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눈병과 사주
1. 안과 질환이 생기는 경우 1) 화는 시력으로 정사화가 심히 피상되면 맹인 2) 수일주 지지에 화국이면 야맹과 청맹 3) 수화가 상전하면 안질환이 옵니다. 4) 화가 형,공망이면 색맹에 색약 5) 화가 형살에 양인살 겸비하면 사시 6) 목다하면 원시 7) 화부족이면 근시 8) 화부족에 금수태왕이면 난시 9) 화일주 화태왕이면 백내장 10) 목일주에 토금 재살이 강하면 목이 극을 당하여 화를 생하지 못하여 시력이 약합니다. 11) 화일주에 금수 재살이 강하면 화가 몰하게 되어 시력이 약해집니다. 12) 토일주에 수목태왕은 수다토류에 목다토붕으로 토가 심히 극을 받아 자연 화 가 토를 생하느라 약해져 시력에 문제가 생깁니다. 13) 정사화가 사주 내에서 극을 당하면 시력에 문제가 생기고 사주내에 화기가 극 을 받으면 특히 형이나 충이 되면 시력에 문제가 생깁니다. 14) 화기가 태왕하면 다자무자에 걸려 오히려 없는 것과 같아서 시력이 약해집니다. 15) 화기가 강해 수기가 부족해진 경우 안구건조증이 생깁니다 (한의학에서는 간장의 열과 신장의 수기부족으로 안구건조증이 생긴다고 합니다). 2. 예시 1) 실명 時 日 月 年 甲 甲 丁 己 子 午 卯 酉 (乾命, 乙木分野) 65 55 45 35 25 15 5 庚 辛 壬 癸 甲 乙 丙 申 酉 戌 亥 子 丑 寅 묘월의 갑목일간으로 양인격이 되는데 지지에서 묘유충‧자오충으로 주중의 금목과 수화가 싸우는 불안정한 사주가 되었습니다. 을축대운중 신미년에 실명이 되었는데 대,세운이 천충지충으로 충하여 흉하였다. 신미년은 사주 원국의 상관 정화와 상관견관의 운이 되고 미토는 유금과는 상문살에 걸립니다. 2) 실명 壬 己 丁 庚 申 未 亥 戌 (坤命, 壬水分野) 61 51 41 31 21 11 1 甲 癸 壬 辛 庚 己 戊 午 巳 辰 卯 寅 丑 子 해월의 일간 기토가 지지에서 해미합목한 살과 해월이라 천간에서도 정임합목한 목기로 강한 목기로 인하여 극을 받는 구조가 되었습니다. 음간이라 신약하다라도 제살만 할수 있으면 식상으로 용신으로 함이 원칙이라 천간의 경금과 시지의 申금으로 목을 제살해야 되는 사주입니다. 경인대운 교체기인 21세 경오년에 실명을 하게 되었는데 사주원국과 대세운이 지지에서 인오술 화국하여 용신인 금을 극하여 흉한 운이 되었는데 왕한 火勢로 다자무자에 해당하는 운이라 도리어 실명을 하게 되었다고 봅니다. 3) 야맹 壬 壬 丙 丁 4) 색맹 1965. 4.15 (음) ○ 丙 辛 乙 ○ 寅 巳 巳 乾 화가 인사형으로 색맹을 가진 명조입니다.
5) 시력장애 丁 己 癸 癸 卯 卯 亥 卯 (乾命, 壬水分野) 68 58 48 38 28 18 8 丙 丁 戊 己 庚 辛 壬 辰 巳 午 未 申 酉 戌 일간 기토가 지지에 해묘 목국으로 습목이 무리를 이루어 살에 에워 쌓여 있고 시간의 정화는 목다화식에 걸려 일간 기토를 생하지 못합니다. 년월간의 계수가 정화를 극하니 화기가 몰하여 평생 시력장애로 살고 있는 사주입니다.
