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신격食神格
일간을 기준으로 월지 암장간 또는 사주 구성에서 식신에 해당하는 오행이 간지에 나타날 때 식신격이 이뤄진다
식신食神이란 일상생활 속의 모든 활동을 의미하는 것인데 이유는, 식食이란 먹는 행위와 그와 관련된 경제적 활동 전체를 의미하기 때문이고, 신神이란 좋고 보탬 되는 작용을 말하기 때문에, 사람이 살아가는 모든 활동을 의미한다고 보는 것이다. 다른 의미로는 의식衣食이라 보는 경우도 있다. 어떤 경우로 보든 간에 식신이란 재財를 생生하는 경제활동과 실생활을 의미하게 된다. 식신의 의미를 재와 비슷하게 보는 경향이 많은데, 이것은 식신의 의미를 정확하게 정의를 내리지 못한 탓으로 보인다. 재財는 돈을 담는 그릇으로 보고, 식신食神이란 그릇에 돈을 채워 넣는 행위를 말한다고 보면 쉽다.
식신을 사주팔자에 가진 사람은 몸이 뚱뚱한 비만형 체질을 많이 보지만, 마음이 넓어 시원시원하다. 현대인들에게 식신食神은 재財와 관官보다 더 좋은 오행으로 받아들여지는데, 식신食神이 재財를 생生하고 재財는 다시 관官을 생生하는 상생작용 때문이다. 즉, 식신食神이 사주에 있어야 재財와 관官이 제 자리를 잡게 되기 때문이다.
식신食神이란 먹을 복을 의미하는데 먹을 복이 있어야 직장에서 돈을 벌어 맛있는 음식을 먹을 수 있는 원리가 아닌가 한다. 식신食神은 자신을 극剋하는 인수印綬 또는 편인偏印과의 만남을 싫어하고, 식신격은 사주구성의 변화가 많아 통변通辯이 어렵다는 것을 알고 있어야 한다.
식신食神을 사주에 가지게 되면 자연 일간이 약弱해지기 때문에 일간을 도와줄 오행과 육친이 필요하게 된다. 식신격食神格이 구성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일간이 강왕强旺할 필요가 있다. 식신이 사주에 자리 잡은 상태에서 편인偏印이 나타나면 밥상을 엎는 격으로 아주 흉凶하다고 본다. 식신은 강하고 흉한 관살官殺을 억제하는 육친으로 관살을 겁내지 않고 재財를 생生하기 때문에 큰 부귀를 이룬다고 본다.
癸 戊 戊 庚
亥 申 寅 戌
이 사주팔자 구성에서 월지月支 암장에서 무토戊土 비견比肩이 투출되었으나, 가능한 격국으로서 비견은 피하고, 암장 간인 갑목甲木으로 격국을 구성하려 해도, 일지인 신금과 인목이 인신寅申으로 충沖해서 암장간 전부를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그렇지만 년간年干 경금庚金이 년지 무토戌土에 든든히 뿌리를 내릴 수 있어 식신격食神格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년간 경庚금이 년지 무戊토에 뿌리를 내릴 수 있다는 의미는, 무토戊土에는 암장간으로 신辛금과 정丁화와 무戊토가 있는데, 경금庚金이 암장 신금申金에 근거를 두게 된다는 의미이다. 경금食神은 다시 일지에서 신금申金을 만나 기운이 더욱 강해졌다. 시주時柱에 계해癸亥로 재성財星이 뿌리를 단단히 내리고 있는데, 강한 금金 기운이 금생수金生水로 재성財星에 기운을 보태고 있다. 그러자 금수金水 두 기운이 너무 강해지고 말았는데, 자연 무토戊土 일간 기운이 밀리는 형국이 되었다. 흐르는 운運에서 중년 토운土運을 만나 한국 최대의 기업을 일으키게 되었다.
이 사주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한국 경제사에 큰 발자취를 남기고, 전 세계가 주목하는 글로벌 기업인 삼성그룹을 이룬 고 이병철회장님의 사주다.
丁 乙 辛 戊
丑 亥 未 申
이 사주는 을목乙木이 해수 갑목甲木에 뿌리를 내리고 다시, 미토未土에 암장된 을목乙木을 만났다. 월지 미토未土 암장간 정화丁火가 시간時干에 투출했다. 사주에서 년간 무토戊土를 비롯해서 지지에 미축未丑으로 토土의 기운이 강하지만 월간 신금辛金을 생生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월간 신금辛金이 년지 신금申金에 착근을 하고, 시지 축토 신금辛金을 만나서 신강해져 버렸다. 다행히 시간時干 식신食神 정화丁火가 미토에 뿌리를 내리고 있어 식신제살격食神制殺格으로 정하게 된다.
