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창귀인(文昌貴人)
*일간(日干)을 기준으로 하여 전지지(全地支)를 살펴보는데, 녹(祿)에서 순행사위(順行四位)이다.
갑사을오병무신(甲巳乙午丙戊申), 신자임인계봉묘(辛子壬寅癸逢卯),
정기유위경견해(丁己酉位庚見亥), 봉자문예우월인(逢者文藝優越人)
*총명(聰明)과 지능(智能)과 위타(爲他)하는 식신(食神)의 작용이다.
①학문에 정통하여 생전문장(生前文章)이라고 하나, 대부분 지능지수가 대단히 높은 반면
면학(勉學)을 하지 않고 지모(智謀)로 공부하는 경향이 많다.
②면학(勉學)하면 유명인이 될 팔자이다.
③예술, 예능, 자연계에 적합하다.
문곡귀인(文曲貴人)
*일간(日干)을 기준으로 하여 전지지(全地支)를 살펴보는데, 녹(祿)에서 역행사위(逆行四位)이다.
갑해을자병무인(甲亥乙子丙戊寅), 신봉오혜임견신(辛逢午兮壬見申),
정기묘혜경견사(丁己卯兮庚見巳), 계유문곡사후명(癸酉文曲死後名)
*교육, 학문, 종교에 해당하는 인수(印綬)의 작용이다.
①사후문장(死後文章)으로 역사에 이름이 남으며 세계적인 학자가 된다.
②문창(文昌)보다 차원이 높고 인문계(人文界)에 적합하다.
학당귀인(學堂貴人)
*일간(日干)을 기준으로 하여 월시지(月時支)를 살펴보는데, 오행의 장생궁(長生宮)이다.
*문창(文昌)과 문곡(文曲)이 병합되어 있는데, 양간(陽干)의 문곡(文曲)과 음간(陰干)의 문창(文昌)이
학당귀인(學堂貴人)이다.
甲 乙 丙戊 丁己 庚 辛 壬 癸
亥 午 寅 酉 巳 子 申 卯
①총명하여 대문장인(大文章人)이 된다.
②문창(文昌)이나 문곡(文曲)이나 학당(學堂)이 있으면 문학, 교육, 언론, 연예계에서 활동한다.
甲 | 乙 | 丙戊 | 丁己 | 庚 | 辛 | 壬 | 癸 | |
문창 | 巳 | 午 | 申 | 酉 | 亥 | 子 | 寅 | 卯 |
문곡 | 亥 | 子 | 寅 | 卯 | 巳 | 午 | 申 | 酉 |
학당 | 亥 | 午 | 寅 | 酉 | 巳 | 子 | 申 | 卯 |
출처: https://backsong.tistory.com/6190 [백송 철학원]
반응형
'명리학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축오원진 (0) | 2019.06.27 |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득령 ,실령 (0) | 2019.06.21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상관패인 (0) | 2019.04.25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암록 (0) | 2019.04.24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명궁을 찾아서 (1)기존이론 (0) | 2019.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