6) 화부족으로 인한 근시 乙 壬 己 壬 巳 戌 酉 子 乾 乙 甲 癸 壬 辛 庚 卯 寅 丑 子 亥 戌 수가 왕하여 일간이 강한데 상관견관이 있고 사유합이 있습니다. 목화는 조후겸 유통으로 쓰이고 금수를 꺼립니다. 경술대운 9세에 체력이 약해지고 근시가 오면서 시력이 급격히 저하되었습니다(신유술 방합: 금다화식)). 10세 신유년에 눈병이 더욱 심해지고 심장병까지 생겼습니다. 11세 임술년에 사망하였습니다. 7) 백내장
癸 丙 壬 甲 巳 寅 申 申
67 57 47 37 27 17 7 乙 丙 丁 戊 己 庚 辛 丑 寅 卯 辰 巳 午 未
7세 신미대운이후 36세까지 화가 주관하여 신금을 억제하니 좋으나 인목이 화에 설기당해 허약해집니다. 그러므로 시력이 나빠질 수 밖에 없으며 37-46세까지 묘목이 주관하지만 한번 나빠진 시력이 회복될 수는 없었습니다. 57세에 급격히 시력이 떨어지고 눈물이 흘러 백내장 수술을 한 명조입니다.
8) 쌍꺼풀 수술 휴유증 甲 丁 壬 戊 辰 卯 戌 戌 (坤命, 辛金分野) 63 53 43 33 23 13 3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卯 辰 巳 午 未 申 酉 술월에 난 정화가 무술토를 년주에 투출시켜 화토 상관격이 되었습니다. 일간 정화가 시간의 용신 갑목의 생을 받아서 약하지는 않지만 년월지에 화의 묘지인 술토를 가지니 자신의 눈 모습에 대해 평소 불만이 많았습니다. 정사대운 교체기인 43세 경진년에 쌍꺼풀 수술을 받았는데 수술이 잘못되어 시력이 급격히 떨어져 고생이 심했고 이로 인하여 병원 측과 송사를 벌린 일이 벌어졌습니다. 이 사주를 모 철학관에서 경진년에 수술을 하면 좋다는 조언을 해주어 그말을 믿고 실행을 했다가 낭패를 당한 경우였습니다. 신수상으로 경진년은 용신인 갑목을 갑경충으로 깨고 진술충으로 토를 붕충시키어 월간의 임수를 극하니 상관견관의 운이 되었고 진사가 모여 지망살이 되어 이래저래 흉한 한해가 됩니다. 9) 안구건조증 1981. 7.15 巳시 (양) 己 甲 乙 辛 巳 午 未 酉 乾命 35세 한점 수기가 없는중 지지에 사오미 화국으로 화기가 강해 안구건조증과 안정피로가 심한 명조입니다. 33세 계사년에 안구건조증이 심해진 이후 지금까지도 눈병으로 고생하고 있는 명조입니다.