강한 금金 기운이 사주의 병病이 되어 반가운 일이지만, 약藥으로 쓰이는 약한 화火 기운으로, 운運에서 화운火運을 반기게 되었다. 중년 화운火運에서 사주의 병病을 이겨내니 크게 성공을 이루게 되었다. 그러다 축운丑運에 이르러 강한 금金 기운이 되살아 나면서 화火 용신用神을 극剋하고, 일간 목木을 극剋해서 되어 죽음에 이르게 된 사주이다.
사주에서 일간이 태왕太旺할 경우에는 원국에 식상食傷이 있으면 식상食傷으로 격格을 정하게 된다. 이 경우에 일간의 기운이 너무 강하면 식상으로 기운을 설기泄氣해 주는 방법이 가장 바람직하고 충돌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사주의 격국格局을 정할 때에는 물론 월지月支를 바탕으로 판단해야 하지만 사주원국 전체의 기운을 세밀하게 살핀 다음에 격국을 정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상관격傷官格
상관격傷官格 역시 일간을 기준으로 월지月支 암장간 투간 또는 사주구성에서 오행을 읽어 상관격傷官格을 이뤄낸고 보는데, 이것은 일반론이고 실제는 사주원국 전체에서 다양하게 격格이 이루어지게 되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상관격傷官格은 진상관격眞傷官格과 가상관격假傷官格으로 나누어지는데, 이 판별하는 방법이 복잡하고 변화가 많아서 짧게 설명하기가 어려운 점이 많다. 나중에 설명을 할 때 주의를 기울여 살펴보길 바란다.
두 가진상관격假眞傷官格은 천간天干에 투간 여부와 무관하게 오직 지지地支에 있어도 격格이 이루어지고, 두 격은 서로 격의 구성을 바꿀 수 있고, 다르게 해석할 수도 있는 가변적인 격국이다. 10내격이나 72 외격을 다 합쳐도 이 상관격만큼 복잡하고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 격국은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라는 점을 참고하기 바란다. 일반적으로 사주원국에 식신성을 2개 이상 가진 경우에는 상관 격으로도 해석하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상관격傷官格은 강한 힘을 가진 관官을 상처 내고 극剋하는 기운이니만큼 당연히 폭력적인 행위가 많고, 남성에게 관官은 자식子息을 말하기 때문에, 자식子息을 극하게 됨으로 자식으로 인한 근심이 많다. 상관傷官이란 존재는 정해진 규칙과 법규를 지키지 않고 자기 마음대로 바꾸는 위법행위와 같은 의미이고, 상관은 일간의 힘으로 생生하는 존재이기 때문에 일간이 자연 신약身弱해지게 된다. 상관은 관官과 다투고 싸울 수 있지만, 실제에는 사주원국에서 관官을 만나는 것을 가장 피하게 된다.
상관격傷官格에 재財가 있으면 앞에서 본 것과는 달리 생재生財를 하고, 재는 생관生官을 하게 되어 크게 성공할 수 있지만 이때에도 반드시 신강身强을 기본으로 해야 한다. 그래서 상관傷官에는 반드시 사주에 재財가 필요하다고 했는데, 재財가 없으면 평생 빈곤을 면키 어렵다고 본다. 그러나 의외로 이 상관격傷官格을 가진 사람들에서 큰 부자나 재벌이 많이 나온다. 여명의 경우 식상이 혼잡하면 자식을 얻기 어렵고 어렵게 얻은 자식도 문제가 많으니 조심해야 한다.
이 격은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재능과 자질을 가지고도 재財와 명예名譽가 따르지 않아서 무명인으로 궁핍하게 살아가는 은둔형 고수가 많다. 그러나 일간이 아주 신강身强할 경우와, 관官이 많을 때에는 상관傷官은 주체할 수 없는 나의 기운과 공포스러운 관의 힘을 빼앗아 감으로 막힌 운을 단번에 열어주는 도움을 주게 된다.
상관격傷官格은 식신격과 마찬가지로 구성이 복잡하기 때문에 주의 깊게 살펴야 한다.
乙 丙 己 戊
未 戌 未 戌
이 사주는 일간日干 병화丙火로 월지 미토 속의 암장간 시간時干 을목乙木과 월간月干 기토己土로 투간해서 진상관격眞傷官格을 이룬다.
일간 병丙화는 두 미토未土와 년일지 두 술토戌土에 암장된 화火의 기운을 받아 신왕身旺할 것 같지만 년월긴年月干 무기토戊己土와 전체 지지地支에 미술미술未戌未戌의 왕성한 토土 기운에 매몰되는 바람에 일간 병화丙火 기운이 약弱해져서 도움이 매우 절실한 상황으로 급변하였다. 이때 다행히 시간時干 을목乙木이 지지 두 미토未土 암장 을목乙木에 뿌리를 내려 병丙화의 인수印綬로 생기를 보태 활력을 주게 되어 용신用神으로 삼게 된다. 그러나 인수의 기운이 약弱해서, 운運에서 목木 대운大運을 만나 큰 부를 이뤘다.
