집하고 수렴하려는 運動이 억제하고 제어한다는 뜻이다.

; 목(나무)가 토(흙)의 기운을 빨아들이므로 극(剋)한다는 물상에 빠져서는 안되고, 엄밀히 五行의 相剋作用은 木 과 金(봄과 가을의 기운), 水 와 火(겨울과 여름의 기운)에서만 强하게 일어나며, 土와 연결된 相剋은 큰 의미가 없다고 본다.

 

陰陽의 運動이나 五行의 相生과 相剋運動은 時間의 變化에 따라 順換 發生하는 運動成이지, 서로 떨어져 따로 존재하다가 生해주고 剋하는 현상이 아니라는 것이다. 다시말해 봄과 가을은 만날 수 없으며, 여름과 겨울도 만날 수 없다. 다만, 그 運動은 한 장소에서 시간의 變化에 따라서 順換한다. 그러므로 運動成이나 氣運을 바탕으로 物像으로의 무한한 意識의 확장(擴張)을 하여야한다. 그것이 干支論을 이해하는 礎石이 된다.

 

앞에서 五行配置圖에 있지만 時間적인 의미로만 따로 다시 정리해보자.

구분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

하루

해뜨는아침

한낮의 정오

음,양의 결합체,

저녁

일년

여름

가을

겨울

인생

소년기

청년기

장년기

노년기

의미

시작,탄생,

창조

정열,발산,

확산

중화,수용

원숙함,

단단한열매

씨앗으로저장된모습,멈춤

방향

동쪽

남쪽

중앙

서쪽

북쪽

 

五行의 相生相剋

 



오늘 공부의 핵심인 五行相生相剋를 해설하자면 다음과 같다.

 

①  木 火 土 金 水 순서대로 옆에 있는 것끼리는 相生한다.

    木生火, 火生土, 土生金, 金生水, 水生木

 

②  木 火 土 金 水 한칸씩 건너져 있는 것끼리는 相剋한다.

    木剋土, 火剋金, 土剋水, 金剋木, 水剋火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