3. 눈병의 민간요법 1) 눈의 충혈이 가시지 않을 때 · 생지황즙에 찹쌀 반 되 가량을 담가 찹쌀을 불린 뒤에 건져내어 말립니다. 이렇 게 세차례 반복한 후 죽울 쑤어 하루 한 그릇씩 먹습니다. ⋅상추 잎을 찧어 그 즙을 찻잔으로 1잔씩 매일 3회 복용합니다. 설사를 하는 사람 은 복용을 금합니다. 2) 풍열로 인해 눈이 붉을 때 ·질경이 씨, 궁궁이(천궁)를 각각 40g 정도로 합하여 가루를 내어 식후에 4g 가량 술에 타서 마십니다. ·볶은 댑싸리 씨(지부자) 1되에다 생지황 반 근을 즙내어 반죽한 떡을 만들고 이것을 말려 가루를 내어 매일 식사전에 10g씩 따끈한 물과 함께 복용합니다. 3~5일간 복용하면 효험이 있습니다. 3) 눈알이 붉은 증세에는 결명자를 볶아 가루를 만들고 여기에 홍차를 넣어 개어 태양혈( 눈초리 끝에서 귀 사이에 있는 오목한 곳 )에 붙입니다. 마르면 다시 새것 을 붙인다. 하룻밤만 붙이면 차도가 있습니다. 4) 눈알이 빨갛고 통증이 심할 때 ① 말린 생강 가루를 꿀물에 섞어 두 발바닥 중앙에 붙입니다. ② 냉이 뿌리를 깨끗이 씻어 즙을 낸 후 그 즙을 몇방울 떨어뜨립니다 5) 모든 눈의 충혈 ①쑥잎을 연기가 나도록 볶으면서 빈사발로 위를 덮는다. 오래 두면 사발에 그을 음 이 끼는데 이 그을음에 뜨거운 물을 약간 부어 저으면 검은 물이 됩니다. 이 물을 탈지면에 묻혀 눈을 씻습니다. ②가재(개울에 서식하는 다족 동물)를 끓여 김을 코에 쏘이면 신효하게 충혈이 가 십니다. 6) 바람만 쏘이면 눈물이 줄줄 흐르는 증세에는 냉이씨를 가루로 만들어 매일 식 전에 5g정도씩 더운물로 복용하고 쌀알 크기 만한 부피의 가루를 눈에 넣습니다. 7) 보통 때는 물론 찬바람을 쏘이면 눈물이 나올 때는 서리 내린 다음에 떨어진 뽕잎을 삶아 그 물로 눈을 씻습니다. 8) 눈이 어두우며 눈물이 많이 나을 때는 목이버섯 40g 정도를 태운 것에 속새의 줄기 40g을 섞어 가루를 내어 매 식후 5g 정도씩 밥물과 함께 복용합니다. 9) 평소에 눈물이 줄줄 흐르는 증세에는 궁궁이(천궁)뿌리를 잔털을 제거하고 뜨거운 물에 씻은 후 말려 1회 5g 정도 하루 2회 달여 마십니다. 10) 눈병으로 약해진 시력을 되찾게 하는데 - 쑥을 태우면서 그 위에 뚜껑을 씌우 면 씌운 뚜껑에 그을음이 낍니다. 이 그을음을 모아 1잔의 물에 타서 눈을 자주 씻 습니다. 11) 눈을 밝게 하고 간을 보하며 풍질을 예방하는데는 회화나무, 목이버섯 75g, 얼음 75g, 검은콩 반 홉을 물 4사발에 달여 반이 되면 3~5차 나눠 마십니다. 12) 눈이 갑자기 어두워 물체가 안 보이는 증세에는 생강을 썰어 혀로 핥습니다. 13) 눈을 밝게 하는데 ①결명차 : 결명차라는 이름 그대로 눈에 좋은 약입니다. 결명자를 볶아 끓인 차를 결명차라고 하는데 예로부터 눈을 밝게 한다하여 널리 애용해 왔고 효험도 좋습니다. ② 검은깨 : 눈이 피로하기 쉽거나 충혈이 자주 일어날 때는 검은 깨를 볶아서 으 깨어 참기름과 소금을 가하여 반찬의 양념으로 하여 평소에 많이 먹도록 합니다. 14) 검은깨 5근(3kg)을 찧어 물 3사발에 끓여 여기에 꿀 1근을 넣어 풀처럼 되도 록 졸인 후 뽕잎 가루 1근을 섞어 녹두알 크기의 알약을 빚어 식후마다 따뜻한 물 에 50~100알씩 먹습니다. 