丁 丁 乙 戊
未 巳 卯 辰
이 사주는 일간 화丁화가 일지 사巳화에 자리를 잡았고, 묘월卯月 생生이다.
사주를 살펴보면 시간 정丁화에 지지 년시지月時支 묘미卯未로 인수국印綬局을 이루어 일간 정丁화가 힘을 얻어 신강身强한 형세가 되었다. 일간이 강하면 세기泄氣를 생각하여 토土를 살펴보면 년간 상관傷官 무토戊土가 년지 진토辰土에 뿌리를 내리고 다시, 시지 미토未土를 만나고 있어 화火 기운을 설기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월주月柱 인수印綬 을목乙木이 무토戊土를 치고, 지지 묘목卯木이 진토辰土 암장 을목乙木과 합合을 이루고 미토未土 암장의 을목乙木과 연합을 하여 그 세력이 강해졌다. 강한 목木 기운이 사주의 큰 병病이 되어 세력이 밀리는 용신 토土를 공격하는 상황이다. 운運에서 강한 금운金運을 만나서 사주의 병病이 되는 목木의 기운을 제거하고 크게 발복을 크게 이룬 사주이다. 그러나 운에서 다시 인수운印綬運 목木을 만나서 상관傷官을 공격해 들어오니 그만 입묘하게 되었다.
이곳에서 간단하게 진상관격眞傷官格과 가상관격假傷官格을 구분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 지나가겠다. 이 두 격은 먼저 월령에서 지정되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고 사주원국의 흐름에서 결정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주의 깊게 사주원국을 잘 살펴야 한다. 가상관격假傷官格의 경우 월지에 인수가 많을 경우에도 가상관격假傷官格이 성립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먼저 진상관격眞傷官格의 경우 일간을 기준으로 살펴볼 때 월지月支에서 식신食神과 상관傷官을 만나야 하고, 천간天干에도 식신食神이나 상관傷官이 투간해야 격이 구성되는 것으로 본다. 예를 들어 갑을 목의 일간의 경우에는 월지에 사오미 식상을 만나야 하고 다시 천간에 병정화가 자리를 잡아야 진상관격眞傷官格에 구성된다고 보는 것이다. 이와 같이 진상관격眞傷官格이란 월지와 천간 모두에서 식상을 만나게 되는 경우를 말한다.
가상관격假傷官格의 경우 일간을 기준을 할 때 진상관격眞傷官格과 달리 월지月支에 인수印綬나 비견ㄴ比肩을 만나야 하고, 천간에서는 식신食神이나 상관傷官을 만나야 가상관격假傷官格이 구성된다고 보는 것이다. 예를 들어 갑을 목 일간을 살펴보면, 월지에는 인수와 비견인 해자축과 인묘진이 자리해야 하고, 천간에는 식신과 상관이 되는 병정화를 만나야 한다는 말이다. 가상관격假傷官格이란 월지에서는 인수와 비견을 만나지만 천간에서는 식상을 만나게 될 경우에 이 격이 구성된다고 본다.
이런 내용을 잘 기억하고 있어야 상관격傷官格을 만났을 때 어려움 없이 격을 순조롭게 판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식상격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식신食神이 사주원국에 거듭 자리를 잡을 경우 상관격傷官格으로 본다는 사실이다. 이 점을 참고하기 바란다.
庚 戊 丁 辛
申 午 酉 酉
이 사주를 살펴보면 일간日干 무戊토가 늦가을 유酉월 생이다. 년주年柱 투간 신辛금과 년월지年月支 두 유酉금에, 시간時干 경庚금에 자좌自坐 申금으로 식상이 천지에 가득이다. 유酉월 신辛금으로 眞傷官格이 이루어졌다. 일간日干 무戊토가 지극히 신약身弱해졌는데 다행스럽게도 월간月干 정丁화 인수印綬가 일지 오午화에 뿌리를 내리고 있어 반갑다.
신약의 경우 일주를 도와주는 인수印綬가 용신用神으로 최적이다. 대운에서 목화木火운이 반갑고, 수금水金운에 고향으로 돌아와서 산수와 더불어 조용하게 살아야 하는 명을 가졌다.
[출처] *정격正格의 실례와 판단. 식신격, 상관격, 진상관격, 가상관격|작성자 남석
'격국 ' 카테고리의 다른 글
金 銀鍍의 사주 명리학 이야기 -겁재격 (0) | 2020.02.18 |
---|---|
金銀鍍의 사주명리학 이야기- 비견격 (0) | 2020.01.09 |
金 銀鍍의 사주 명리학 이야기 - 정관격 (0) | 2019.12.05 |
金 銀鍍의 사주 명리학 이야기 - 편관격, 인수격 (0) | 2019.12.05 |
金 銀鍍의 사주 명리학 이야기 - 정격正格의 실례와 판단. 정재격, 편재격 (0) | 2019.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