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신론

金銀鍍의 사주명리학 이야기- 겁재

Fortune Ked 2020. 1. 14. 09:48
반응형

겁재(劫財)의 특성.
 
겁재(劫財)는 승부욕과 욕심이 있는 자존심이다.
비견과 달리 사람들과의 공감 소통 능력도 없다.
예를 들어 갑자기 친구가 교통사고로 죽었다면
비견은 울면서 그를 추모하다면 겁재는 친구의 죽음이
나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 냉정하게 판단하고 있다.
또 승부욕과 욕심이 있어 상관과 편재를 만나면 불법적인
일도 서슴치 않고 실행할 수 있는 사람으로 변한다.
위치도 중요한데 겁재는 천간에 있으면 흉()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즉 확실한 경쟁자로서 내 재물을 빼앗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특히 동업관계에 있을 때는 분배과정에서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겁재(劫財)의 어원적 의미는 재물을 빼앗는다란 의미이다.
비견(比肩)가 마찬가지로 재성(財星)을 극()하지만
실제 임상결과 비견(比肩)보다 조금 더 강하게 재성(財星)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밥은 한 그릇 밖에 없는데,
사람이 여러명 있다고 가정해 보자.
(밥그릇은 재성(財星), 사람은 겁재(劫財)해당)
그러면 사람들은 한 그릇 뿐인 밥을 더 많이 차지하기 위해
싸움이 하게 될 것인데,
이것을 군겁쟁재(群劫爭財)한다.
군겁쟁재(群劫爭財)란 겁재(劫財)
많으면 재물을 차지하기 위해
싸운다란 의미이다.
한정된 재물을 여러개로 분배한다는 것은
실제 삶이 가난해 진다는 의미이다.
비견(比肩)은 이익에 앞서 명분만
있으면 실행하려는 순수함이 있지만
겁재(劫財)는 이익을 철저하게 계산하여
명분이 아닌 실익을 따져서
실행하는 현실형 인간이다.
배우자 관계에서도 승부욕이
강해 남자의 경우 미인을 얻는데
관성이 약하면 친구에게 빼앗기거나
이혼하는 경우가 많다.
즉 지킬 능력이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관성과 재성이 튼튼하면
외부로부터 자신의 재물과 여자를 지킬 능력이 생긴다.
직업적으로 겁재는 승부욕이 필요로 하는 스포츠 선수,
프로 게이머, 정치인 등이 어울린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