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 카폐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궁성론
궁(宮)이라는 것은 연월일시의 자리를 말하며 성(星)이라고 하는 것은 육친을 말한다.
) -->
년 ~ 조상궁, 사회궁
년주는 어쩔 수 없이 월일시가 바라보아야 하는 영역이라는 의미
월일시가 상대를 하여야 할 상대가 년주라는 의미
월 ~ 가택궁, 부모궁, 신체로는 배와 가슴
부의 인자를 받아 모의 배속에서 나온 것이 일주이니 월주는 일주에게 생명력을 준 것 그래서 월에 힘을 얻는 것이 좋다고 한 것
일 ~ 부처궁,
미혼자는 일지를 좌궁으로 쓰고 기혼자는 배우자로 쓴다.
남녀 간의 관계를 살필 때 참고를 많이 한다.
시 ~ 자손궁, 밤과 낮
밤이 되면 잠을 자는 이가 많고 낮이 되면 활동하는 이가 많다.
그래서 태어난 시를 참고하여 생활패턴 응용에 참고를 많이 한다.
) -->
장남 나 부친 조부
外의 자녀 배우자 모친 조모
) -->
) --> | 시 | 일 | 월 | 년 |
천간 | 장남(장녀) | 본인 | 부친 | 조부 |
지지 | 外의 자녀 | 배우자, 상대방 | 모친 | 조모 |
시간 | 미래, 희망, 막연한 기대, 막연한 생각, 꿈, 계획 | 현재, 진행중 | 본인의 역사, 의식이 있는 과거, 지난날 | 무의식적인 과거, 집안의 역사, 오래된 기억 |
공간 | 비밀스러운 공간, 은밀한일, 방, 자신의 공간, 희망하는자리 | 현재사용중인 공간, 개인적인일, 가정, 거실, 자기자리 | 집, 부서, 사회적인일, 마당, 부서, 사장 | 국가, 오래된 공간, 울타리, 회사, 회장 |
) -->
일지와 시지에 궁에 육친(성)을 대응하여 살펴보면
남자는 재성을 여자는 관성을 배우자로 보면
일지 인성은
모친이니 어머니와 인연이 남달라 마마보이 기질이 잘 나타날 겁니다.
남자의 경우는 재극인 으로 처와의 인연이 약하고 처와의 갈등요소가 발생이 될 수 있습니다.
처와 모친간의 사이가 무정으로 고부간의 갈등이 예상됩니다.
여자의 경우 일지에 인성이 있다면 자식을 극해 아이가 출산이 어려울 경우가 있을 것이고 이때에는 비겁(형제의 도움)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또한 모친의 간섭으로 성혼이 늦어지는 경우로 나타나기도 할 것입니다. 일지 인성은 식상을 극하니 대체적으로 융통성이 없지요.
일지인성은 받으려는 마음이 커서 수비적이고 내향적일 경우가 많습니다.
삶의방식이 인정받고 싶은 것, 받으려는 것, 배울려는 마음으로 문서, 남에게 인정 받으려는 채면이 중요합니다.
[출처] 궁성론(宮星論) |작성자 인연이 머무는 그곳