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과거 현재 미래는 시간의 연속성이다
여기에다가 인과연을 대입하면 시공의 연속이된다
시공의 연속을 이어주는 것이 일진이다
박일우 명리 사계단법에서는 지난 것은 유물
앞으로 오는 것은 무물이라고 한다
왜 그런 이론이 만들어 졌을까
그것은 앞으로 오는 미래는 비어 있기 때문이다
공망의 이치를 응용했던 것입니다
오늘 일진이 임오이다
임
유 신 미 오 사 진 묘
임오일진의 공망은 신유이다
내일은 계미일진이면 신유이다
그리고 왕지일진은 왕지날이 목적인자가 된다
오- 유
묘고는 묘고가 목적인자가 된다
미 - 술
생지는 생지가 목적인자가 된다
신 - 해
맹목적으로 암기식보다는 이치를 알고
원리를 깨달으면 통변에도 자유롭게 될 것 같습니다
박일우 명리의 사계단법에는 공망의 비술이 숨겨져 있었던 것으로
지난 것을 유물 오지않 것은 모두 공망으로 짜여져 있고
양간 음간의 시간차가 조금 있는 것입니다
사계단의 근묘화실 법에서
박일우 명리 이론이 모두 나온 것입니다
암시살
음욕살
낙화론
일진론
궤도이탈 오진법
일년신수법
평생신수법
음양으로는
12신살론
12운성론
고진과숙
상문조객
천을귀인론
물상으로는
12인자론
으로 크게 정리가 됩니다
반응형
'오주괘(내정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金 銀鍍의 사주 명리학 이야기 - 내정법 (0) | 2020.04.18 |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내정법 결과 (0) | 2019.09.30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명리일진내정법 활용 5 (0) | 2019.09.08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명리일진내정법활용 4 (0) | 2019.09.08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명리일진내정법 비법과 활용3 (0) | 2019.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