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육합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육합

Fortune Ked 2019. 11. 11. 01:32
반응형

천간이 양과 음으로 합을 이룬 것과 같이 지지에서도 음양이 만나 합을 이룹니다. 천간합이 상극하는 오행이지만 부부에 해당하는 육신으로 종적인 결합을 이우었다면 지지육합은 12지지를 방위에 따라 지구에 배포했을 때 비슷한 위도상의 횡적인 유대로 결합한 것과 같은 자축합 인해합 묘술합 진유합 사신합 오미합 등 6개로 이루어져 6합이라고 합니다.

천간합과 지지 육합은 물직적이고 육체적이며 현실적인 결합입니다. 또한 천간합이 공적이며 드러난 합이라면 지지 육합은 사적이며 지극히 개인적인 합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리하여 지지 육합은 개인의 성향에 따라 많은 변화를 일으키게 합니다. 사회적인 목적과 사상적인 결합에 해당하는 삼합과 지역적인 세력을 이룬 방합의 활동을 방해하거나 무시하는 경향이 있으며 개인의 이익이나 정때문에 공적인 목적이 변질될 수 있으며 사주 원국의 해석이나 세운을 통변할 때 지지 육합의 동향을 잘 살펴야 합니다.

지지 육합 역시 천간합과 같이 다른 오행을 생산하지만 실제로 사주를 해석할 때 나타나는 오행 현상과 세력은 주변 상황에 따라 많은 차이가 납니다. 그러므로 어떤사람은 지지 육합의 이론을 무시하는 경우도 있어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는데 이는 지지 육합이 차지하고 있는 위치와 사주 원국에서 어느 오행이 세략을 주도하고 있는가에 따라 합화된 오행의 작용이 잘라지므로 지지의 구조를 면밀하게 파악해야 할 것입니다. 이에 따라 이 책에는 기존의 명리서와 다르게 나타나는 오행의 변화를 함께 수록했으므로 오해가 없기를 바랍니다.

1.자축 합화 토. 수

북방의 자수가 축토와 만나 인목을 일으켜 세우기 위한 합으로 일명 북극합이라고도 합니다. 합화하여 토가 되는데 너무 습하고 냉하여 생명체의 성장이나 번식이 어겹거나 애로가 있는 땅 즉 동토와 같아서 수(결빙)이라고도 봅니다.

기존의 명리서에는 보통 자축합이 합하여 토로 변한다고 하였으나 이는 계절과 주변 오행의 세력을 참고하지 않은 판단의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자월이나 축월 또는 해월에 자축합이 이루어지거나 사주에 수나 금의 세력이 왕성하게 짜여있을 경우에는 자축합이 수로 변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기후와 시간 개념으로 풀이하더라도 자축월에는 모든 생명체의 발육이 부진하여 움츠러들고 씨앗(수)의 형태로 남아있는 때이며 자축시에는 활동이 거의 중단된 취침시간인 것을 예로 우리가 알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현상에서 나타나는 상태를 참고하여 운을 판단하는 데도 응용하면 기묘하고 재미있는 이야기가 나올 것입니다.

2.인해 합화 목

인해합은 목의 장생지에 해당하는 해수와 인목이 합한 것으로 해수가 본체인 목으로 돌아가 목을 양육시키는 형태로 합력이 강합니다.

이처럼 인해합은 생합으로 육합중에서 합력과 합화된 오행의 세력이 가장 강한데 그러나 육합인 동시에 파에도 해당되어 인해는 선합후파의 원리를 적용해야 합니다. 선합후파랑 합력이 파의 작용과 역할보다 더 강하고 크기때문에 합의 작용이 먼저 일어나고 파의 작용은 약해져 나중에 미미하게 작용하거나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입니다.

3.묘술 합화 화

동방의 인목이 화의 묘지인 술토와 합하여 화가 되었으나 합화된 화의 작용력은 미약합니다. 목이 토를 극하는 형태로 극합을 하는데 여기서 화의 작용은 물을 끓이거나 나무를 태우는 불이 아니라 뜨거운 열기 정도로 판단하면 되겠습니다.

한편으로 묘술합을 가리켜서 도화지합 음란지합이라고도 하는데 그 이유는 도화살에 해당하는 묘가 창고에 해당하는 술에서 은밀하게 만나 열을 내는 것에 비유한 것입니다.

4.진유 합화 금

습토인 진이 유금을 생조하여 금으로 변화합니다. 진유합 역시 생합으로 합의 영향력과 합화된 오행인 금의 작용이 강하게 나타납니다.

어떤 사람은 진유합이 토로 합화한다는 이론을 펴는데 이는 신금의 고지가 진이라고 하는데서 연유한 것 같으나 조금 무리가 있는 이론입니다.

5.사신 합화 수.

기존명리서에는 사신합화 수로 되어있지만 오행의 이치로는 사화중에서 무토가 여기로 남아있지 않고 경금의 장생이인지라 사화는 신금과 합하여 금으로 변화하여 작용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6.오미 합화 화. 토

자축합이 북극합이라면 오미합은 적도합이라 하겠습니다. 화토가 동궁으로 불합하거나 불화한다는 이론이 있고 화와 토로 변화한다는 이론도 있으나 자축합과 마찬가지로 시절 개념과 지장간을 살펴보면 화토로 변해도 생산성과 능률 즉 작용력이 별로 없는 합으로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백민의 명리학개론 중

[출처] 지지육합|작성자 하루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