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십갑자 병납음30갑자

은도사의 사주 명리 이야기- 납음을 통한 흐름

Fortune Ked 2019. 11. 19. 15:34
반응형


              甲子                         해중금                   乙丑


생하고 그 다음 오는 글자입니다                          왕하고 그 다음 오는 글자입니다

욕지란 변화한다는 것입니다                              쇠지란 줄 끊어진 연과 같습니다

더 이상 숨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자유롭긴 하나 디딤돌이 없습니다

다가섬의 시작점이기도 합니다                           


              丙寅                         노중화                    丁卯


아직 다다르지는 않았으나                                 병지 입니다

상대도 알아 볼 수 있는 단계입니다                       아직은 자신이 우위에 있습니다

                                                             경쟁하는 금박금을 가장 싫어 함니다

                                                             


              戊辰                         대림목                   己巳


관지 입니다                                                왕지 입니다

음의 양류목을 가장 좋아합니다                           중복을 의미합니다

                                                             겁재를 두려워하지 않습니다

                                                             장류수와 함계합니다

                                                             장류수는 자신의 갈 길을 아는 것입니다


               庚午                         노방토                  辛未


 욕지 입니다                                                쇠지입니다

음의 장류수와 동행하게 됩니다                            음의 양류목을 많이 아쉬워 합니다

                                                             음의 검봉금이 무기입니다

                                                              음의 노방토와 경쟁은 위험합니다

                                                              살을 내주고 뼈를 취합니다

                                                              양에 천상화의 재물이 되기도 합니다


               壬申                           검봉금                  癸酉 


생지입니다                                                  병지입니다

음의 노중화을 병들게 하는                                 생지와 병지를 같은 납음으로

주원인과도 같습니다                                       논합니다



생욕관건왕쇠병사묘절태양생욕관병




아침엔 빛이 내리고 저녁엔 어둠이 내림니다  진 술


하지엔 열기가 오르고 동지엔 한기가 오름니다 미 축


빛이 내리는 것을 을계무


어둠이 내리는 것은 신정무


열기가 오르는 것은 정을기


한기가 오르는 것은 계신기


빛과 어둠은 하늘에서 시작되고


한기열기는 땅에서 시작됨니다


오행은 지지에서 여러 관점의 변화를 가르키는 도구입니다


하늘에서 빛이 내린다고 생각할 수는 있으나


어둠 또한 하늘에서 내린다고 생각할 수 있느냐 입니다


그렇다면


한기가 오른다고는 생각할 수는 있으나


과연 열기가 오른다고 생각할 수 있느냐 입니다


물론 있고 없고의 차이로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그럼 있는건 있는 것인데 과연 없는건 무엇이길래







똑같은 표현을 할 수 있을까의 문제입니다


각각 진술축미의 끝에 붙여진 무기는 그러한 뜻입니다


또한 정계 또한 있고 없고의 차이입니다


을신 또한 내리고 오르고의 차이입니다


있는 것도 오르고 내리고 없는것도 내리고 오르는 것입니다


========================================================


오월에 오시는 가장 화의 기운이며 명궁이 巳입니다


자월의 자시는 가장 수의 기운입니다 그러나 명궁은 같습니다


분명 월도 이동했고 시도 이동했지만 명궁은 이동하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항상 착각합니다


모든것이 변한다고


그러나 하나만 변함니다


모든 것이 변화하려 해도 우린 벗어날 수가 없습니다


명리학은 상상하는 것이 아니라


확인하는 것입니다





역대 대통령

이승만 1948~1960

윤보선       ~1962

박정희 1963~1979

최규하      ~1980

전두환      ~1988

노태우      ~1993

김영삼      ~1998

김대중      ~2003

노무현      ~2008

이명박      ~2013

박근혜      ~2017 3월

문재인 2017 5월~~





월에서 정임 합목입니다 그래서 복등화로 시작합니다 복등화는 새로운 시작을 의미합니다 양은 쇠병하고 음은 욕관합니다

양은 음을 위해 희생하는 것입니다 차천금 또한 그러함니다 복등화가 무토에서라면 차천금은 기토에서 그러합니다

복등화는 되풀이할 복 등등자로 다시 등불을 밝히다라는 뜻입니다 그러니 양은 기름이 되어 쇠병하고 세상을 밝혀 길을내니

을목은 욕관으로 욕 깨긋하게 몸을 싰고 관 옷을 입은 형국입니다 

차천금는 비녀 팔찌등을 말함입니다 세공하여 쇠병하니 여인은 그 장신구을 욕 착용함으로서 관 아름다움을 뽐내는 것입니다

천하수 상자목은 왕쇠하고 관건합니다 왕은 서로를 얻는다는 것입니다 물론 전부를 얻는다는 것이 아님니다 

마음을 얻는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병화는 계수를 얻고 임수는 정화를 얻습니다 그리고 쇠합니다 정오와 자정을 끝으로 그 왕함이 끝내는 것입니다 음은 관건 합니다 양이 음을 얻는 과정이라고도 볼 수 잇습니다 

수화의 음에 관건은 중복되어 자리를 내어 건 꺼내어 지는 것입니다

이는 진 술 토의 특성으로 진에서는 계수가 오르니 정화는 병화를 얻어 계수를 벗삼아 관건하는 것이고

술에서는 정화가 오르니 계수는 임수를 얻어 정화를 벗삼아 관건하는 것입니다


인묘공망에서는 갑 병이 진오에 있어 기화 무수 왕병쇠갑한다면 정 을이 진 오에 있어 기계 무경

                 경 임이 술자에 있어 기수 무화 왕임쇠경한다면 계 신이 술 자에 있어 기정 무갑

                 이는 중앙토가 신유에 인묘공망의 역활과 같으니 목화와 금수를 구분할수 없다는 것입니다 


갑목이 쇠병하여 정화가 관건하면 중복되어진 병화가 왕쇠하여 을목이 욕관합니다

경금이 쇠병하여 계수가 관건하면 중복되어진 임수가 왕쇠하여 신금이 욕관합니다

이는 대역토 시간의 흐름을 말하니 목화로 무토는 병사하고 기토는 생욕하는 것이니

무기토는 동시성이면서도 정반대의 시간이기도 합니다 


시간의 배열은 목금에서 양이 쇠병하니 음은 욕관하는 것이고 화수에서 음이 관건하니 양이 왕쇠하는 것이니


토는 서로의 기토을 향하여 무토는 병사하고 기토는 생욕하는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