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 투출론(透出論)과 진여비결(眞如秘訣)
(3) 좌하배성(坐下配星)이면 투출정배(透出定配)한다.
계무경계
축진신축 곤명 일지 진중 을이 배성 정관
일지 辰중에 乙이 배우자 육신에 해당하는 정관입니다. 연상 을사생을 만났다
신정계정
해축축미 건명
좌하 지장간에 배성 신이 있어 축-계신기 신투출 신해년생 아내을 맞이하였다 .
(4) 좌하상식(坐下傷食)이면 투출정부(透出定夫)한다. 곤명만 해당
갑갑병기
자술자유 곤명 일지 술중 정화(상관) 정미생 남편을 만났다
(5) 사화길성(巳火吉星)이면 투병정배(透丙定配)한다.
사화가 어디에 있든 길신이면 병화로 정배한다.
기신계신
계축사축 곤명 병신생 남편을 만났다.
(6) 좌하길신(坐下吉神)이면 투출정배(透出定配)한다.
좌하는 일지를 말합니다. 일지는 배우자궁입니다. 즉 배우자궁(지장간)에 길신인 경우 배우자로 인연 합니다
○을갑정
○축진미 건명 설경구 축중 계수 투출 – 송윤아 계축년생 아내
신정정무
해축사오 건명
축중 계수 투출 축-계신기 계 투출 계해년생을 아내로 맞이하였다
(7) 지장길신(地藏吉神)이면 투출정배(透出定配)한다.
일지만이아니고 년월일시 중에 포함된 길신을 뽑아 배우자로 정한다
을정을사 건명 정관격 일간이 강하며 정관 임이 용신
사묘해묘 임이 길신 해- 무갑임 임진년생 아내
신임병갑 곤명 건록격 관식재
해자자오 정관 기가 길신 오-병기정 기사일주 배우자
반응형
'궁합(인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고론(入庫論)과 진여비결(眞如秘訣) (0) | 2020.10.14 |
---|---|
개고론(開庫論)과 진여비결(眞如秘訣) (0) | 2020.10.13 |
통근론(通根論)과 진여비결(眞如秘訣) (0) | 2020.10.13 |
갑자기 이혼 (0) | 2020.08.28 |
궁합분석 (0) | 2020.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