복용시 찬 것을 먹어서는 안됩니다. 15) 검은깨 5근(3kg)을 9번 찌고 말려 백하수오 2.5근, 적하수오 2.5근, 검은콩 1 되를 섞어 다시 9번 찌고 말려 여기에 초여름에 자란 뽕잎 3근을 넣어 가루를 내 어 녹두알 크기의 알약을 만들어 매일 식후마다 물에 50~100알씩 먹습니다. 16) 초여름에 자란 뽕잎을 잘 씻어 말려 가루로 만든 것 600g, 검은깨 150g, 결명 자 볶은 것 150g을 합하여 녹두알 크기의 알약을 빚어 30~50알씩 식후에 먹습니 다. 쌀 10숟갈, 댑싸리 씨 5숟갈로 매일 죽을 쑤어 먹습니다. 17) 광나무 열매(여정실)를 그늘에서 말려 1일 4~10g씩 달여 2회로 나누어 마십니다. 올방개 전초를 1회 5g정도씩 하루 2~3회 달여 마십니다. 18) 진득찰 잎과 줄기를 단옷날 채취하여 술과 꿀을 묻혀 9번 찐 뒤에 가루를 만들어 꿀과 함께 오동씨 크기의 알약을 빚어 60~70알씩 복용하면 좋습니다. 장복하면 아주 좋습니다. 19) 패랭이꽃(석죽)씨를 1회 2~6g씩 달여 하루 2~3회 복용합니다. 20) 백내장에 익모초 씨, 쑥의 씨를 하루 5-8g씩 진하게 달여 마신다. 흔히 익모초의 잎을 많이 쓰고 있으나, 그 씨는 명목(明目)의 성약(聖藥)이다. 또 쑥의 씨도 백내장에 잘 듣습니다. 하루 5-8g을 달여 마십니다. 물론 좀 오래 계속해야 듣습니다. 21) 다래끼 ① 복숭아의 씨(도인)를 깨끗한 헝겊으로 싸서 으깨어 즙을 낸다. 이 즙을 다래끼에 바릅니다. ② 질경이잎을 불에 구워 부드럽게 되면 눈등에 붙여둔다. 고름이 빠지면 참기름을 흠집에 발라준다. 또 우엉의 뿌리와 잉어로 끓인 장국을 먹으면 좋습니다. 22) 눈의 피로에 생굴 : 밤늦게 까지 작업을 하거나 특히 직업장 눈을 많이 쓰거나 하여 하룻밤 자고 나도 눈이 흐린 경우에는 눈을 아주 학대하여 시력이 나빠지는 결과가 되므로 생굴을 많이 먹도록 합니다. 23) 약시의 예방에는 호박 : 호박에는 비타민 A 가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평소에 호박을 많이 먹도록 합니다. 호박이 많이 나는 철에는 호박요리를 여러가지 연구하여 많이 먹도록 합니다. 24) 시력 이상에 차조기잎 : 두 물건이 하나로 보이거나 한 물건이 둘로 보이는 증세에는 자초기잎 4g, 생강 세쪽을 끓인 다음, 좋은 양조 식초를 한 숟갈 넣어 마시면 잘 듣습니l다(하루 세 번) . 25) 시력약화, 결막염, 유행성 눈병에 복분자 ① 차로 달여 상복하거나 열매를 가루로 내어 환을 지어 1일 3회(20-30알씩) 복용합니다. ② 뿌리 40g에 물 500ml를 붓고 달인 물을 걸러 1일 2회 눈에 녛는다. * 시력이 떨어질 때 냉이와 같이 복용하면 더욱 좋습니다. 26) 안구건조증에 좋은 차 ①결명자차
구기자는 피로를 심하게 느끼는 안구건조증, 곡정초는 시력이 떨어지면서 생긴 안구건조증 환자에게 좋다. 물 1L에 약재 20g을 넣고 약한 불에 20분 정도 끓여 마시면 된다.
* 안구건조증의 지압요법 눈의 안쪽 가장자리에 있는 정명혈, 눈썹의 안과 바깥쪽의 끝자락에 있는 찬죽혈과 사죽공혈을 수시로 누르거나 비벼 주면 눈 뜨기가 훨씬 편해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