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12달의 구분
월 | 기 간 | 월 | 기 간 | ||||
인월 | 입춘부터 경칩 전까지 | 신월 | 입추부터 백로 전까지 | ||||
묘월 | 경칩부터 청명 전까지 | 유월 | 백로부터 한로 전까지 | ||||
진월 | 청명부터 입하 전까지 | 술월 | 한로부터 입동 전까지 | ||||
사월 | 입하부터 망종 전까지 | 해월 | 입동부터 대설 전까지 | ||||
오월 | 망종부터 소서 전까지 | 자월 | 대설부터 소설 전부터 | ||||
미월 | 소서부터 입추 전까지 | 축월 | 소설부터 입춘 전까지 |
명리학에서 사용하는 1년 12달은 우리가 평소 일상에서 사용하는 양력과 음력과는 다른 기준을 사용한다.
1년 12달을 24절기를 기준으로 구분하고 1년의 시작이 입춘부터이다. 입춘에서 경칩 전까지를 인월, 경칩에서 청명 전까지를 묘월, 청명에서 입하 전까지를 진월, 입하에서 망종 전까지를 사월, 망종에서 소서 전까지를 오월, 소서에서 입추 전까지를 미월, 입추에서 백로 전까지를 신월, 백로에서 한로 전까지를 유월, 한로에서 입동 전까지를 술월, 입동에서 대설 전까지는 해월, 대설에서 소한 전까지는 자월, 소한에서 입춘 전까지는 축월이라 한다.
여기서 인월 ‘입춘부터 경칩 전까지’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자. 태양이 황도상 315도에 닿는 순간을 ‘입춘 절입시간’이라 하고, 30도를 지난 345도에 태양이 닿은 순간을 ‘경칩 절입시간’이라 한다. 회전체는 한 회전이 360도이므로 다음 30도를 지난 위치는 황도상 15도이고 태양이 이 점에 닿는 순간을 ‘청명 절입시간’이라 한다. 황도상 0도에 태양이 닿는 순간이 춘분이다.
절기 | 양력 날짜 | 절기 | 양력 날짜 | ||
입춘 | 2월 4일경 | 우수 | 2월 19일경 | ||
경칩 | 3월 6일경 | 춘분 | 3월 21일경 | ||
청명 | 4월 5일경 | 곡우 | 4월 20일경 | ||
입하 | 5월 6일경 | 소만 | 5월 21일경 | ||
망종 | 6월 6일경 | 하지 | 6월 22일경 | ||
소서 | 7월 7일경 | 대서 | 7월 23일경 | ||
입추 | 8월 8일경 | 처서 | 8월 23일경 | ||
백로 | 9월 8일경 | 추분 | 9월 23일경 | ||
한로 | 10월 8일경 | 상강 | 10월 24일경 | ||
입동 | 11월 7일경 | 소설 | 11월 22일경 | ||
대설 | 12월 7일경 | 동지 | 12월 22일경 | ||
소한 | 1월 6일경 | 대한 | 1월 20일경 |
경칩 절입시간부터 먼저 살펴보자. 2013년 계사년 경칩 절입시간은 3월 5일 19시 14분이다. 경칩일(驚蟄日)이라 할 때는 3월 5일을 말하고, 경칩시(驚蟄時)라 할 때는 3월 5일 19시 14분을 말한다. 이런 구분이 중요한 이유는, 같은 3월 5일이라도 19시 14분부터가 묘월이고, 19시 14분 이전의 시간은 인월이다. 그래서 3월 5일 14시는 인월이고 3월 5일 20시는 묘월이다. 이렇게 같은 날이라도 달이 다르다는 것이 평소 사용하는 양력과 음력과의 다른 점이다.
또 다른 중요한 점이 있다. 2013년 2월 4일 1시 13분이 입춘 절입시간이다. 1시 13분이 지나야 인월이고, 1시 13분 이전은 축월이다. 그런데 명리학에서 첫 달은 인월이고 마지막 달은 축월이다. 그래서
입춘일이라도 2013년 계사년 2월 4일 1시 13분이전은 2012년 임진년 축월에 속한다
[출처] 명리 기본 용어 2|작성자 1004robin
'쉬운 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金 銀鍍의 사주 명리학 이야기 - 오행과 공부과목 (0) | 2019.11.29 |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대운 지장간 보는법 (0) | 2019.11.07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60갑자 물상론 (0) | 2019.08.23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사주첩경 추명요약 (0) | 2019.08.03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을을병존 (0) | 2019.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