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천수/ 적천수 노트) 원진 - 怨嗔-
(본문)
원진은 상견하면 보기 싫어하고 서로 싸우기를 잘 한다.
子未, 丑午, 寅酉, 卯申, 辰亥, 巳戌을 원진이라 한다.
일월이 원진이 되면, 부모형제간에 불화하거나 이향 또는 파가한다.
그리고, 처궁에 생이별이 있다.
일시가 원진이면 처자와 인연이 박하니 처와 생이별 하기 쉽고 자손과 서로 헤어진다.
Memo)
丑午,卯申, 辰亥,巳戌 은 원진이면서 동시에 귀문이기도 하다.
(명리학 정론)
이 살은 연지와 일지를 주동하여 보는 흉살로, 월과 일이 원진이면 부모와 형제간의 원망이 생기게 되고
일과 시가 원진이면 자식과 서로 원망할 수 있으며, 육친으로 해당하는 혈육과는 불화하게 된다는 것이다.
특히 여명의 사주 월지나 육친으로 정재에 원진이 있으면 고부간의 갈등이 많고,
부부간에 이 살이 있으면 속궁합이 나빠서 백년해로 하기 어렵다고 풀이할 수 있다.
-.子未: 쥐는 양의 배설물을 꺼린다. 양의 배설물이 조금만 몸에 묻어도 몸이 썩어들어가며 털이 다 빠져 꼴이 말이
아니게 된다.
강한 자존심으로 고독하기 쉽고, 인간관계에 실패가 많을 수 있다.
보수적이며 세상에 대한 불만이 많고, 간섭 받는 것을 매우 싫어한다.
-.午丑: 소는 말의 게으름을 싫어한다. 자신은 무척 부지런히 일하는데 비해, 평상시 말은 가만히 서서 음식을 먹고
게으름을 피우기 때문이다. 실제로 마구간과 외양간을 이웃해서 지어주면 서로 잘 자라지 못한다.
구설로 인해 피해를 입는 경우가 많다. 특히 이성편력이 심할 수 있으며, 배우자 복도 약해서 이혼수가 크고
가정불화가 잦은 편이다.
정의감은 강하지만 정에 이끌려 맺고 끊는 면이 부족하다.
-.寅酉: 범은 닭의 울음소리를 싫어한다. 닭은 서백(西白)이므로 호랑이는 흰빛을 두려워한다. 장닭이 길게 세번이상
울고 꼬리를 흔들면 귀신과 호랑이도 민가에서 물러간다고 한다.
의지가 약한데 자존심이 강하여 고독하다. 아쉬운 소리를 못하고 성격이 까다롭고 괴팍해서 사회적응에
서툴고 정신적인 문제를 가질 수 있다.
-.卯申: 토끼는 원숭이의 궁둥이를 싫어한다. 자신의 눈색깔과 같기 때문이다. 자고로 세계 어느 곳을 가 보아도 원숭이가
사는 곳에 토끼가 같이 사는 법이 없다고 한다.
소심하고 변덕이 심하며, 지나치게 시비를 따지고자 하는 태도로 주변 사람들을 힘들게 하기도 한다.
의처증과 의부증을 겪기도 한다.
-.辰亥: 용은 돼지의 코를 싫어한다. 용은 열두 동물의 형태를 모두 형상화 한 동물인데, 다 잘생긴 모습 중에 돼지의 코를
형상화 한 것이 용의 코이다. 용은 돼지만 보면 자기 코를 생각하고 못 견뎌한다. 즉, 자기의 코가 돼지의 코를 닮아서
잘 생긴 용모에 오점을 남겻다고 여기며 돼지를 미워한다.
자기 일에만 관심을 두지만 이를 쉽게 성취하지 못하고, 공상이나 잡념이 많다.
변덕이 심하다.
-.巳戌: 뱀은 금속성의 개짖는 소리를 들으면 허물을 벗다 죽는다. 개 짖는 소리에 뱀은 기절초풍을 하게 된다. 발정기 때의
개짖는 소리는 산천초목을 울리고 그만큼 강한 쇳소리가 울려 퍼진다.
고막이 없는 뱀의 귀에까지 울리는 쇳소리에 놀라 뱀의 심장은 열에 부풀어 오르게 되는 것이다.
그리곤 허물을 미처 다 멋어버리지 못한 채 죽어버리고 만다.
모함과 구설이 많으며, 사고 관재수가 있을 수 있다.
맺고 끊는 것이 분명하여 색을 밝히는 경우가 있고 늦바람이 난다.
*원진살 운에는 자신이 가장 사랑하는 사람과 이별의 고통이 있다. 이럴 때는 각방을 쓰거나 따로 떨어져 사는것이 좋다.
Memo)
맹파명리에서는 원진에 대한 언급이 없다.
맹파명리에서의 신살은, 록신, 양인, 묘고, 역마, 공망 5개 뿐이다.
이는 매우 의미있는 관점이라는 생각이다.
[출처] (적천수/ 적천수 노트) 원진 -怨嗔-|작성자 무지개우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